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mmulina

검색결과 224건 처리시간 0.028초

팽이버섯(Flammulina velutipes) 분말의 젖산발효를 통한 고농도 γ-aminobutyric acid 함유 천연 발효조미료 개발 (Development of natural fermented seasoning with Flammulina velutipes powder fortified with γ-aminobutyric acid (GABA) by lactic acid fermentation)

  • 박은진;이승욱;이삼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37-245
    • /
    • 2017
  • 팽이버섯 분말을 이용하여 기능성물질인 GABA 및 probiotics를 강화시킨 천연 발효조미료를 개발하기 위해서 L. plantarum EJ2014에 의한 젖산발효 최적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팽이버섯 분말에 영양성분 0.5% YE, 1% glucose, GABA 전구물질인 5% MSG를 첨가한 후 $30^{\circ}C$에서 5일간 젖산발효를 진행한 결과 발효 2일 동안 pH는 6.1에서 4.4로 감소하다가 발효 5일에 6.2로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산도는 발효 2일 동안 0.5%에서 1.3%로 증가한 후 발효 5일에 다시 0.4%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생균수는 초기 젖산균 스타터 $2.4{\times}10^7CFU/mL$에서 발효 1일째 $2.2{\times}10^9CFU/mL$로 증가한 후 5일 동안 계속 유지되었다. 전구물질인 MSG는 발효 4일에 대부분이 이용되면서 약 2.31% 농도의 GABA로 전환되었으며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IC_{50}$ 값이 1.24 mg/mL로, ABTS radical 소거 활성에서 $IC_{50}$ 값은 1.53 mg/mL로 나타나면서, 발효물의 항산화 효과가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팽이버섯 발효물 30 g에 볶은 밀기울 1 g을 첨가하여 열풍 건조한 천연 발효조미료의 GABA 함량은 17%로 고농도의 GABA를 함유하여 probiotic 기능성이 강화되며 기호성을 갖는 발효조미료 및 건강소재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팽나무버섯 polyphenol oxidase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phenol Oxidase from Flammulina velutipes)

  • 표한종;손대열;이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52-558
    • /
    • 2002
  • 팽나무버섯(Flammulina velutipes)에서 polyphenol oxidase가 황산암모늄 침전법, Superdex G-75 겔여과크로마토그래피, Phenyl superose 친화크로마토그래피, Mono-Q 이온교환수지 크로마토그래피, 그리고 Superdex S-200 겔크로마토그래피 등의 과정으로 정제되었으며, 특성화 되었다. 정제된 효소의 비활성도는 199.1 units/mg으로 나타났으며, 이 효소는 40 kDa의 단일폴리펩티드 사슬로 구성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효소반응의 최적 pH와 온도는 각각 6.0과 $25^{\circ}C$,이었으며, pH 3과 5 사이의 산성조건과, pH 8과 10 사이의 알카리 조건에서는 활성이 감소되거나 상실되었다. 이 효소는 L-DOPA와 caffeic acid 등의 o-diphenols류에 대하여 높은 효소활성을 나타내었으며, L-DOPA와 caffeic acid에 대한 Km 값은 각각 3.97mM과 1.78mM로 계산되었다. 2-mercaptoethanol, L-ascorbic acid, sodium bisulfite, EDTA와 $Mg^{2+}$은 팽나무버섯 pholyphenol oxidase의 효소활성을 감소시켰으며, $Cu^{2+}$, $Fe^{2+}$, $Zn^{2+}$ and $Ni^{2+}$ 등은 효소의 활성을 촉진하는 인자로 밝혀졌다. 정제된 효소는 $-70^{\circ}C$에서 3개월, 그리고 $-20^{\circ}C$에서 1개월간 활성의 손실 없이 저장이 가능하였다.

