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 viscera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9초

배합사료에 생약재 첨가가 조피볼락 치어 및 육성어의 성장, 사료 이용성 및 체조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upplemental Herb Medicines in the Diets on Growth, Feed Utilization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and Grower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서주영;김경덕;이상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2-117
    • /
    • 2009
  • 배합사료에 생약재 첨가가 치어기 및 육성기 조피볼락의 성장, 사료이용성 및 체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14가지 생약재 혼합물 및 약쑥과 삼지구엽을 혼합 첨가한 배합사료로 치어기(3.6 g) 및 육성기(166 g) 조피볼락을 8주간 사육실험 하였다. 치어의 생존을, 증중량, 사료 효율, 일일사료섭취량, 단백질 효율, 비만도 및 간중량지수는 사료 침가제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P>0.05). 육성어의 증중량, 일일사료섭취량, 비만도 및 간중량지수는 사료 첨가제에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P>0.05), 사료 효율과 단백질 효율은 생약재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사육실험 종료 후, 치어와 육성어의 등 근육, 간, 장 및 전어체의 일반성분 및 지방산은 모든 실험구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조피볼락 치어의 성장 및 사료이용효율이 사료 첨가제에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육성어의 경우에는 생약재 첨가가 사료이용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어류의 성장단계에 따라 그 효능이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오징어 내장으로부터 추출한 지질성분의 항산화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Different Lipid Extracts from Squid Viscera)

  • 정용실;홍정화;변대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96-703
    • /
    • 1994
  • 수산 폐기물의 효과적인 이용을 위하여 오징어 내장의 지질을 추출하여 용매를 달리하여 분리한 후 어유에 첨가하여 산화효과를 검토하였다. 오징어 내장의 주요 지방산은 팔미틴산($C_{16:0}$), 올레산($C_{18:1}$), 아이코산펜타엔산($C_{20:5}$), 그리고 도코사헥사엔산($C_{22:6}$)으로 추출용매의 종류에 따라 $64{\sim}71\%$를 차지하였으며 그 중 오메가-3 고도불포화지방산(n-3 PUFA)의 함량이 $41\%$ 이상이었다. 조지질을 정제어유에 각각 $5\%,\;1\%,\;0.5\%$ 첨가하여 $40^{\circ}C$에서 저장하면서 산화억제정도를 검토한 결과 적정농도 ($5\%$) 이하로 첨가할 경우의 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헥산 추출물은 조지질이나 사염화탄소-메탄올추출물 보다 산화억제효과가 낮았으며 사염화탄소-메탄올(1 : 1, 1 : 3, 1 :9 v/v)추출물은 극성이 높을 수록 효과가 큰 것으로 미루어 볼 때 극성지질이 산화억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 PDF

멸치 육과 내장으로부터 분리한 Cathepsin L, Chymotrypsin 및 Trypsin의 단백질분해 특성 (Proteolytic Properties of Cathepsin L, Chymotrypsin, and Trypsin from the Muscle and Viscera of Anchovy, Engraulis japonica)

