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od Control Policy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6초

Estimation of the Flood Area Using Multi-temporal RADARSAT SAR Imagery

  • Sohn, Hong-Gyoo;Song, Yeong-Sun;Yoo, Hwan-Hee;Jung, Won-Jo
    • Korean Journal of Geomatics
    • /
    • 제2권1호
    • /
    • pp.37-46
    • /
    • 2002
  • Accurate classification of water area is an preliminary step to accurately analyze the flooded area and damages caused by flood. This step is especially useful for monitoring the region where annually repeating flood is a problem. The accurate estimation of flooded area can ultimately be utilized as a primary source of information for the policy decision. Although SAR (Synthetic Aperture Radar) imagery with its own energy source is sensitive to the water area, its shadow effect similar to the reflectance signature of the water area should be carefully checked before accurate classification. Especially when we want to identify small flood area with mountainous environment, the step for removing shadow effect turns out to be essential in order to accurately classify the water area from the SAR imagery. In this paper, the flood area was classified and monitored using multi-temporal RADARSAT SAR images of Ok-Chun and Bo-Eun located in Chung-Book Province taken in 12th (during the flood) and 19th (after the flood) of August, 1998. We applied several steps of geometric and radiometric calculations to the SAR imagery. First we reduced the speckle noise of two SAR images and then calculated the radar backscattering coefficient $(\sigma^0)$. After that we performed the ortho-rectification via satellite orbit modeling developed in this study using the ephemeris information of the satellite images and ground control points. We also corrected radiometric distortion caused by the terrain relief. Finally, the water area was identified from two images and the flood area is calculated accordingly. The identified flood area is analyzed by overlapping with the existing land use map.

  • PDF

GIS를 이용한 도시지역 돌발홍수 침수예상지도 작성 및 대피강우기준 개발 (Mapping Inundation Areas by Flash Flood and Developing Rainfall Standards for Evacuation in Urban Settings)

  • 신상영;여창건;백창현;김윤종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71-80
    • /
    • 2005
  • 본 연구는 XP-SWMM 모형과 GIS 기법을 이용하여 도시지역인 사당동 지역의 국지성 돌발홍수를 사례로 강우단계에 따른 내수침수상황을 모의하여 침수예상지역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대피 강우기준을 개발하였다. 사당천의 배수영향을 크게 받는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배수관망해석시 사당천 좌안 기점수위를 지정, 경계, 위험 홍수위 및 만수위로 입력한 후 각 수위에 대하여 강우를 단계별로 적용하여 침수예상지역을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침수예상지도를 작성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통하여 사당동지역의 경우 대피강우기준을 2단계인 준비 및 경계강우(40mn.hr), 대피강우(65mm/hr)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침수예상지도 작성 및 대피강우기준 개발 방법론을 응용함으로써 도시지역 침수피해에 대비한 합리적인 방재대책 및 침수피해 최소화를 위한 효과적인 대응체계를 구축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홍수조절지 가치 평가에 관한 연구 (Estimating the Valuation of Flood Control Reservoir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 김상원;김근영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101-107
    • /
    • 2010
  • 본 연구는 홍수조절지가 주는 편익에 대해서 평가해보고 지불의사금액의 결정변수들을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지불의사금액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주택면적, 재해피해 빈도, 최종학력, 가구소득이었다. 그리고 모든 변수는 지불의사금액에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가구당 홍수조절지 편익은 연간 약 32,000원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공공재에 대해 응답자들의 가치 부여가 작지 않는 다는 점, 조건부가치측정법은 공공재의 가치를 추정하는데 유용한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점, 편익은 수요인구에 따라 편차가 심함으로 다양한 측면에서 편익을 비교해야 한다는 점이다.