팽이 신품종 '백이' 육성 (Breeding of a new cultivar of Flammulina velutipes: 'Baeke')

  • 임지훈;장갑열;오연이;오민지;이슬기;;공원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99-303
    • /
    • 2018
  • 팽이의 신품종을 개발하기 위하여 모균주 ASI 4216(한솔)과 4217(백중)으로부터 단포자를 분리하여 단핵균주를 얻고 이들의 교잡을 통해서 꺽쇠연결체가 확인된 교잡주총 129점을 선발하였다. 교잡주를 대상으로 3회에 걸쳐 재배시험 결과, 고온에서 배양이 가능하며 수량성이 우수한 계통 'Fv14a51'을 최종선발되었으며, 생산력검정 시험을 통해 2017년 농작물 직무육성 품종 심의회에서 '백이'로 명명되었다. 주요 특성은 균사생장이 $30^{\circ}C$의 고온에서도 균활력을 유지할 정도로 강한 온도적응성 품종이고 대조품종에 비해 갓이 두껍고 대가 얇는 형태를 띠는 것 외에는 갓색깔이 순백색이며, 갓모영은 반구형, 수량은 $257.4{\pm}13.5g$으로 대조품종과 비교해서 대체적으로 유사하였다. RAPD primer을 통해 유전적 다형성을 검정한 결과, 대조구인 '오키노메구미', 2016년에 육성된 '백승'과 신품종이 유전적으로 구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반적으로 '백이'는 수량과 품질이 외국품종과 거의 유사하였으며, 버섯의 균일한 형태로 상업적 가치가 있었다. 신품종의 현장실증을 확대하여 국산품종이 국내에 확산되기를 기대한다.

흰색 팽이 신품종 '설한' 육성 (Breeding of a new cultivar of White Flammulina velutipes, 'Seolhan')

  • 임지훈;오민지;오연이;김민식;이윤상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79-284
    • /
    • 2021
  • 팽이(Flammulina velutipes)는 주름버섯목(Agaricales), 뽕나무버섯과(Physalacriaceae)에 속하는 담자균류로서, 국내 생산량은 연간 31,818톤('19)으로 전체 생산량의 약 18%이며 버섯 전체 수출액의 약 36%를 차지할 정도로 대표적인 식용버섯이다. 그러나 국내 재배되고 있는 팽이 국산품종의 비중이 31.6%(20')로 매우 낮으므로 국제 경쟁력이 우수한 국내육성 품종확보가 필요하며 수출 버섯으로서 보다 품질이 우수한 품종 육성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농진청에서 육성한 '백승'과 '우리1호'의 단핵균주를 확보하여 mon-mon교잡을 통해 '설한' 품종을 육성하였다. 균사배양 특성은 25℃에서 균사생장이 가장 좋았으며 20, 25℃에서 대조품종보다 균사 생장속도가 빨랐다. 병재배 시 배양 최적온도는 15~17℃로 배지온도가 20℃이상 되지 않게 관리해야하며 생육온도는 7~8℃로 대조품종에 비해 다소 높다. 또한 자실체 수량은 병당(850 mL) 226.5±8.0 g으로 대조품종에 비해 18.4% 증수하였으며 초발이일수가 2일 빨라 전체적인 생육기간이 단축되었다. 또한 설한의 외형은 대조품종보다 갓이 작고 대는 굵었으며 갓 색이 더 밝았다. 대치배양과 유전적 다형성 검정 결과, 설한이 다른 흰색 품종들과 유전적으로 구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원형질체환원(原形質體還元)에 의한 몇가지 식용(食用)버섯류의 Neohaplont의 선발(選拔) (Selection of Neohaplont in Some Edible Fungi by Protoplast Reversion)

  • 유영복;이연희;여운형;엄승덕;차동열;박용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8-41
    • /
    • 1987
  • Neohaplonts were obtained to improve mushroom strain from dikaryon strains of Flammulina Velutips, Ganoderma lucidum, Lyophyllum ulmarium, Pleurotus cornucopiae and Pleurotus spodoleucus by protoplast reversion. The noehaplont frequency from reversion colonies of protoplasts was 4.47-47.7%. Four more type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detected from neohaplonts of protoplast reversion in L. ulmarium, P. cornucopiae and P. spodoleucus, but one or two types were neohaplonts in F.velutipes and G. lucidum. Growth rate of neohaplonts was slow compared with dikaryon strains.

  • PDF

팽나무버섯 Leu 2 gene(${\beta}-isopropylmalate$ dehydrogenase)의 사철 느타리버섯 형질전환 (Transformation of the ${\beta}-Isopropylmalate$ Dehydrogenase Gene of Flammulina velutipes into Pleurotus florida)

  • 변명옥;유영복;고승주;유창현;차동열;박용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7-30
    • /
    • 1989
  • 팽나무버섯 ${\beta}-isopropylmalate$ dehydrogenase의 유전자가 PBR322에 크로닝된 백터를 이용하여 사철느타리버섯 Leucine 영양요구성 균주를 형질전환 시켰다. 형질전환율은 저조하였으나 형질전환된 균총은 버섯 최소배지에서 다소 느리지만 생육할 수 있었다. 형질전환은 Southern hybridization과 형질 전환된 사철 느타리버섯 염색체 DNA를 다시 대장균에 형질전환시켜 확인하였다.