  • 변재형;허민수;조득문;김형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57-568
    • /
    • 1995
  • 어류의 사후 초기의 변화를 육 및 장기조직중에 분포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작용과 관련하여 검토할 목적으로 멸치의 육 및 장기에서 분리한 cathepsin L과 chymotrypsin 및 trypsin의 단백질 기질에 대한 특성과 근원섬유단백질에 대한 분해능을 전기영동적으로 분석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이들 세 효소의 casein에 대한 친화도는 유사하였고, 근원섬유단백질에 대한 친화도는 casein에 대한 친화도보다 높았다. 멸치와 방어의 근원섬유단백질에 대한 cathepsin L과 chymotrypsin의 활성은 trypsin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0-25\%$까지의 식염농도에서 세 효소의 단백질분해활성은 식염의 농도에 반비례하였으며, 식염의 공존상태에서 세 효소는 casein 보다 근원섬유단백질에 대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관원섬유단백질의 효소 분해시에 cathepsin L은 chymotrypsin과 trypsin에 비하여 염농도와 온도에 의한 영향이 적었다. 따라서, 멸치의 사후변화와 젓갈 숙성 중의 자가소화는 trypsin보다는 cathepsin L과 chymotrypsin의 단백질분해활성이 더욱 깊이 관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LA 첨가사료가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 성장과 지방산 조성 및 내장 추출지방이 지방세포 3T3-L1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ietary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and Carotenoids on Growth, Fatty Acid Composition, and 3T3-L1 Cells in Black Sea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 곽뢰;쥴리야티 로마;최광수;박시향;하영래;강석중;최병대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48-556
    • /
    • 2015
  • 공액리놀레산(CLA)과 카로테노이드 일정량을 함유하는 두 가지 사료구와 대조구를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에 급여하였다. 대조구에는 CLA와 카로테노이드가 포함되지 않았고, CP10구에는 CLA 1%와 카로테노이드 0.1%가 포함되었고, CP25구에는 CLA 2.5%와 카로테노이드 0.1%가 포함되었다. 대조구, CP10 및 CP25구의 일일성장률(SGR)은 0.74, 0.81, 0.97이었고, 사료요구율은 2.65, 2.46 및 2.04이었다. 사육 후 근육 내에 축적된 CLA 함량은 CP10 및 CP25구에서 각각 2.8% 및 5.6%였으며, 내장에 축적된 CLA 함량은 4.0% 및 8.3%였다. 한편, CP25구의 에서 추출된 지용성 물질(VLE)을 첨가한 3T3-L1 지방세포 생존율은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처리량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CP25구의 VLE 추출물 농도를 1, 10, 50 및 $100{\mu}g/ml$으로 처리하였을때 각각 $85.9{\pm}0.8%$, $74.8{\pm}0.9%$, $75.5{\pm}0.6%$$72.1{\pm}0.7%$ 감소시켰다. 이와 같은 사료로 감성돔을 사육하는 경우 CP10 및 CP25구의 내장에서 추출한 지질함량 중 CLA함량은 각각 4.0% 및 8.5%, 카로테노이드는 각각 0.62 mg/g 및 0.56 mg/g, EPA 및 DHA는 각각 11.7%와 10.8% 및 11.8%와 12.7%로 증가하였고, 총 PUFA 함량도 각각 48.4% 및 50.5%로 증가하여 인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성분을 동시에 섭취할 수 있어 기능성 어류의 생산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료원료 공급량 및 스크류 회전속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배합사료가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성장 및 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 Rate and Screw Speed of Extruded Diets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경덕;김강웅;이봉주;배기민;안철민;한현섭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577-581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 extruder conditions, such as feed-loading rate and screw speed, on growth performance and biochemical responses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Over 8 wks, we used four identical diets (triplicated per treatment) with differing ratios of feed-loading rate (kg/h):screw speed (rpm/min) in a laboratory-scaled twin-screw extruder of 50:640, 80:640, 120:640, and 80:400, designated as EP1, EP2, EP3, and EP4, respectively. Screw speed impacted the buoyancy of experimental diets. Diets produced at a screw speed of 640 rpm/min floated for > 24 hrs, whereas those produced at a speed of 400 rpm/min sank between 10 s and 5 min. Fish that were fed EP1 and EP4 diets grew significantly faster than those fed EP2 and EP3 diets. Fish fed EP1 diets ate and gained weight most efficiently among treatments, a result that is likely to be related to feed-loading rate, i.e., ingredients extruded at a low feed-loading rate may have more time to cook in the pre-conditioner of the extruder. A cooked diet may be easier to digest in fish. Fish fed EP4 diets also showed significant weight gain, as compared to those fed EP2 and EP3 diets. However, we found no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in proximate compositions of dorsal muscle, liver, and viscera of fish. Our results suggest that extruder conditions, may influence feed quality, impacting feed efficiency and growth of fish.

Anisakis 형(型) 유충(幼蟲)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Anisakis Type Larvae)

