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Volume 11 Issue 2
- /
- Pages.73-84
- /
- 2008
- /
- 1226-9719(pISSN)
- /
- 2287-6952(eISSN)
Evaluation of Spatial Characteristic of Wind Corridor Formation in Daegu Area using Satellite Data
위성자료를 활용한 대구지역 바람길생성의 공간적 특성평가
- Jung, Eung-Ho (Dept. of Environmental Planning, Keimyung University) ;
- Kim, Dae-Wuk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Keimyung University) ;
- Ryu, Ji-Won (Daegu Environmental Technology Development Center) ;
- Cha, Jae-Gyu (Dept. of Environmental Planning, Keimyung University) ;
- Son, Kyung-Su (Dept. of Environmental Planning, Keimyung University)
- 정응호 (계명대학교 환경대학 환경계획학과) ;
- 김대욱 (계명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
- 류지원 (대구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
- 차재규 (계명대학교 환경대학 환경계획학과) ;
- 손경수 (계명대학교 환경대학 환경계획학과)
- Received : 2008.04.16
- Accepted : 2008.06.26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This study has conducted the survey Daegu area on the evaluation of the wind generation by the spatial geograph conditions and according to the elements that practically affecting the generation of the wind. Because the elements affecting the wind generation are very diverse and interrelated, it is very important to secure accurate fundamental datas. For getting these datas, by applying satellite images to the study, more accurate datas were collected and the result of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it has been acknowledged that due to the Daegu,s geographic features, there are a lot of areas with high wind generation, but most of these areas have been distributed in the outskirts of the city, where as in the areas wind generation is relatively very low in the urbanized areas, which indicate that the spatial unbalance is very high. And what is more of wind generation in certain areas where places spatially connected to the urbane district, show very low wind generations, and its influenced range become limited. From this fact,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effects of the wind corridor coming into the urban district will be reduced. And also through this study, it could be verified that there are ampl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satellite data as a means of building up the spatial data for evaluation of formation of the wind corridor.
본 연구는 대구지역을 대상으로 공간적 지형특성에 따라 실제 바람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지형적 요소별로 바람생성 기능을 평가하였다. 바람생성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지형적 요소가 매우 다양하고 상호영향관계에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공간특성에 대한 정확한 기초자료의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관련자료 취득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신뢰성 있는 자료의 확보가 매우 제한적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 위성영상자료의 활용을 시도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대구지역의 공간지형적 특성상 바람생성 기능이 높은 지역이 많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지역은 대부분 시외곽지에 분포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시가화된 지역에서는 바람생성기능이 극히 열악한 것으로 나타나 공간적 불균형이 매우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들 지역이 시가화된 지역과의 공간적으로 연계되는 부분에서는 바람생성 기능이 매우 약화되고 영향범위가 축소됨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시가화된 지역으로 유입되는 바람길의 효과가 감소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바람길 생성 평가를 위한 공간자료의 구축수단으로 위성자료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