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fighting performance test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5초

국내외 보급형 소방용 보호장갑의 동작성 평가 -착탈 시험, 기민성 시험, 회전력 시험을 중심으로- (Mobility Evaluation of Popular Firefighting Protective Gloves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Don-Doff Test, Dexterity Test, and Torque Test-)

  • 김다미;이인성;이주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921-935
    • /
    • 2016
  • This research analyzed the manual performance of firefighting protective gloves on global markets in order to suggest an evaluation method for firefighting protective gloves wearing comfort. We collected 13 types of firefighting gloves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rkets (7 types from Korea, 3 types form Europe, 2 types from the U.S and 1 type from Japan). We set the Don-Doff test as a basal requirement for moving toward to further manual performance tests that consist of: ASTM dexterity test, Minnesota dexterity test, Bennett hand tool test and ASTM torque test. All gloves were evaluated in dry and wet conditions, we included eight current male firefighters ($43.4{\pm}7.0yr$ in age, $173.1{\pm}4.4cm$ in height, $79.9{\pm}9.2kg$ in body mass) for the tests. Four gloves (1 Korea, 1 U.S, 1 Germany, and 1 Japan) out of thirteen firefighting gloves passed the Don-Doff test and had great subject preferenc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ry and wet conditions on the ASTM dexterity test, Minnesota dexterity test, Bennett hand tool test and ASTM torque test. However, Japanese gloves had the greatest score and showed 3-4 times faster completion time on the ASTM dexterity test (p<.05), 1.2-1.5 times faster on the Minnesota dexterity test (p<.05), as fast as the bare hand on Bennett hand tool test (p<.05), and greater performance on the ASTM torque test compared to bare hand. In conclusion, Don-Doff test in wet conditions should be the first step for a mobility evaluation of domestic firefighting protective gloves; subsequently, a comprehensive test assorting ASTM, Minnesota, and Bennett test should be developed as a second step. The current ASTM torque test can be adopted as a third step. This three-step-method for evaluating firefighting protective glove mobility can be expected to expand into surveys of other safety gloves in Korea.

산불진화대원용 안전장갑에 대한 성능평가 기준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for Safty Gloves for Forest Firefighting Crews)

  • 김해형;이선영;정재한;권춘근;안희영;홍승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6호
    • /
    • pp.74-83
    • /
    • 2018
  • 산불진화대원의 안전 확보와 작업능률 향상을 위해 안전장갑에 대한 성능평가 기준을 개발하였다. 산불진화대원용 안전장갑에 대한 기준이 현재 국내에 없기 때문에 한국소방산업기술원(KFI)에서 운용중인 소방대원용 안전장갑에 대한 기준을 기초로 하여 연구를 시작하였다. 관계자 의견 수렴 및 외국 기준의 검토를 통하여 17개 시험항목 중 5개 시험항목을 제외하고 12개 시험항목을 선정하였다. 시료는 산불진화대원들이 사용하고 있는 2 종류의 일반 안전장갑과 하나의 소방대원용 장갑에 대해 KFI 기준을 적용하여 시험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시험 결과 불에 약한 나일론이나 폴리우레탄 등의 재질은 산불진화대원용 안전장갑에 적합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KFI 기준과 ISO 16073, NFPA 1977, NFPA 1971 및 BS EN 659의 판정기준을 비교하여 우리나라 산불진화대원들의 작업 환경에 적합한 12개 시험항목과 판정기준들을 최종 선정하였다.