  • 임정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93-307
    • /
    • 1975
  • As it has been known recently that anisakis type larvae harbouring in marine fishes are a causal agent of zoonosis to human and probably to land living mammal animals, attention was focused on the study on the larvae in an aspect of epidemiology or epizootiology. The present work was conducted from 1966 to 1975 for i) survey on the harbouring status of anisakis type larvae in marine fishes of this country, ii) observation on the response to the experimental infestation of the larvae to the pigs, in the reason that they could well fetid raw fish viscera occasionally containing the larvae as a high protein source of swine food, and iii) observation on the larval resistance and response to vermicidal agents for the purpose of prevention of the larval infection to the mammal animals. The data obtained in the studie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survey on the status of larvae harbouring in main species of marine fishes of this country, 15 species, a total of 1,940 fishes, were observed and the result was summarized in table 2. Average number of larvae, in upper rank of 5 out of all 15 species of fishes, were as highest as 156 larvae ranging 74 to 450 in Pseudosciaena manchurica (chamjogi), 54.5 ranging 15 to 240 in Trichiurus haumela (kalchi), 35.6 ranging 8 to 112 in Trachurus japonica (junggengi), 30.6 ranging 4 to 65 in Parapristipama trilineatum (benjari) and 20.5 ranging 3 to 48 in Nibea argentata (boguchi) respectively. In morphological observation, size of the larvae in the fishes were varied, ranging from 2 to 32mm long, and a tendency to larger size and number of larvae in the fishes, which were wider sea migration, higher age and lager bodily size, was observed The favorite places harbouring the larvae in fishes were mainly around the intraperitoneal viscera such as mesentery, omentum, liver, pyloric suspensory, fat tissue and cloaca, and rarely in body muscles of fish. Fishes heartily infested with the larvae showed stunted growth decreased egg formation and severe damage of liver. 2. In the experimental infestation of the larvae to normal pigs, as illustrated in table 3, a group with large dose of larvae (a total of 1,800 larvae, 300 larvae Per dose, twice in a dart for 3 days) showed acute clinical syndrome terminatine death with a week course, whereas two groups with less dose of larvae (a total of 180~360 larvae, 10 larvae per dose, at 5 days interval for 70~180 days) showed subclinical syndrome with remarkably stunted growth as. much as approximately one half of body size in contest to the control pigs. In the pathological findings, a group with large dose of larvae showed macroscopically larvae penetrating to the gastric wall with severe gastroenteritis, and histopathologically various acute lesions caused by active larvae penetration into the wall of stomach and interstine, whereas two groups with less dose of larvae showed chronic lesions such as hypertrophy and verminous granulomatous swelling of gastric wall, suggesting strongly the possibility of natural infestation of larvae to swine. 3. In the resistance of the larvae to the chemical solutions, the larvae tolerated for 2 days in 15 percent solution of sodium chloride and acetic acid, and for 7 days in 70 percent solution of ethyl alcohol. In the resistance to the temperature, the larvae died within 1 second at $62^{\circ}C$ and tolerated for 24 hours at $-3^{\circ}C$, 12 hours $-5^{\circ}C$ respectively. 4. For the experiment on the vermicidal effect to larvae, general vermicidal drugs such as Neguvon, Combantrin, antimony Potassium, piperazine adipate and piperazine dihydrochloride, oxidizer such as potassium permanganate and potassium chlorate, and dyes such as gentian violet and crystal violet were used, and among them, as illustrated in table 6, potassium permanganate was proved as the best. In the successive test for the practical use of potassium permanganate, vermicidal effect in seawater solution of potassium permanganate and common-water solution of potassium permanganate were compared, and then retested by dipping the fish viscera including the larvae into the two different solutions of potassium permanganate. The result through these tests indicated that 0.01 percent common water and sea-water solution of potassium permanganate could be apparently recommended as a preventive vermicidal solution, having 90 to 100 percent vermicidal effect by dipping for 12 to 24 hours even though sea-water solution of potassium permanganate had a tendency to slightly less effect than the common-water solution of potassium permanganate (Table 8).

  • PDF

메기(Silurus asotus)에 투여한 멜라민의 체내함량 변화 (Accumulation and Depletion of Melamine Through Experimental Feeding in Catfish Silurus asotus)

  • 김풍호;조미라;이희정;김경덕;하광수;유현덕;유홍식;이두석;윤호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577-583
    • /
    • 2011
  • In 2007, pet food contaminated with melamine caused hundreds of dogs and cats to develop renal failure all over the world. In 2008, over 294,000 infants consumed infant formula and developed kidney stones in China. Further investigation revealed that fish feed also contained melamine; this raised concerns about melamine residues in edible fish tissues, which could have caused the urinary tract stone epidemic. In Korea, catfish fed with assorted feed that included cuttlefish organs that contained melamine developed whitening syndrome and fell dead in some populations in 2008. This event raised suspicions about the toxicity of melamine and all feeds containing melamine were immediately recall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ates of melamine accumulation and depletion in muscle and viscera of catfish to propose proper withdrawal periods. One group of catfish was fed a commercially available diet that contained 30, 100 and 300 mg melamine per kg diet for 14 days. To investigate residual melamine contents in muscle and viscera, other experimental groups were fed a melamine free diet after being fed melamine for 7 days. The residual amount of melamine was analyzed by LC-MS/MS. The melamine concentration in muscle was estimated to be 3.7 mg/kg after 6 days of feeding with a diet containing 300 mg melamine/kg. After 2 days of culture with a melamine free diet, the residual melamine was depleted and the concentration had decreased from 1.15 mg/kg to 0.19 mg/kg in the muscle of catfish fed a diet containing 300 mg melamine/kg for 7 days. The residual amount of melamine was reduced to 0.03 mg/kg in muscle after 7 days of culture with a melamine free diet and was undetectable after a prolonged culture period of 14 days. Catfish tend to excrete melamine rapidly after oral administration and changes in body color were not observed during the short dosing period.

