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ating Marine Debris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19초

동해중부해역에 있어서 부유성 해양 폐기물의 분포와 조성 (A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composition of marine floating debris in the middle part of East Sea, Korea)

  • 조현정;권오빈;정순범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1권4호
    • /
    • pp.306-315
    • /
    • 2005
  • The distribution and composition of marine floating debris were recorded from a training ship 'Kyeongyang' of Gangwon Provincial University at May 19-29, 2004 and Aug.24-31, 2004. The sampled area is the middle part of East Sea of Korea(the coast of Gangwondo and region of Ulleung island and Tokdo), divided into 27 unit segments on survey areas. Debris fabrication materials were categorized with 6 items using the following; styrofoam, paper & cardboard, net & rope, vinyl & plastic, floating metal & glass, man-made or natural wood. From the investigation on May,2004, total numbers of marine floating debris in the middle part of the East Sea of Korea was 996 individuals. The No. 1 and No. 2 unit segment located at south-west region of Ulleung Island showed higher density than others. The styrofoam and vinyl & plastic accounted for 72.8% of all debris fabrication materials. From the investigation on August, 2004, total numbers of marine floating debris in the coast of the Gangwondo of Korea was 2,473 individuals. The No. 13 and No. 14 unit segment located at the vicinity of Samcheok showed higher density than others. The styrofoam and vinyl & plastic amounted to 76.1%. In the coast of the Gangwondo, the vinyl & plastic showed the highest density of 6 items were 41.3% and 68.0% on May and August, respectively. The total numbers of marine floating debris on May and August were 3,399 individuals. Vinyl & plastic accounted for 59.4%(2,019 ind.) among all debris, next styrofoam 15.8%(537 ind.) and wood 11.2%(379 ind.).

홍수시 4대강에서 유입되는 부유폐기물 성상 조사 (Investigation of Floating Debris Characteristics Drained from 4 Big River on a Flooding)

  • 유정석;윤범상;노준혁;윤성환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45-53
    • /
    • 2002
  • 본 조사는 장마나 홍수로 인하여 강에서 해양으로 유입되는 부유폐기물의 성상을 파악하여, 해양폐기물 저감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한국의 4대강인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을 대상으로 2002년 7원과 8원 두 달간 수행하였다. 부유폐기물의 유입은 강우의 정토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일 강수량 150mm 이하의 일시적인 호우경보 시에도 부유폐기물의 유임은 미미하였으며, 지속적이며 다량의 강우량이 발생하거나 국지성 호우에 의하여 홍수가 발생될 때 대부분의 부유폐기물이 유입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강에서 유입되는 부유폐기물은 지속적으로 해양에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일시에 특히 홍수시 다량으로 며칠에 걸쳐서 유입된다. 또한 발생된 부유폐기물 모두가 해양으로 유입되지 않고 폐기물의 상당량이 강변에 집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각 강의 특성에 따라 부유물의 구성비는 달랐지만 부유물들의 전반이상은 식물 쓰레기이다. 그러므로 해양에 유입되는 부유폐기물 수거 방안마련을 위해서는 식물쓰레기에 의한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 PDF

부유물 차단막에 작용하는 장력추정에 관한 실험연구 (A Prediction Method of Tension on Containment Boom for Marine Floating Debris)

  • 유정석;성홍근;유재문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63-71
    • /
    • 2003
  • 해양 부유폐기물의 주요 발생원은 홍수시 육상으로부터 발생되어 해양으로 유입되는 부유쓰레기에 기인하며, 부유쓰레기가 해상으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수거하는데 사용하는 것이 차단막이다. 강한 흐름이 존재하는 강이나 하천에 차단막을 설치할 때 흐름에 의한 차단막에 작용하는 항력과 장력은 흐름의 속도와 방향, 설치된 차단막의 형상, 수면아래의 차단 부의 형상에 따라 변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차단막에서 활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형태를 대상으로 1/5, 1/10, 1/20 모델을 제작하여 개구비(gap ratio)에 따른 유속별 장력을 계측함으로서 높은 유속에 노출된 부유물 차단막에 대한 설계장력 추정법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존 이론에 의한 장력 추정법과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여 기존에 사용되어 오던 장력계수보다 더 큰 값을 사용하는 것이 타당함을 밝혔다.

