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od/Ebb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7초

여수연안 정치망어장의 환경요인과 어황 변동에 관한 연구 - 2 . 어장주변 해역의 해수유동 - (Environmental Factors and Catch Fluctuation of Set Net Grounds in the Coastal Waters of Yeosu - 2 . Sea Water Circulation in the Vicinity of Set Net Ground -)

  • 김동수;노홍길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0권3호
    • /
    • pp.142-149
    • /
    • 1994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al properties of set net grounds located in the coastal waters of Yeosu. The current in the vicinity of set net grounds was observed by drogue and current meter in 1990 and 1992.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direction of tidal current at the north enterance of Yeosu bay was southerly in ebb and northwesterly in flood without the distiction of the neap tide and the spring tide. In spring tide the maximum Velocity of the tidal current was 68 cm/sec in ebb and 66 cm/sec in flood. In neap tide the maximum velocity of the tidal current was 37 cm/sec in ebb and 35 cm/sec in flood. And so the direction of residual current was the south ward mainly and 21 cm/sec. The direction of tidal current at set net fishing grounds was southwesterly in ebb and westerly or northwesterly in flood. Regardless of the distinction of neap and spring. The maximum velocity of the current in spring tide was 50 cm/sec in ebb and 40 cm/sec in flood and that in neap was 28 cm/sec in ebb and 25 cm/sec in flood. In spring tide the speed vector along the major axis of semidiurnal tide component was three times as large as diurnal tide. In neap tide, however, the speed vector was about 50% less then that in spring tide, and the semidiurnal tide and diurnal tide were equal in the size of current ellipse and the direction of major axis. The sea area had a southwesterly residual current. 11 cm/sec in spring tide and 7 cm/sec in neap tide. According to the result of drogue tracking, the vicinity of set net fishing ground had a southerly residual current which formed in Yeosu Bay and a weak westerly residual current toward Dolsando from Namhedo. Therefore, set net fishing ground in coastal water of Yeosu was distributed in boundary of inner water which formed from Seamjin river and offshore water supplied from the vicinity of Sorido and Yochido.

  • PDF

한강하구 염하수로 주변에서의 조석·조류 비대칭과 창·낙조 우세 분석 (Analysis of Tidal Asymmetry and Flood/Ebb Dominance around the Yeomha Channel in the Han River Estuary)

  • 윤병일;우승범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9호
    • /
    • pp.915-928
    • /
    • 2012
  • 한강하구 염하수로 주변의 조석 조류 변형과 창 낙조 우세를 분석하기 위해서 4개 정점에서 동기간에 관측한 조류자료와 기 관측된 조석자료를 분석하였다. 조석 및 조류의 변형 정도는 $M_4/M_2$ 진폭비를 분석한 결과 상류로 갈수록 증가하며, 조석의 상대 위상차($2M_2-M_4$)를 계산하면 모든 정점의 값이 $180^{\circ}C$ 이하로 창조 우세를 보여준다. 그러나 조류자료의 통계분석 결과를 보면 조석 조화상수의 상대 위상차 결과와는 다르게 최강 평균 낙조가 창조에 비하여 강하게 나타나며, 정조시각을 이용하여 창조, 낙조 지속시간을 계산하면 낙조 지속시간이 길게 나타난다. 각 조류 관측정점의 주축 방향 유속성분의 상관도를 분석한 결과 인천항 이후 염하수로 북쪽입구까지는 상관도 값이 0.9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류 분석결과에서 보여지는 낙조가 우세하고 낙조 지속시간이 긴 형태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서 조화분해 결과를 재구성하였다. 주 분조($M_2$)와 천해 분조($M_4$)를 결합하면 창조가 우세하고 낙조 지속시간이 긴 전형적인 창조우세 형태의 곡선이 나타난다. 그러나 이 곡선에 조류 성분의 산술 합으로 계산한 비 조류성분(잔차류)의 값을 더하면 낙조가 강해지고 낙조 지속시간이 긴 형태로 나타난다. 즉, 천해분조에 의해서 발생하는 상류방향의 흐름을 극복하는 담수와 하구 비선형 효과에 의해서 생성되는 장주기 조류성분과 같은 낙조방향의 평균적인 흐름이 존재하기 때문에 독특한 낙조심화 현상이 염하수로에서 나타난다.

