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 protein

검색결과 1,365건 처리시간 0.024초

부산지역 노로바이러스의 유전적 분석 (Genetic analysis of norovirueses in Busan)

  • 김광일;진지웅;정현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55-26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RT-nested PCR을 수행하여 부산 도심의 하천 중 동천에 존재하는 노로바이러스를 검출하고자 하였다. 기존에 보고되어진 노로바이러스의 capsid protein의 염기서열을 비교하여 노로바이러스 genogroup I,II (GI,II) 를 검출하기 위한 새로운 degenerated primer sets (PNK, KGIF/KGIR and KG2F/KG2R) 를 제작하였으며, 채수한 동천 시료를 초고속원심분리기를 통해 농축 후 물 속에 존재하는 노로바이러스의 검출을 시도하였다. 노로바이러스를 검출하기 위해 PCR primer를 비교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작한 capsid protein gene을 target으로 하는 primer set가 기존에 보고되어 있는 primer set보다 동일 시료에 대한 검출빈도가 우수하였다. 동천에 존재하는 노로바이러스의 오염 수준은 GI과 GII가 각각 76.47% (13/17), 70.59% (12/17) 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존에 알려진 primer와 본 연구에서 제작한 primer를 사용하였을 때 검출된 양성비율이 차이가 나지 않았다. 검출된 노로바이러스를 염기서열 비교를 통한 계통 발생학적 분석 결과, 동천에서 검출된 GI의 경우 1/2/4/5/9/10의 genotype이 GII의 경우 3/4/5/11/13의 genotype으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검출된 major type 중 GII/4의 경우, 최근 아시아 각국에서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major genotype으로 알려져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위험성을 제고하게 하였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국내의 강, 호수, 하천 등이 비슷한 노로바이러스의 GI,II의 genotype으로 오염되어 있음을 암시하며 수계환경 중 미생물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로바이러스의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추출조건이 어분단백질 물성과 필름의 ester 화합물 투과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tracting Conditions on the Properties of Pish Meal Protein Isolates and the Permeability of Protein Film for Ester Compounds)

  • 유병진;심재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20-326
    • /
    • 2001
  • 어분단백질의 이용성을 높이기 위한 가식성 혹은 생분해성 필름가공을 목적으로 알칼리 처리하여 제조된 FMPI의 물성과 이물성과 ester 화합물의 필름 투과율과 인장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어분으로부터 알칼리처리하고 추출조건을 달리하여 제조된 FMPI의 추출량은 추출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FMPI의 소수성은 추출시간 1시간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가 그 이상 추출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유화활성은 추출시간이 5시간까지 증가함에 따라 급격한 증가를 보였으며, 유화안정성은 추출시간 2시간까지 추출시간의 증가에 따라 급격한 감소를 보여 유화활성과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점도는 pH가 2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고 pH가 4일 때 가장 점도가 낮게 나타났다. 첨가하는 가소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필름의 ethyl acetate의 투과도는 증가하였다. 가소제의 종류별에 따른 ethyl acetate의 투과도는 polyethylene glycol, glycerol 및 sorbitol 첨가 필름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ester 화합물 중에서는 ethyl formate의 투과속도가 가장 높았다.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ethyl acetate의 필름 투과속도는 증가하였다. FHPI의 표면소수성이 증가하면 필름의 인장강도가 증가하였다. 필름의 신장율은 FMPI의 표면소수성보다 가소제의 종류에 더 큰 영향을 받았다.

  • PDF

멸치 젓갈 숙성중의 dimethylamine의 생성 (FORMATION OF DIMETHYLAMINE IN THE COURSE OF ANCHOVY FERMENTATION WITH SALT)