하천복원사업 평가기준의 과제 (The Stream Restoration Program Evaluation Issue)

  • 최미희
    • 환경영향평가
    • /
    • 제15권1호
    • /
    • pp.13-22
    • /
    • 2006
  • The Korean government adopted the integrated stream water management policy recently with growing perception that natural disasters and pollution in Korea have been due not only to such human factors as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but also to the policy of functionally separated management of irrigation, flood control and ecological management. Contrary to its good intention, research result shows that it is not realistic to expect that this new integrated policy in Korea will work well. In order to be an effective policy and program evaluation, this paper suggests that evaluation indicator on related programs and projects should be made through bottom-up process. For example, environmental benefi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rather than just economic benefit, and cultur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in the project region should be also considered seriously.

계층화분석기법을 통한 구조물적 홍수방어 최적대안 선정 방안 연구 (A Method for Selecting a Structural Optimal Flood Mitigation Plan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 이정호;전영준;안재현;김태웅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117-126
    • /
    • 2009
  • 유역종합치수계획 수립 시 유역 내 적용이 가능한 구조물적 비구조물적 치수계획은 매우 광범위하고, 특히 그 중에서도 구조물적 홍수방어 시설들의 특성은 매우 다양하다. 이들을 조합하여 유역의 홍수 저감능력을 최대화 하는 최적대안을 선정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며, 현재 구조물적 홍수방어 후보대안에 대한 적절한 평가 기준이나 다양한 홍수방어 후보대안들 중 최적대안의 선정에 관한 지침 또한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종합치수계획의 구조물적 홍수방어 후보대안들에 대한 치수경제성 및 정책성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최적대안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의사결정기법 중의 하나인 계층화분석기법을 도입하여 적용함으로써 평가항목들 간의 가중치 결정 및 최적대안을 도출하는 과정을 예시하였다. 후보대안들 각각의 하위 세부 평가항목들의 가중치 결정에는 계층화분석기법 전용 프로그램인 Expert Choice 11.5를 활용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역종합치수계획의 구조물적 홍수방어 최적대안 선정에 있어 보다 표준화된 절차를 제시하였다.

제내지와 하도를 연계한 하천유역의 홍수유출해석기법 : II. 하구호 유출해석에의 적용 (Methods for Flood Runoff Analysis of Main Channel Connected with Interior Floodplain : II. Application for Analysis of Flood Runoff in Estuarine Lake)

  • 장수형;윤재영;윤용남;김원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1B호
    • /
    • pp.89-9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제내지와 하도를 연계한 하천유역의 홍수유출해석기법을 적용하여 홍수방어를 위한 치수측면에서 삽교호의 수리특성을 서해안 조위 및 유역의 유출상황과 연계하여 검토하였다. 특히, 삽교호 배수갑문의 운영조건을 모형 내에서 모의되도록 하여 다양한 형태로 하도내로 유입되는 유입수문량과 배수갑문을 연계한 해석을 시행하였다. 하도 및 제내지의 수리 특성 변화는 여러 경계조건에 비해 조위의 영향을 지배적으로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배수갑문의 실제와 같은 역할을 모형에 추가함으로써 다양한 대안별 수리특성 검토가 가능하였다. 지금까지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모형이나 방안이 없어 적용이 힘들었으나,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가능하게 되었고 이는 홍수방어를 위한 치수계획수립에 있어서 충분한 활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GIS와 SAR 영상을 연계한 근 실시간 홍수지역 분석 (Near Real Time Flood Area Analysis Based on SAR Image and GIS)

  • 손홍규;송영선;김기홍;윤공현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4권4호
    • /
    • pp.35-42
    • /
    • 2004
  • 정확한 수계영역의 분류는 홍수에 의한 피해면적을 분석하는데 핵심적인 과정으로서 매년 홍수가 발생하는 지역을 모니터링 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정확한 홍수지역의 분류는 궁극적으로 정책결정자에게 매우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1:25,000 토지이용도와 1998년 8월 12일 옥천, 보은지역을 촬영한 RADARSAT 영상을 이용하여 홍수지역을 분류하고, GIS와 연계하여 대상지역의 피해상황을 분석하였다. 근 실시간 지형보정을 위해서 천체력자료와 단일기준점을 활용하였으며, 특히, 수계영역 분류시 경사도정보를 이용하여 분류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기법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홍수 및 수질 오염 감시용 지능형 고속 광 통신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t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to monitor flood and water pollution)