소방방화복을 착용했을 때의 소방진압 업무 적합도 평가 프로토콜의 개발 (Development of Firefighting Performance Test Drills while Wear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 김시연;이주영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1호
    • /
    • pp.138-14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화재 현장에서의 소방진압 업무 적합도를 평가하기 위한 소방관 모의작업 프로토콜을 개발하였고 기존의 체력검정법과 평가 방식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토콜은 모든 소방용 개인보호구를 착용한 채 복사열원 앞에서 3분 동안 걷는 동작을 포함한 총 여덟 가지 동작으로 구성되었으며 5분의 휴식을 사이에 두고 3회 반복되었다. 연구 결과로, 약 30분의 테스트 동안 소방관의 직장온과 심박수는 각각 $38.5^{\circ}C$, 185 bpm까지 상승하였다. 또한 총 소요시간과 연령보정치를 적용하지 않은 기초체력검정 결과는 유의하게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 = -0.728, p < 0.05). 그러나 진압 경력이 긴 소방관일수록 총 소요시간은 길었던 반면, 총 소요시간과 생리적 부담 수준이 함께 고려된 평가 방식에서는 기초체력검정 결과보다 더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는 단순하게 소요시간만을 이용한 평가는 생리적 서열부담을 무시할 수 있으며, 소방관 모의작업 프로토콜 이용 시 생리적 부담 수준을 함께 고려할 때에 소방진압 업무 적합도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평가가 가능함을 보여준다.

산불진화대원용 안전헬멧에 대한 성능평가 기준 연구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for Safety Helmets of Forest Firefighting Crews)

  • 홍승태;정재한;김성용;권춘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5호
    • /
    • pp.66-77
    • /
    • 2019
  • 산불진화대원의 안전 확보와 작업능률 향상을 위해 안전헬멧에 대한 성능평가 기준을 개발하였다. 산불진화대원용 안전헬멧에 대한 기준이 현재 국내에 없기 때문에 한국소방산업기술원(KFI)에서 운용중인 소방대원용 헬멧에 대한 기준을 기초로 하여 연구를 시작하였다. 관계자 의견 수렴 및 외국 기준의 검토를 통하여 26개 시험항목 중 15개 시험항목을 제외하고 11개 시험항목을 선정하였다. 2 종류의 일반 안전헬멧과 하나의 소방대원용 헬멧을 시료로 하여 KFI 기준을 적용하여 시험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시험 결과 일반 안전헬멧은 착장체와 턱끈의 기능이 기준에 미달하였고 특히 PE나 ABS 재질은 열에 취약함을 확인하였다. KFI 기준과 ISO 16073, NFPA 1977, NFPA 1971 및 BS EN 443의 판정기준을 비교하여 우리나라 산불진화대원들의 작업 환경에 적합한 11개의 시험항목과 판정기준을 최종 선정하였다.

소방공사감리원의 업무수행능력이 아파트 소방시설공사의 완공검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Performance of Firefighting Construction Supervision Personnel on the Completion Inspection of Firefighting Facility Construction in Apartments)

  • 김상식;공하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3호
    • /
    • pp.43-54
    • /
    • 2019
  • 이 연구는 아파트 화재의 대형화를 막기 위해 소방공사감리원의 업무수행능력에 따른 완공검사결과와 소방공사감리원의 성능시험 공기확보의 필요성에 따른 완공검사결과 및 완공검사증명서 발급 후 소방시설 등의 하자 유무상태에 따른 요인을 분석하여 완공검사 결과를 측정하여 소방공사감리원의 업무수행능력을 향상시키 위한 것이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소방공사감리원의 업무수행능력에 따라 아파트 완공검사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직업별로 소방공무원보다 소방시설설계업 및 소방공사감리업 종사자가 소방공사감리원의 업무수행능력에 따라 아파트 완공검사 결과 정도는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아파트에는 아파트 공사감리 경력이 있는 사람을 감리원으로 배치하여 소방공사감리원의 업무수행능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소방공사감리원의 성능시험 공기확보 필요성에 대한 완공검사 결과는 직업별로 소방공무원보다 소방시설설계업 및 소방공사감리업 종사자의 성능시험에 대한 공기확보 필요성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분석 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건축 준공일까지 완공검사를 할 수 있도록 하며 발주처에서는 완공검사증명서를 건축준공일에 임박하여 발급받도록 강요하지 않도록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완공검사증명서 발급 후 완공검사의 하자가 완공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발주자(건축주. 감독관) 종사자보다 소방시설설계업 및 소방공사감리업체 종사자가 유의하게 낮게 분석되었다. 이는 소방시설공사를 마치지 않은 상황에서 발주처. 건설사가 완공검사증명서의 발급을 요구함에 따라 완공검사증명서 발급 후 소방시설 등에 하자가 발생하여 완공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The Effect of Various Hot Environments on Physiological Responses and Information Processing Performance Following Firefighting Activities in a Smoke-Diving Room