  • 변재형;정보영;황금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23-231
    • /
    • 1976
  • 어류가공품중에 분포하는 2급 amino의 생성 원인을 구명하기 위한 연구의 일부로서, 멸치를 $22\%$의 식염을 첨가하여 $17^{\circ}C$$27^{\circ}C$의 온도별로 열성시키면서 숙성 일정별로 단백질과 TMAO의 분해생성물을 분석하여 2급 amino의 생성과 관계있는 몇가지 실험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한다. 단백질 질소는 $17^{\circ}C$$27^{\circ}C$에서 숙성시켰을 때, 전숙성기간을 통하여 일률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아미노태 질소는 단백태 질소의 감소에 반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이때 아미노태 질소의 증가속도는 $27^{\circ}C$에서 숙성한 것이 $17^{\circ}C$에서 숙성한 것에 비하여 훨씬빨랐다. TMA는 TMAO의 감소와 더불어 증가하여 갔으며 숙성 69일까지는 계속 증가하다가 이후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때 온도에 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DMA는 $17^{\circ}C$에서 숙성시켰을 때는 숙성 69일까지 계속 증가하다가 이후 미미한 변화를 보였으며, $27^{\circ}C$에서 열성시킨 것은 숙성 59일까지는 계속 증가하다가 그 이후는 미미한 변화를 보였다. DMA는 TMAO의 양적변화에 비추어, $17^{\circ}C$에서 숙성시켰을 때는 상관계수 r=-0.811, 그리고 $27^{\circ}C$에서 숙성시켰을 때는 상관계수 r=-0.865로서 각각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멸치 젓갈 숙성중의 DMA의 생성원인은 그 기여율이 $17^{\circ}C$일 때 $r^2\fallingdotseq0.75$, TMAO의 분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및 가다랑어(Katsuwonus pelamis) 알로부터 알칼리 가용화과정을 통해 회수한 알칼리 불용성획분의 이화학적 성분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lkaline-insoluble Fractions Recovered from Bastard Halibut Paralichthys olivaceus and Skipjack Tuna Katsuwonus pelamis roes by Alkaline Solubilization)

  • 윤인성;강상인;박선영;차장우;김도엽;김진수;허민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30-237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ood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alkaline-insoluble fractions (AIFs) recovered from bastard halibut Paralichthys olivaceus (BH) and skipjack tuna Katsuwonus pelamis (ST) roes using the alkaline solubilization. The moisture content of AIFs ranged from 4.8% to 12.8%, and ST provided significantly better yields (9.5 for STAIF-11 and 7.1 g/100 g roe for STAIF-12) than did BH (P<0.05). The protein content of AIFs ranged from 71.7% to 79.2%, with the highest level yielded by STAIF-11 (6.8 g/100 g roe). The crude fat content of AIFs was 10.9-14.3% and the mineral content was 0.7-3.4%. The major mineral components of AIFs were sulfur, sodium, potassium, and phosphorus. Color values showed that BHAIFs were significantly brighter than STAIFs. Total contents of essential amino acid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TAIFs (47.5-49.5%) than in BHAIFs. The major essential amino acids found in AIFs from both sources were Val, Leu, Lys, and Arg. Therefore, AIFs were significantly superior to whole BH roe in terms of physicochemical and nutritional status, and we identified species-specific differences between BH and ST. Protein is a major component of AIFs recovered from fish roes, which suggests that they have potential for use as a protein source.

천연 및 양식산 은어의 근육 및 난의 일반성분 조성 (Proximate compositions of wild and cultured sweet smelt (Plecoglossus altivelis) muscles and eggs)

  • 정보영;문수경;정우건;하해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689-692
    • /
    • 1999
  • 양식산 은어의 품질 향상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섬진강과 밀양강에서 채포된 천연산과 하동과 밀양 소재의 양식장에서 구임한 양식산 은어의 근육 및 난에 대하여 일반성분 조성을 분석,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천연산 은어 근육의 수분함량은 $76.7\~77.5\%$, 단백질 $18.4\~19.9\%$, 지질 $2.41\~3.47\%$, 회분 $1.04\~1.33\%$으로 산지에 다른 차이가 거의 없었다. 양식산 은어 근육에서 단백질과 회분 함량은 천연산과 유사하였으나, 지질($4.68\~10.1\%$) 및 탄수화물($1.14\~2.82\%$) 함량은 천연산에 비하여 많았으나 수분 함량은 적었으며, 특히 지질 함량은 양식장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양식장에 따른 일반성분 조성 차이는 그들의 사료 조성의 차이가 크게 기여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또한 지질 함량은 거의 모든 시료에서 수컷에 비하여 암컷에서 약간 많은 경향을 보였다. 은어난의 일반성분 조성 중 지질, 단백질, 탄수화물 함량은 근육에 비하여 많았으나 수분 함량은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근육의 경우와 달리 산지 및 양식장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시험된 모든 시료에서 지질과 수분 함량 사이에는 y= -0.2715x+24.903 (r= -0.7253, p<0.001)로 역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붕어와 마우스의 간세포 배양에서 열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되는 heat shock factor1 (HSF1)의 비교 (Comparison of Thermal Stress Induced Heat Shock Factor 1 (HSF1) in Goldfish and Mouse Hepatocyte Cultures)