현장입도분석기를 이용한 섬진강하구 부유퇴적물의 특성 연구 (In situ Particle Size and Volume Concentration of Suspended Sediment in Seomjin River Estuary, Determined by an Optical Instrument,'LISST-100')

  • 김석윤;이병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23-329
    • /
    • 2004
  • In situ particle size and volume concentration of suspended sediment was measured at the mouth of Seomjin River Estuary In February 2001, using an optical instrument, 'LISST-100'. Time variation of in situ particle size and concentration shows: (1) during ebb tide, Seomjin River supplies relatively fine-grained particles with less-fluctuated, compared to during flood tide, and well-behaved concentrations following the tidal cycle; and (2) during flood tide, relatively coarse-grained particles with highly variable in size distribution and concentration flow upstream from Kwangyang Bay. This explains a poor correlation $(r^{2}=0.10)$ between sediment concentration and beam attenuation coefficient during flood and a high degree of correlation $(r^{2}=0.80)$ during ebb tide. Relatively fine grained and well defined, monotonous size distribution may promote the correlation between concentration and beam attenuation coefficient due to optical homogeneity of particles during ebb tide. Abundance of large aggregates with time-varying size and shape distributions may be mainly responsible for variations in optical properties of the sediment during flood tide, and thus may confou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difference in particle sizes and shapes between flood and ebb tides can also be observed on SEM images.

서해 함평만에서 조위변화에 따른 영양염 변동 (Tidal variations of Nutrient Concentration in Hampyeong Bay, West coast of Korea)

  • 강미란;임동일;장풍국;김기범;강영실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02-208
    • /
    • 2009
  • 갯벌과 주변 연안역 사이의 물질순환, 특히 영양염 순환에 있어서의 갯벌의 역할을 이해하기 위해 서해 남부 해역의 대표적 갯벌인 함평만 입구에서 4차례(2008년 8월 5일과 18일, 2008년 10월 28일, 2009년 2월 9일)에 걸쳐 조위변화에 따른 영양염 변동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수온은 조위변화에 따라 여름철 간조시 높고 만조시 낮은 반면, 가을과 겨울철은 간조시 낮고 만조시 높아 여름과 대조적인 경향을 보인다. 염분은 조위가 상승함에 따라 외해수가 유입되어 여름/겨울철에 만조시 높고, 간조시 낮은 일반적인 경향을 보이는 반면, 가을철에는 만조시 낮고 간조시 높은 반대의 경향을 보인다. 모든 계절에서 만조와 간조시 염분의 차는 0.3 psu미만이였다. 한편 함평만에서 관측된 모든 영양염은 조위변화에 따라 여름철 만조시 낮고 간조시 높은 반면, 겨울철은 만조시 높고 간조시 낮아 여름철과 반대의 패턴을 보인다. 특징적으로 가을철은 조위변화에 따른 뚜렷한 농도변동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함평만 갯벌이 여름철에는 영양염의 공급원으로 겨울철에는 영양염의 제거원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영양염 계절별 조위변동은 외해수와 갯벌에서의 영양염 농도 차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갯벌과 외해수 사이의 상호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수영만의 조류, 염분 및 부유물질의 분포 (Distributions of Tidal Current, Salinity and Suspended Sediment in Suyoung Bay)

  • 김차겸;이종섭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359-370
    • /
    • 1992
  • To investigate the flow pattern and mixing process in Suyoung Bay, field observations and data analyses of tidal current, salinity and suspended sediment (SS) were carried out. Ebb flow is stronger than flood flow, and duration of ebb tide is longer than that of flood tide. Semi-diurnal component of tidal current is predominant, and current rotating clockwise occurs in the central part of the bay. The direction of the residual currents in the central part of the bay and offshore is almost N to WNW, and the speed is 4-14cm/s. Eulerian diffusion coefficients estimated from the current data have the range of $6.2\times10^4-4.2\times10^6\;cm^2/s,$ Salinity structure in Suyoung River estuary during flood tide is of partially mixed type, but is of stratified type during ebb tide. Salinity fluctuation is large at the surface, and the fluctuation decreases with depth. SS concentration in Suyoung River estuary has a higher value during ebb tide than that during flood tide. Salinity and 55 concentrations in the estuary appeared to be very sensitive to the change of river flow.