  • Hemmatjo, Rasoul;Motamedzade, Majid;Aliabadi, Mohsen;Kalatpour, Omid;Farhadian, Maryam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8권4호
    • /
    • pp.386-392
    • /
    • 2017
  • Background: Fire service workers often implement multiple duties in the emergency conditions, with such duties being mostly conducted in various ambient temperatures. Methods: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was to assess the firefighters' physiological responses, information processing, and working memory prior to and following simulated firefighting activities in three different hot environments. Seventeen healthy male firefighters performed simulated firefighting tasks in three separate conditions, namely (1) low heat (LH; $29-31^{\circ}C$, 55-60% relative humidity), (2) moderate heat (MH; $32-34^{\circ}C$, 55-60% relative humidity), and (3) severe heat (SH; $35-37^{\circ}C$, 55-60% relative humidity). It took about 45-50 minutes for each firefighter to finish all defined firefighting activities and the paced auditory serial addition test (PASAT). Results: At the end of all the three experimental conditions, heart rate (HR) and tympanic temperature (TT) increased, while PASAT scores as a measure of information processing performance decreased relative to baseline. HR and TT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in the SH ($159.41{\pm}4.25beats/min$; $38.22{\pm}0.10^{\circ}C$) compared with the MH ($156.59{\pm}3.77beats/min$; $38.20{\pm}0.10^{\circ}C$) and LH ($154.24{\pm}4.67beats/min$; $38.17{\pm}0.10^{\circ}C$) conditions (p < 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SAT scores between LH and MH (p > 0.05). Nonetheless, there was a measurable difference in PASAT scores between LH and SH (p < 0.05). Conclusion: These consequences demonstrate that ambient temperature is effective in raising the physiological responses following firefighting activities. It is therefore argued that further increase of ambient temperature can impact firefighters' information processing and working memory during firefighting activity.

수소제트화재에 대한 특수 방화복의 열 방호 성능시험 평가 (Assessment of Thermal Protection Performance of Firefighting Garments for Hydrogen Jet Fire)

  • 윤웅기;박병직;김양균;강성욱;임옥근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5권3호
    • /
    • pp.310-317
    • /
    • 2024
  • In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echnology to ensure the safety of firefighters responding to hydrogen incidents and to review the performance of protective super absorbent polymer (SAP) that could help maintain the thermal protection performance of equipment with protective properties. Tests were conducted, including bench-scale and full-scale thermal exposure tests, to review the protective performance of SAP using firefighting garments commonly used by firefighters. The results showed that without SAP application, 2nd degree burn areas were measured at 9.4%, and 3rd degree burn areas at 7.7%. In contrast, when SAP was applied, the percentage of 2nd degree burn areas decreased to 7% on the lower body, and there was no temperature rise causing 3rd degree burn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by applying SAP to the outer surface of firefighter garments, even under temporarily high temperature conditions such as hydrogen jet flames, thermal damage to firefighters could be protected for a certain period.

