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tioxidant Activity of Different Lipid Extracts from Squid Viscera

오징어 내장으로부터 추출한 지질성분의 항산화효과

  • JEONG Yong-Sil (Department of Nutrition and Food Scienc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HONG Jeong-Hwa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Inje University) ;
  • BYUN Dae-Seok (Department of Nutrition and Food Scienc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정용실 (부산수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홍정화 (인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변대석 (부산수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1994.11.01

Abstract

To utilize waste of squid effectively, antioxidant properities of squid viscera were elucidated. Major fatty acids of total lipid, neutral lipid and phospholipid were $C_{16:0},\;C_{18:1}\;and\;C_{20:5},\;C_{22:6}$ and consisted $63{\sim}71\%$ of total fatty acids. Total lipid did not show significant antioxidant activity when added to the fish oil at the concentration below $5.0\%$, Antioxidant activity of hexane extract was lower than total lipid or tetra carbon chloride-methanol($CCl_4-MeOH$) extract. Extracts with $CCl_4-MeOH$ exert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as the methanol ratio was increased, suggesting that polar lipid plays and important role.

수산 폐기물의 효과적인 이용을 위하여 오징어 내장의 지질을 추출하여 용매를 달리하여 분리한 후 어유에 첨가하여 산화효과를 검토하였다. 오징어 내장의 주요 지방산은 팔미틴산($C_{16:0}$), 올레산($C_{18:1}$), 아이코산펜타엔산($C_{20:5}$), 그리고 도코사헥사엔산($C_{22:6}$)으로 추출용매의 종류에 따라 $64{\sim}71\%$를 차지하였으며 그 중 오메가-3 고도불포화지방산(n-3 PUFA)의 함량이 $41\%$ 이상이었다. 조지질을 정제어유에 각각 $5\%,\;1\%,\;0.5\%$ 첨가하여 $40^{\circ}C$에서 저장하면서 산화억제정도를 검토한 결과 적정농도 ($5\%$) 이하로 첨가할 경우의 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헥산 추출물은 조지질이나 사염화탄소-메탄올추출물 보다 산화억제효과가 낮았으며 사염화탄소-메탄올(1 : 1, 1 : 3, 1 :9 v/v)추출물은 극성이 높을 수록 효과가 큰 것으로 미루어 볼 때 극성지질이 산화억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