  • 김소선;소재형;박장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2호
    • /
    • pp.1360-1366
    • /
    • 2016
  • Heat shock proteins (HSPs)은 다양한 생리학적인 또는 환경적 스트레스에 응답하여 유도된다. 그러나 HSPs의 전사 활성은 heat shock factors (HSFs)에 의해 조절 된다. 현재 연구에서는 붕어와 마우스의 간세포 배양에서 열 스트레스에 의한 heat shock factor 1 (HSF1)의 패턴 차이와 heat shock protein 70 (HSP70)의 발현을 면역분석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붕어의 간세포는 $33^{\circ}C$에서 trimer를 이루지만 마우스의 간세포는 $42^{\circ}C$에서 trimer를 이루었다. 이 연구는 붕어와 마우스의 HSF1은 열 스트레스로부터 다른 온도에서 반응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재조합 단백질을 이용하여 붕어와 인간의 HSF1의 온도에 따른 활성 조건을 CD spectroscopy와 면역분석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인간과 마우스 HSF1과 붕어의 HSF1은 온도에 의한 활성 변화를 보이지만 그들의 최적 활성 온도는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까나리 액젓 부산물과 건조 비지를 첨가한 압출성형물의 제조 (Production of Extrudates Formulated from Pacific Sand Lance Sauce By-Product and Dried Biji)

  • 한규홍;김병용;이재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86-193
    • /
    • 2002
  • 까나리 액젓 부산물을 이용하고자 단백질 효율이 뛰어난 건조 비지를 혼합하여 압출성형을 하였고, 통계적 모델링과 분석을 통하여 혼합비에 따른 압출성형물의 최적화를 이루었다. 수학적인 모델과 trace plot을 이용하였을 때 건조 비지는 압출성형물의 단백질을 증가시키고, 까나리 액젓 부산물과 상호작용을 일으켜 절단파손강도를 강하게 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압출성형물내에 건조 비지가 증가함에 따라 회분과 염도는 감소하였고, 각각의 성분이 독립적으로 작용한 지방과 색도는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건조 비지를 첨가한 최적의 압출성형물을 결정하기 위해 각 반응의 canonical 계수를 이용하여 수적 최적화를 한 결과 까나리 액젓 부산물 15.83%, 건조 비지 44.17%, 밀가루 40%로 나타났고, 혼합물 성분 모형을 중첩시킨 모형적 최적화에서는 까나리액젓 부산물 15.74%, 건조 비지 44.26%, 밀가루 40%로 나타났다. 최적화된 압출성형물이 제조하여 동물실험을 하였을때 건조 비지를 첨가한 압출성형물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낮은 식이효율을 보였으나 단백질 함량의 증가가 식이효율에 주요하게 작용하여 대조군과의 차이를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의 아토피 피부염과 식생활평가지수와의 관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2016-2018년) 자료 이용 (Relationship between atopic dermatitis and the Korean Healthy Eating Index score of adults: based on the 7th (2016-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김혜원;김지명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5호
    • /
    • pp.558-57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성인 중 AD를 앓고 있는 사람들의 식이 섭취량을 분석하여 이들의 식습관이 AD발병 위험과 관련이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활용한 자료는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016-2018년) 자료로서, 참가자 중 19-64세 성인 10,571명을 AD군 (n = 366)과 non-AD군 (n = 10,205)으로 나누어 영양소 섭취 현황과 식생활평가지수 점수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AD군의 1일 총 에너지섭취량은 non-AD군보다 많았고, 단백질 에너지섭취비율, 섭취에너지 1,000 kcal 당 단백질, 인, 철, 칼륨 섭취량이 AD군이 non-AD군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식생활평가지수 총점을 비교했을 때에는, AD군의 총 채소류, 김치 및 장아찌류를 제외한 채소류, 고기·생선·달걀·콩류 섭취점수가 non-AD군보다 낮았다. 연구대상자의 식생활평가지수와 AD 위험도와의 관계를 분석했을 때, AD 위험도는 총 채소류, 김치 및 장아찌류를 제외한 채소류, 고기·생선·달걀·콩류 섭취 점수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성인 AD환자들은 채소류와 단백질 식품 섭취가 낮았는데, 이들 식품군의 높은 섭취는 낮은 AD 위험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한 바, 추후 성인 AD 관리 및 치료 시 채소류와 단백질 식품의 충분한 섭취에 대해 강조해야 할 것이다.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 사료의 EPA 및 DHA 필수성 (Essentiality of Dietary Eicosapentaenoic Acid and Docosahexaenoic Acid in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이상민;이종윤;허성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12-726
    • /
    • 1994
  • 조피볼락 사료의 EPA 및 DHA 필수성과 적정 EPA/DHA 비를 구명하기 위해, 기본 지질을 우지로 하여 EPA와 DHA를 각각 $0{\sim}1.75\%$ 첨가한 사료와 EPA/DHA 비를 다르게 첨가한 사료 18종을 제조하여 조피볼락 치어(평균 체중 2.1 g)를 대상으로 5주간 사육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간증중율(EPA 사료: $2.39{\sim}3.66\%$, DHA 사료: $2.39{\sim}3.72\%$)과 사료효율(EPA 사료: $73{\sim}97\%$, DHA 사료: $73{\sim}100\%$)은 EPA 및 DHA 사료 모두 사회중의 함량 $1.0\%$까지만 증가하고 그 후에는 일정한 값을 나타내어, EPA 및 DHA 요구량이 모두 $1.0\%$로 추정되었다. 단백질축적효율(EPA 사료: $23.3{\sim}32.6\%$, DHA 사료: $23.3{\sim}35.9\%$)과 지질축적효율(EPA 사료: $82.2{\sim}109.5\%$, DHA 사료: $82.2{\sim}112.1\%$)도 사료의 EPA 또는 DHA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EPA 사료에서보다 DHA 사료에서 전반적으로 좋은 반응을 보였으며, EPA/DHA 사료에서도 EPA에 대한 DHA 비가 1.0 이상인 사료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전어체의 단백질 함량은 큰 변화가 없었지만 지질 함량은 사료의 EPA 및 DHA가 증가할수록 약간씩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간중량비는 사료의 EPA 및 DHA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DHA 사료가 EPA 사료보다 대체로 낮은 값을 보였다. 사료의 EPA가 증가함에 따라 간 극성지질의 EPA ($0.4{\sim}4.3\%$) 함량은 증가하였으나DHA ($0.2{\sim}l.0\%$) 함량은 거의 증가하지 않았고, 사료의 DHA 증가와 더불어 간 극성지질의 DHA ($1.0{\sim}6.4\%$)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EPA ($0.2{\sim}0.5\%$) 함량은 증가하지 않았다. 반면, 간 비극성지질의 지방산조성은 사료 지방산조성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 변화 폭이 적었다.