중앙119구조본부 소방대원용 화학 보호복과 방열복의 동작적합성 평가 및 디자인 개선 (Enhancing Design and Evaluating Mobility of Firefighting Chemical and Flame Protective Clothing for the National 119 Rescue Headquarters)

  • ;김도희;이주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20-533
    • /
    • 2023
  • The present study developed a test protocol for evaluating the mobility of firefighting chemical and flam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 for the National 119 Rescue Headquarters in Korea and suggested ergonomic design factors to improve their mobility and performance. Six types of PPE were employed, including three types for flame protective PPE (5 ~ 6 kg excluding the 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and three types for chemical and flame protective PPE (8 ~ 11 kg). These PPEs are used by the 119 Rescue firefighters. Three male firefighters (34.3 ± 1.2 y in age, 175 ± 8 cm in height, 81 ± 13 kg in body weight) participated in the mobility test and interview. A mobility test protocol consisting of 16 components (nine postures and seven motions including a dexterity test) along with a visibility test were developed based on pre-interviews and literature review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clothing microclimate humidity on the neck and chest exceeded 85%RH on average for all the six PPE conditions, with the chest area reaching as high as 98%RH. This high humidity caused fogging inside the visor and impaired visibility. The requirements for improving the PPE design in terms of mobility varied depending on whether it was the separated types or all-in-one types, particularly regarding the hood and gloves desig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improve the design of Level A_PPE for firefighters. The mobility test protocol and visibility test developed in this study can also be applied to other types of Level A impermeable PPE.

소방차 펌프의 방수성능 기준 재정립을 위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Standard Re-establishment of Water Discharge Performance for the Fire Engine Pump)

  • 민세홍;권용준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85-91
    • /
    • 2012
  • 소방차에 설치되는 소방펌프에 대한 방수성능 기준이 현장에서 운용하고 있는 실태와 상이한 부분이 있고, 기준이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아 소방공무원이 화재현장에서 소방펌프의 사용시간, 최대사용압력, 사용 호스 직경 등 사용 실태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소방펌프에 대한 압력별, 호스 직경별 수량별로 다양하게 성능시험을 실시하였다. 현장조사 결과, 소방자동차용 소방펌프의 성능에 관한 인정기준에서 규정하고 있는 규격방수압력(0.85MPa)과 고압방수압력(1.4 MPa)보다 현장에서는 더 높은 압력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펌프의 성능시험 결과는 방수량 및 방수압력 등이 호스의 직경, 관창에 따라 현재 규정하고 있는 인정기준과 매우 상이하게 측정되었으며, 본 연구 결과로 새로운 규격을 제안한다.

고강도 인터벌 트레이닝(HIIT)이 소방공무원의 체력 및 업무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High-Intensity Interval Training Program on the Fitness and Performance of Firefighters)

  • 김철호;지창진;김상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2호
    • /
    • pp.97-102
    • /
    • 2020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 16명을 대상으로 8주간 고강도 인터벌 트레이닝(HIIT) 중 타바타(Tabta)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자료처리는 윌콕슨 순위검증(Wilcoxon signed rank test)와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분석을 실시하였다. 체력요인 중 하버드 스텝(Harvard step, 회)은 운동 전 87.19 ± 12.33에서 운동 후 93.81 ± 13.27 (p < .009), 윗몸일으키기(회)는 운동 전 35.75 ± 10.73에서 운동 후 39.00 ± 8.80 (p < .001), 악력(kg)은 운동 전 53.35 ± 6.11에서 운동 후 55.65 ± 6.74 (p < .035)으로 각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신체조성 중 체지방률(%)은 운동 전 17.69 ± 4.32에서 운동 후 15.66 ± 3.33 (p < .003), 근육량(%)은 운동 전 36.65 ± 4.38에서 운동 후 36.41 ± 4.24 (p < .043), 체중(kg)은 운동 전 75.50 ± 6.40에서 운동 후 74.24 ± 6.40 (p < .000)으로 각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7층 도착시간은 운동 전 8 min 13 s ± 1 min 8 s에서 운동 후 7 min 19 s ± 1 min 6 s (p < .002)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따라서 HIIT는 화재 및 재난상황 대비 업무능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