식품소재로서 어류뼈의 성분 특성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fish bone as a food source)

  • 최종덕;구재근;김진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1호
    • /
    • pp.67-72
    • /
    • 1998
  • 수산가공 부산물을 식품소재와 같이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일련의 기초 연구로 6종의 어류뼈(대구뼈, 명태뼈, 각시가자미뼈, 민태뼈, 붕장어뼈 및 고등어뼈)에 대하여 식품 성분 특성을 검토하였다. 건물당 조단백질 함량, 콜라겐 함량 및 amino acid 조성비는 민태뼈가 각각 40.7%, 5.86% 및 189 잔기/1,000 잔기로 기타 어류뼈의 $28.8{\sim}38.8%$, $39.4{\sim}5.73%$$160{\sim}170$ 잔기/1,000 잔기 보다 높았으나, 가축뼈 콜라겐의 amino acid 조성비(204 잔기/1,000 잔기) 보다는 낮았다. 각시가자미뼈, 붕장어뼈 및 고등어뼈의 경우 건물당 조지방 함량은 $22.8{\sim}43.9%$이었고, 생리작용을 가지고 있는 EPA 및 DHA 등의 조성비는 $15.6{\sim}23.8%$로 오징어 내장의 그 성분들보다 낮았다. 어류뼈의 무기질은 대부분 칼슘$(37.1{\sim}38.6%)$및 인$(18.0{\sim}18.5%)$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이들의 함량은 대구뼈(38.1% 및 18.5%) 및 명태뼈(38.6%, 18.3%)가 다른 어류뼈는 물론이고, 가축뼈보다 많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콜라겐 또는 젤라틴 추출 소재로는 민태뼈가, 칼슘 추출소재로는 대구뼈 및 명태뼈가 적절 하였다.

  • PDF

자외선을 이용한 활어용 수조수의 위생 대책 수립 (Sanitary Control of Aquarium Tank Water with U.V. Light)

  • 최승태;박미연;장동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28-434
    • /
    • 1995
  • 생선 횟집의 활어용 수조수에 대한 위생 대책 수립의 일환으로 자외선을 이용한 제균 효과를 검토하였다. 1. 물 두께 10mm (유수량: 730ml/sec, 등; 5조, 통과 시간: 2.4초)와 자외선 조사량 75W의 조건에서 자외선 등 통과 직후의 해수에서의 생균수 감소율은 평균 $85.0\%$였다. 2. 장염 비브리오균의 경우, 자외선 조사 후 1시간만에 3 log cycle 감소하였으며, 그 이후 큰 변화가 없었다. 3. 한편 쥐치에 같은 조건으로 72시간 처리했을 때 내장 세균의 감소는 거의 없었으나, 돌돔 및 쥐치의 표피와 아가미에서의 생균수 감소율은 약 2log cycle이었다. 4. 패류의 여수율을 좋게 하기 위하여 수조수의 온도를 $20-23^{\circ}C$로 조절한 수조에서 홍합과 굴을 같은 조건으로 처리했을 때 24시간 후에 생균수의 감소율은 홍합과 굴에서 각각 2 log cycle 정도였으며, 분변계 대장균의 경우는 각각 3 log cycle, 1.5 log cycle 정도 감소하였다.

  • PDF

한국 연안에서 채집된 자연산 해산어의 아니사키스 유충 감염 (Survey of Anisakis spp. infection in wild populations of marine fish caught from coastal areas of Korea)

  • 최희정;전은지;이덕찬;조미영;지보영;임영수;박명애;서정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01-210
    • /
    • 2009
  • 2007년 3월부터 2008년 2월까지 약 12개월에 걸쳐서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지역에서 총 11목 44종 989마리 자연산 해산어류를 대상으로 아니사키스형 유충의 기생상황을 조사하였다. 유충의 감염률은 44종 중 28종에서, 전체 989마리 중 377마리에서 검출되어 평균 38%의 감염률을 보였다. 적출된 유충의 대부분은 형태학적 조사 및 유전학적 조사를 통하여 A. simplex type I 유충으로 동정하였다. 일반적으로 가을 겨울철보다 봄 여름철에 감염률이 높았으며, 같은 어종이라도 크기가 큰 개체에서 감염률이 높게 나타났다.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통하여 유충의 기생 부위는 어종에 따라서 다르나 대체로 배설강 주변부를 비롯하여 장간막, 간, 복강지방 등 이였으며, 한두 마리씩 산재해 있는 것과 여러 마리가 함께 모여 있는 것, 피낭에 뭉쳐 있는 것 등 다양하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