  • PDF

짱뚱어,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Linnaeus)의 간근육조직내(肝筋肉組織內) 단백질(蛋白質) 전기영동(電氣泳動) 분석(分析) 및 단백질(蛋白質), RNA 함량(含量) 변화(變化) (Studies on the Electrophoretic Analysis of Protein, Variations of Protein and RNA Contents of the Liver and Muscle Tissues of Bolephthalmus pectinirostris(Linnaeus))

  • 정의영;이민웅;이근광;최수경;오영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96-104
    • /
    • 1992
  • 앞서 보고한 자성(雌性) 짱뚱어 간조직(肝組織)의 단백질(蛋白質) 전기영동분석(電氣泳動分析) 및 단백질(蛋白質), 핵산(核酸)의 함량 변화 조사에 이어서 웅성(雄性) 짱뚱어,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Linnaeus)의 성성숙(性成熟)에 따른 간조직과 웅성(雄性) 및 자성(雌性) 짱뚱어의 근육조직내(筋肉組織內) 단백질(蛋白質) 전기영동분석(電氣永動分析)과 정양(定量) 및 RNA 함양(含量) 변화(變化)를 조사하였다. 간과 근육을 이루고 있는 단백질을 SDS-PAGE 분석한 결과 웅성(雄性) 짱뚱어의 간조직(肝組織)을 이루고 있는 단백질은 대개 분자량이 15.8~101.5kd 사이에 존재하였고, 전체 19개의 밴드가 나타났다. 웅성(雄性) 및 자성(雌性) 짱뚱어의 근육 조직을 이루고 있는 단백질 밴드도 거의 동일하며 분자량이 대개 16.9~116.5kd 사이에 존재하였다. 전체 23개의 밴드가 나타났다. 또한 웅성(雄性) 짱뚱어의 간조직에 있어서, 단백질 함량은 정소의 성숙기(成熟期)인 6월에 최고값을 나타냈으며, 방정기(放精期)인 7월과 퇴화기(退化期)인 8월에는 정차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근육조직에서는 자(雌) 웅성(雄性) 모두 6월에 최고값을 나타내었으나, 그후 점차 감소하여 7월에 최저값을 나타내었다가 8월에는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웅성(雄性) 짱뚱어의 간조직과 웅성(雄性) 및 자성(雌性) 짱뚱어의 근육조직의 총 RNA 함량은 성숙기(成熟期)(6월)에 최고값을 나타내었고, 산난기(産卵期)(7월(月)) 및 퇴화기(退化期)(8월(月))로 되면서 점차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