  • PDF

Alocasia amazonica의 생물반응기 배양에서 배지 공급 방식이 식물체의 생장과 잎조직 및 기공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Plantlet Growth, and Leaf and Stomatal Characteristics of Alocasia amazonicaas Affected by Medium Supply Methods in Bioreactor Culture)

  • 조은아;한은주;백기엽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3권2호
    • /
    • pp.117-122
    • /
    • 2006
  • Comparative studies on medium supply in bioreactors (raft, immersion and ebb and flood) have revealed that multiplication and growth of Alocasia Amazonica were greatest in the raft system, while lowest in ebb and flood system. In the raft system, the basal part of the shoots was continuously in contact with medium, which enabled a constant uptake of nutrients as well as aeration to the explants. The number and the size of leaf stomata were higher in the raft system compared with immersion and ebb&flood system. In the immersion system, plantlets were deformed and epidermal cells in leaves were irregular with a large intercellular space.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medium supply should be controlled properly to maintain normal and healthy plantlets during liquid cultures in bioreactors Which affects morphology and physiology Of the plantlets.

Tidal Front in the Main Tidal Channel of Kyunggi Bay, Eastern Yellow Sea

  • Lee, Heung-Jae;Lee, Seok;Cho, Cheol-Ho;Kim, Cheol-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7권1호
    • /
    • pp.10-19
    • /
    • 2002
  • The detailed structure of a tidal front and its ebb-to flood variation in the main tidal channel of the Kyunggi Bay in the mid-west coast of Korea were investigated by analyzing CTD data and drifter trajectories collected in late July 1999. A typical tidal front was formed in water about 60 m deep at the mouth of the channel. Isotherms and isohalines in the upper layer above the seasonal pycnocline in the offshore stratified zone inclined upward to the sea surface to form a surface front, while those in the lower layer declined to the bottom front. The location of the front is consistent with $100 S^3/cm^2$ of the mixing index H/U defined by Simpson and Hunter (1974), where H is the water depth and U is the amplitude of tidal current. The potential energy anomaly in the frontal zone varied at an ebb-to flood tidal cycle, showing a minimum at slack water after ebb but a maximum at slack water after flood. This ebb-to flood variation in potential energy anomaly is not accounted for by the mixing index. We conclude that on- and offshore displacement of the water column by tidal advection is responsible for the ebb-to-flood variation in the frontal zone.

錦江 鹽河口에서의 潮流와 浮游堆積物 이동 (Tidal Current and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in the Keum Estuary,West Coast of Korea)

  • 오임상;나태경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47-162
    • /
    • 1995
  • 큰 潮差 지역인 금강 鹽河口의 潮流과 江水流入에 의한 순환과 이에 따른 부유물질의 이동을 알아보기 위해 1990년부터 1992년까지 세 정점에서 潮流 및 浮游퇴적물질 농도를 관측하였다. 이 염하구의 가장 외해쪽 관측점에서는 漲潮流 와 落潮流의 수직 구조는 거의 대칭형을 나타내고 있다. 또, 남측 수로에서는 漲 潮流가 全水層을 통해서 우세하나 북측 수로에서는 상층과 저층에서는 落潮流가 우세하고 중층에서는 漲潮流가 우세하였다. 남측 수로에서의 최대유속은 漲潮流 시에 중층에서 174 cm/s이었으며, 북측 수로의 최대 유속도 漲潮流시 중층에서 148 cm/s로 기록되었다. 반면에 표층과 저층에서는 최대유속 110.6 cm/s의 강한 유속이 落潮時에, 92.1 cm/s이 漲潮시에 각각 기록되었다. Hansen and Rattray 의 scheme에 의하면 금강 鹽河口는 Type 3로 분류될 수 있다. 즉 이 鹽河口의 수층은 漲潮流에 의해서 成層化하고 高潮後의 落潮流는 수층간의 밀도차를 줄여 서 亂流化한다. 이곳의 저층 흐름은 일반적으로 난류성이다. 한 조석 週期당 부유 물질의 이동량은 潮差와 하천유량에 달려있다고 생각된다. 관측기간중 최대의 부 유물질 이동은 하천유량이 최소였던 1991년 5월중 남측 수로에서의 측정치에서 초당 20.61톤으로 나타났으며, 최소 이동은 최소 潮差 기간인 1992년 7월에 북측 수로에서 초당 0.65톤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해역의 강한 해저전단속도는 창조류 기간 동안에 해저퇴적물을 침식시키며, 상대적으로 긴 落潮 기간은 이들 부유퇴적 물을 외해쪽으로 운반시키고 있다. 정상적인 강수 유입 조건하에서는 대부분의 부유물질이 남측 수로를 통해서 운반되나 강수의 유입이 많아지는 경우에는 오히 려 북측 수로를 통한 부유물질의 이동이 더 크다.