  • 이진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1호
    • /
    • pp.351-358
    • /
    • 2012
  • 본 연구는 강유역의 홍수 및 수질 오염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고품질의 영상정보를 고속으로 전달할 수 있는 광통신 장치로 기존의 장치에 비해 저렴하면서도 네트워크 광선로 및 장비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홍수 통제용으로 이용되는 통신장비는 주로 무인함체 내에 설치되어 있고 이는 장거리 구간의 강 하구에 위치한 홍수 통제소에서 운용하고 있기 때문에 광 케이블의 절단이나 노화 등에 의한 통신 장해 발생시 신속한 대처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 선로를 이용하여 고품질의 영상정보를 고속으로 전달할 수 있으면서도 위와 같은 사고 발생시 1차적으로 이중화 광 케이블 보호절체 기능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으로 발생 지점을 실시간으로 통보해줌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된 시스템은 지능형 교통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InVEST 모형을 이용한 도시 생태계의 홍수 조절서비스 평가 (Evaluation of Flood Regulation Service of Urban Ecosystem Using InVEST mode)

  • 이태호;천금성;권혁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51-64
    • /
    • 2022
  • Along with the urbanization, the risk of urban flooding due to climate change is increasing. Flood regulation, one of the ecosystem services, is implemented in the different level of function of flood risk mitigation by the type of ecosystem such as forests, arable land, wetlands etc. Land use changes due to development pressures have become an important factor in increasing the vulnerability by flash flood. This study has conducted evaluating the urban flood regulation service using InVEST UFRM(Urban Flood Risk Model).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the potential water retention by ecosystem type in the event of a flash flood according to RCP 4.5(10 year frequency) scenario was 1,569,611 tons in urbanized/dried areas, 907,706 tons in agricultural areas, 1,496,105 tons in forested areas, 831,705 tons in grasslands, 1,021,742 tons in wetlands, and 206,709 tons in bare areas, the water bodies was estimated to be 38,087 tons. In the case of more severe 100-year rainfall, 1,808,376 tons in urbanized/dried areas, 1,172,505 tons in agricultural areas, 2,076,019 tons in forests, 1,021,742 tons in grasslands, 47,603 tons in wetlands, 238,363 tons in bare lands, and 52,985 tons in water bodies. The potential economic damage from flood runoff(100 years frequency) is 122,512,524 thousand won in residential areas, 512,382,410 thousand won in commercial areas, 50,414,646 thousand won in industrial areas, 2,927,508 thousand won in Infrastructure(road), 8,907 thousand won in agriculture, Total of assuming a runoff of 50 mm(100 year frequency) was estimated at 688,245,997 thousand won. In a conclusion. these results provided an overview of ecosystem functions and services in terms of flood control, and indirectly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model as a tool for policy decision-making. Nevertheless, in future research, related issues such as application of models according to various spatial scales, verification of difference in result values due to differences in spatial resolution, improvement of CN(Curved Number) suitable for the research site conditions based on actual data, and development of flood damage factors suitable for domestic condition for the calculation of economic loss.

유역별 물 관리 체계 구축방안 연구 (Strategies to establish water management system by watershed)

  • 유중근;이성희;김태철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2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97-100
    • /
    • 2002
  • So far, the water management have separately been accomplished by water supply, flood control, and environmental river management. In spite of sustainable policy of water resource development, flood & drought damage, poor water accident, and deterioration of river ecosystem have continuously occurred. It means that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ose problems with the present systems and institutions. So, it is time to discuss to change the present water management system of administrative sense into the one classified by the watershed in order to understand problems of water resource in the regional basis. First, a integration of similar branch office in organization and a work specialization should be driven in the government. Second, it is desirable to develop the water resources according to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the watersh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