  • PDF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annanase-Producing Bacillus amyloliquefaciens YJ17 from Spent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Substrates

  • Kim, Hye Soo;Kim, Chul Hwan;Kwon, Hyun Sook;Cho, Soo Jeong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1-26
    • /
    • 2016
  • The mannanase-producing bacteria, designated YJ17, was isolated from spent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substrates. The isolate YJ17 was a facultative anaerobic and was grown at temperatures ranging from $20^{\circ}C$ to $50^{\circ}C$ with an optimal temperature of $40^{\circ}C$. The DNA G+C content of the YJ17 was 44 mol%. The major fatty acids were anteiso-15:0 (38.9%), 17:0 (7.6%), and iso-15:0 (36.5%). The 16S rRNA gene sequence similarity between the isolate YJ17 and other Bacillus strains was from 98% to 99%. In the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these sequences, the isolate YJ17 and Bacillus amyloliquefaciens clustered within a group together and separated from other species of Bacillus. Based on the physiological and molecular properties, the isolate YJ17 was classified within the genus Bacillus as B. amyloliquefaciens YJ17. The optimal pH and temperature for mannanase activity of B. amyloliquefaciens YJ17 were pH 7.0 and $50^{\circ}C$, respectively.

Cytoprotective effect of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different mushrooms against 7-ketocholesterol induced damage in mouse liver cell line (BNL CL. 2)

  • Kim, Joo-Shin;Chung, Hau Yin;Na, Keu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권3호
    • /
    • pp.180-183
    • /
    • 2007
  • Cytoprotective ability of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different edible mushrooms was investigated on the 7-ketocholesterol-induced damaged cell line. Polysaccharide extracts from six different edible mushrooms-Flammulina velutipes, Peurotus ostreatus, Lentinus edodes, Agrocybe aegerita, Agaricus blazei, and Cordyceps militaris- were prepared by hot water extraction and alcohol precipitation. Cytoprotective ability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viable cells of the normal embryonic liver cell line (BNL CL. 2) in the presence of 7-ketocholesterol. At $80\;{\mu}g/mL$ of 7-ketocholesterol, cytotoxicity was very high with a loss of 98% of viable cells after 20 h of incubation. With the addition of $200\;{\mu}g/mL$ of each polysaccharide isolate to the cell line containing $80\;{\mu}g/mL$ of 7-ketocholesterol, polysaccharide isolates from both Flammulina velutipes and Peurotus ostreatus could significantly inhibit the 7-ketochoelsterol-induced cytotoxicity in the cells. But other polysaccharide isolates were not effective in inhibiting cell damage caused by the oxLDL-induced cytotoxicity.

국내산 자원 식물 및 버석류에서 $\gamma$-aminobutyric acid의 함량 분석 (Analysis of $\gamma$-Aminobutyric acid Concentrations in Korean Plants and Mushrooms)

  • 김효정;김현정;전방실;차재영;김현경;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537-542
    • /
    • 2001
  • 몇몇 식용 및 약용식물의 버섯의 천연 생리활성성분을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원료로 사용할 목적으로 이들의 ${\gamma}$-aminobutyric acid 함량을 축정하여 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자원식물중에서 뽕나무잎 및 꾸지뽕나무잎ㅍ과 열매에서 각각 134.03, 104.13및 120.99 mg/100g gDM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또한 버섯유에서 ${\gamma}$-aminobutyric acid의 함량은 식용버섯인 느타리버섯, 팽이버섯, 및 표고버섯에서 각각 93.44m 72.17 및 61.15 mg/100g DM로 약용 버석인 상황버석과영지버석의 10.31및 3.09 mg/100 g DM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약용자원식물인 뽕나무류와 식용버섯류에서 천연 생리활성성분인 ${\gamma}$-aminobutyric acid를 비교적 많이 함유하고 있어 가능성 식품의 의약품원료로 사용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