  • PDF

강화도 석모도 지역에서의 효율적인 조력발전방식 비교 (The comparison of tidal power generation methods at Sukmodo)

  • 이태훈;심주열;조용식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435-438
    • /
    • 2008
  • The huge economical damag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have been occurred for decades because of using of fossil fuel. So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energy is urgent. In the west sea of Korea, a proper area for tidal power plant, development and investigation for economical efficient of tidal power plant are preceeding. The water turbine generator with the capacity of 25.4MW was used to compare single-basin flood tide generation with ebb tide generation while considering the water depth and tide in the vicinity of Sukmodo.

  • PDF

제주도 한림 연안 정치망 어장의 환경특성과 어획량 변동에 관한 연구 II. 수온 및 염분의 변동과 해수의 유동 (Environmental Character and Catch Fluctuation of Set Net Ground in the Coastal Water of Hanlim in Cheju Island II. Fluctuation of Temperature, Salinity and Current)

  • 김준택;정동근;노홍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98-104
    • /
    • 1999
  • 제주도 서부 연안역인 한림 정치망어장의 해황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1995년과 1996년에 실시한 정선, 정점조사의 수온, 염분자료, 시계열분석, 해수유동 상황 둥을 정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한림 정치망어장은 하계에 수온, 염분의 일교차 (수온 $0.4\~9^{\circ}C$, 염분 $0.20\~7.50\%_{\circ}$)가 매우 크고 단기적인 수온, 염분변화가 심하다. 즉 이 어장은 외측의 중$\cdot$저층수 (저온, 고염분수)와 연안 수 (고온, 저염분수)가 조류 방향에 따라 교호로 출현하고, 조류의 강약이나 바람 등에 의한 연직혼합의 정도에 따라 수온, 염분변화의 크기에 차가 나기 때문이라고 해석된다. 2. 한림 정치망에서 실시한 22일 (1996년 8월 19일$\~$9월 10일)간의 mooring 결과에 의하면 소조기의 썰물과 밀물의 평균유속과 유향은 각각 9.1cm/sec의 남서류, 11.6cm/sec의 북 또는 북동류이며 최강유속은 썰물 때 157cm/sec, 밀물 때 22.6cm/sec 이다. 대조기의 썰물과 밀물의 평균유속과 유향은 각각 10.4cm/sec의 남서류, 12.3cm/sec 북 또는 북동류이며 최강유속은 썰물 때 19.4cm/sec, 밀물 때 20cm/sec로 대조기와 소조기의 유속차가 크지 않고 밀물의 유속이 썰물의 유속보다 약간 빠르다. 반일주조 ($M_2$)의 장축방향의 유속벡터가 일주조. ($K_1$)의 그것에 비해 1.5정도 크며 두성분의 장축방향은 서북서$\~$동남동이고 북서방향으로 3.25cm/sec의 항류성분이 나타났다. 비양도와 차귀도 사이의 제주도 서부 연안역에서 3일간 (1996년 7월 25일$\~$27일)실시한 TGPS Buoy 추적결과에 지하면 연안역의 평균유속과 유향은 썰물 때 1.6 knot의 남서류, 순간 최대 유속은 4.8 knot 밀물 때 1.3 knot의 북동류, 순간최대유속은 3.7 knot였으며 외해측 (연안에서 2mile정도)의 밀물 때 평균유속과 유향은 1.7 knot의 북서 내지 북동류였고 0.3 knot 정도의 북동방향의 항류가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