  • PDF

해양유입 부유쓰레기 차단막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barrier system for floating debris at river)

  • 홍기용;최학선;조일형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61-67
    • /
    • 2001
  • 해양으로 유입하는 부유쓰레기를 하천에서 차단하는 시스템의 개발에 관해 소개한다. 차단막 시스템은 육상쓰레기에 기인하는 연안역의 해양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시스템은 차단막, 계류시스템, 차단막 감는장치로 구성된다. 차단막은 판스프링에 의한 자동 팽창식으로 설계되었으며, 부유쓰레기를 수거하는 콘베이어시스템으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한다. 차단막 시스템의 설계기준을 정립하기 위하여, 설계인자들을 고찰하였다. 정립된 설계기준에 기초하여, 차단막 시스템의 시제품이 제작되었으며, 한강의 탄천에서 성능을 시험하였다. 성능시험 곁과는 개발된 차단막 시스템이 효과적으로 하천의 부유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 PDF

낙동강 유입 부유폐기물 해상이동경로 추적시험 (Tracking Experimentation of Floating Debris Drained From Nak-Dong River)

  • 유정석;이문진;노준혁;윤성환;김명훈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3-9
    • /
    • 2002
  • 홍수시 강에서 유임되는 폐기물은 육상기인 해양폐기물의 상당량을 차지한다. 강에서 해양으로 유입된 폐기물은 침적폐기물과 부유폐기물로 구분되며, 부유폐기물은 바람이나 해수의 유통에 따라 타지역으로 이동 및 확산되는 특성이 있다. 본 시험은 낙동강에서 유입되는 부유폐기물의 이동경로를 조사하기 위하여, DGPS가 장착된 3개의 부위를 제작, 낙동강 하구에서 투척, 매시간 이동경로를 확인하였다. 시험결과 낙동강에서 유출된 부유 폐기물은 다대포 항주위에 집적되거나 부산항을 거쳐 동해안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조류에 의한 영향보다 바람에 의한 취송류와 해류에 의한 영향이 지배적이었다. 본 시험의 결과를 해양연구원 해양시스템안전연구소에서 개발한 부유폐기물 확산모델(MAPCNTR)과 비교한 결과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 PDF

해양침적쓰레기의 공간적 분포 특성 파악 연구 (A Study on Identification of Characteristics of Spatial Distribution for Submerged Marine Debris)

  • 박재문;김대현;윤홍주;서원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539-54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해저 바닥에 침적된 쓰레기를 조사한 자료를 이용하여 공간적 분포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해양쓰레기는 부유쓰레기와 침적쓰레기로 구분할 수 있다. 부유 및 침적쓰레기는 해수면을 떠다니고 해저에 침적되어 해양환경과 해양생물, 서식지들을 오염시킨다. 또한 해양으로 유입된 쓰레기를 처리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본 연구에서는 동해의 대표적인 무역항인 포항항을 대상으로 2014년도에 사이드스캔소나로 해저에 침적된 쓰레기를 조사한 자료를 이용하였다. 해양침적쓰레기의 성상별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침적쓰레기의 위치와 단위면적당 무게 자료를 이용하여 침적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하계 동해의 해양폐기물 분포와 조성에 관한 연구 (Distribution and Composition of Floating Debris in the East Sea during the Summer Season)

  • 김종화;김민석;김용복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7권1호
    • /
    • pp.58-66
    • /
    • 2005
  • Floating debris was observed using a training ship, KAYA, of Pukyong National University with cruising speed of about 10-12 knot during July 12~25, 2003. The area sampled was the East Sea enclosed by 3 nations, namely, Korea, Japan and Russia, and was divided into 68 unit segments on survey routes [Fig. 1]. Debris fabrication materials were categorized with 6 items, e.g., man-made or natural wood items, paper and cardboard, nylon rope, styrofoam, vinyl and plastic, floating metal and glass containers. All identified items within $100{\pm}10 m$ wide band were recorded but ignored if beyond this bound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numbers of debris per unit area, $1km^2$, were found as 16.3 pieces (items) in the sea. 2. The highest densities of numbers, $32.3pieces/km^2$, were discovered in vicinity of the Oki strait of Japan, area of 'NEK' in Fig. 1. 3. Especially, styrofoam item only was composed to 63.6% of all in the sea of 'SD',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Dokdo Island, Korea. The item seems to be derive from the Southern Sea of Korea. 4. Therefore, comparing the distribution of debris numbers (the results of above 2 and 3) with flow patterns of Kuroshio currents, it was shown that their relation was good agree each other. Further more surveys are being conducted and a much wider coverage can be achieved with other countries, then it can be obtained that the East Sea is polluted to some extent, where is the origin of debris, and the finding of floating routes and stationary sea.

부유성 해양 폐기물에 의한 동지나해의 해양오염(I) - 해역별 수량 분포를 중심으로 - (Marine Pollution of the East China Sea by Floating Marine Debris(I) - Temporal quantity distribution of each zone -)

  • 김종화;김용복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3권4호
    • /
    • pp.642-647
    • /
    • 2011
  • In order to analyze the influence of floating marine debris (FMD) in the East China Sea (ECS), a sighting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1st to July 14th, 2009 navigating about 966 km using a training vessel "Kaya (1,737 ton)" of Pukyong National University. The sampled zones are divided into 5 transect by observation day during the survey days and again specified with 45 segments per unit hour on the survey routes. The results of distribution of FMD are as follows: 1. The quantities of FMD at the central China Sea(CE) and northern part of Taiwan(NT) were found as total mean of 90.8 ea/hr, 56.7 ea/hr, respectively, and also 36.8 ea/hr, western part of Kyushu district(WJ), 10.7 ea/hr, 8.0 ea/hr, western(OK1) and northern part(OK2) of Okinawa, respectively. 2. Temporal variation of FMD is represented by depicting the sinusoidal curve as shape as tide in CE and OK1. 3. The higher sea surface temperature (SST) is as likely as if Kuroshio current exists strongly, the less quantities are de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coastal zone of ECS and near of Yellow Sea are increased by lower SST.

입자수치모의를 통한 낙동강 하구 해안부유쓰레기 거동 (The Behavior of Floating Debri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using a Simple Numerical Particle Model)

  • 유창일;윤한삼;김규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9-14
    • /
    • 2007
  • 본 연구는 낙동장 하구역에 유입되거나 발생된 해안부유쓰레기의 거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03년 태풍 "매미" 내습시 하구둑 최대 방류량을 조건으로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해수유동장을 재현하고 제현된 유동장에 부유쓰레기로 대표되는 입자를 방출하여 입자들의 거동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입자수치모의실험의 결과에 따르면 낙동강 하구역내 존재하는 부유쓰레기는 홍수유량시 72시간 경과시에 낙동강 하구역내 입자 분포 및 거동이 안정상태에 도달하였다. 공간상으로는 진우도를 포함한 가덕도 동측 해안의 경우 초기 33시간까지는 40%까지 증가하나 그 외 주변해역의 경우 $20{\sim}40%$ 범위를 유지하였다.

  • PDF

한국 동해 연안어장의 부유성 폐기물 분포와 조성 (Distribution and Composition of Floating Debris in the East Coast of Korea)

  • 김종화;김삼곤;박창두;주수동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9권1호
    • /
    • pp.31-39
    • /
    • 1997
  • Floating debris was recorded from a training ship, #1 Kwanaksan, of Pukyong National University with about 10 knots speed during August 19~26, 1996. The area sampled is the East Coast of Korea, divided into 33 unit segments on survey routes. Debris fabrication materials were categorized using the following; man-made or natural wood items, paper, cardboard, nylon rope, netting, styrofoam and plastics, floating metal and glass containers. All identified items within a $100{\pm}2m$ wide band were recorded but ignored if beyond this boundary. The results of distribution and composition of floating debris in the area are as follows: 1. The quantities of debris during the summer were distributed from 1.8~52 items per $km^2$. The most obvious trend is the widespread distribution of all debris. 2. The highest densities of all debris were discovered in the vicinity of Pusan and ills an area. Especially styrofoam & plastics were observed in 81% of sampled area, next is wood items, 9.1%. Nylon netting & rope was the least widespread pollutant. 3.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on of debris and surface currents of the area was not apparently revealed through this survey. Further surveys are being instigated, and from this it is hoped that a much wider coverage can be achived, perhaps on all sites of Southern and Western sea of Korea and contributed to the finding of sources,stationary area of debr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