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ire facility

Search Result 449,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지하공동구의 연소방지설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mokeproof Facility+ in Underground Culvert)

  • 홍경표;이영재;김선정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4-293
    • /
    • 2001
  • 본 연구는 지하공동구내의 화재가 자주 발생하므로 도시가 마비되고 그 피해는 국민생활을 위협하고 막대한 재산 및 인명피해를 내고 있다. 지하공동구 화재로 인한 조기진압은 소방법의 연소방지설비 기준에 적용하였을 경우 화재 진압시 문제가 있다고 판단된다. 지하공동구의 연소방지설비 중에는 여러방식을 적용할 수가 있다. 본 연구는 물로 이용한 연소방지설비 방식중 스프링클러설비, 연결살수설비, 물분부설비 등이 있으나 아직 소방법에서 거론되지 않는 일명 워터 미스트 방식에 대해서 연구하고 방안제시를 하므로 이 논문지가 연소방지설비의 기초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 PDF

건축물에 시설되는 수변전설비의 내진설계 검토사항 및 설계 방안에 대한 고찰 (The Application and Seismic Design Method of Electrical Facility Installed in the Building)

  • 김기현;이상익;배석명;조성국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3권8호
    • /
    • pp.74-79
    • /
    • 2009
  • 전력공급에 중요한 설비가 집중되어 있는 건축물 내의 수변전설비가 내진시설이 고려되지 않은 경우 지진 발생시 전력 시설물 낙하, 이동 등으로 인한 설비 피해 및 전기화재 등 제2의 피해가 발생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수변전실 내진설계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아직 적용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건축물 내에 수변전실의 전기설비 내진설계에 관하여 국내 건축구조설계 기준과 일본의 건축전기설비 내진 설계 시공 매뉴얼을 참조하여 건축물 내에 시설되는 수변전설비의 내진 설계 방법 및 내진 설계 예를 제시하였다.

75톤급 액체로켓엔진 연소기 시험설비 기본설계 (Preliminary Design of Test Facility for 75-tonf-Class Liquid Rocket Engine Combustor)

  • 임병직;서성현;김문기;강동혁;한영민;최환석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84-91
    • /
    • 2010
  • 75톤급 액체로켓엔진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각 구성품에 대한 다수의 시험이 수행되어야 하며 이러한 상황은 연소기에서도 동일하다. 하지만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운용 중인 시험설비는 75톤급 연소기를 정상 추력으로 수행하기에는 부족하다. 연소기 개발 시험에 착수하기 이전에 시험설비는 준비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시험설비의 구축이 급박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필요성으로 수행한 75톤급 액체로켓엔진 연소기 시험설비의 기본설계 내용을 기술한다.

룸코너 시험기의 발열량 측정에 대한 불확도 산정 (Calculation of Uncertainty in Measuring Heat Release Rate in Room Corner Test)

  • 노광철;김치훈;이승철;이덕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16-22
    • /
    • 2012
  • 화재시험에 있어서 정확한 발열량의 측정은 시험체의 화재 안정성을 결정하기 위한 중요한 정보이다. 발열량 측정값은 측정 인자들의 오차에 기인하여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 설치된 룸코너 시험기에 대한 불확도의 인자를 분석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KTX 내장재 화재시험의 발열량 측정 불확도를 계산하였다. 화재 발열량 불확도 계산 결과, 화재시작단계에서 불확도가 매우 높은 값으로 나타났고 화재가 성장하면서 불확도는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불확도 인자들 중 산소 농도가 발열량 측정 불확도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냈다.

화재 발생시 환기방식에 따른 지하공동구내 열유동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Fire-induced Thermal-Flowfields in an Underground Utility Tunnel with Ventilation)

  • 김홍식;황인주;김윤제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845-1850
    • /
    • 2003
  • The underground utility tunnels are important facility as a mainstay of country because of communication developments. The communication and electrical duct banks as well as various utility lines for urban life are installed in the underground utility tunnel systems. If a fire breaks out in this life-line tunnel, the function of the city will be discontinued and the huge damages are occurred. In order to improve the safety of life-line tunnel systems and the fire detection, the behaviors of the fire-induced smoke flow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a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we assumed that the fire is occurred at the contact or connection points of cable. Numerical calculations are carried out using different velocity of ventilation in utility tunnel. The fire source is modeled as a volumetric heat source. Three-dimensional flow and thermal characteristics in the underground tunnel are solved by means of FVM (Finite Volume Method) using SIMPLE algorithm and standard ${\kappa}-{\varepsilon}$ model for Reynolds stress terms. The numerical results of the fire-induced flow characteristics in an underground utility tunnel with different velocity of ventilation are graphically prepared and discussed.

  • PDF

환기가 제한된 세 개 격실에서 Pool Fire에 대한 FDS 검증분석 (Validation of FDS for Pool Fire in Three Rooms Connected to Ventilation Network)

  • 배용범;이상규;신병수;김남석;금오현;박종석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9-15
    • /
    • 2011
  • This study aims to validate predictive capabilities of FDS for the pool fire in three rooms connected to ventilation network. The three rooms in real scale fire test facility are configured to be similar to that of nuclear power plant in size, ventilation condition, construction material, etc. Basically three rooms are confined to the other area except two open doors and two ventilation duct in each room. The real scale fire test was conducted with these conditions and the predictive capabilities of FDS will be validated by comparing FDS simulation results with experimental data from the temperature, heat flux, and concentration point of view. This study concludes that temperature from FDS is about 25 % lower deviation from the experiment, and heat flux from FDS is about 5% deviation.

  • PDF

물류창고 시설의 인명안전기준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ife Safety Code for Logistics Warehouse Facilities)

  • 김윤성;진승현;이병흔;권영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98-99
    • /
    • 2021
  • The number of fires in the Korean distribution warehouse increased by about 350 from 1,070 in 2014 to 1,416 in 2020. In addition, the fire load increases with the scale of the distribution warehouse, and even if the automatic sprinkler operates, there is a limit to the direct intrusion of the water source into the ignition source, and the detector is often installed on a high ceiling. The sensing time is often delayed. In order to improve the fire safety of such distribution warehouses, the US NFPA stipulates in detail the contents related to the facility, such as sprinkler water discharge standards, rack-type warehouse installation height restrictions, and regulations on collection and equipment. However, in Japan, the goods loaded inside the distribution warehouse are not classified in detail,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fire safety for the distribution warehouse is low due to the relaxation regulations of the fire prevention section. Therefore, in this study, common problems are classified into material, spatial, and safety management characteristics through the cases of distribution warehouse fires that occurred in Korea and abroad, and the problems related to distribution warehouses in Korea and abroad are compared and analyzed. And present basic materials for improving the life safety standards of future distribution warehouse facilities.

  • PDF

건물 특성과 시간적 변화가 소방시설관리시스템의 화재알람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 (Analysis of Building Characteristics and Temporal Changes of Fire Alarms)

  • 임관묵;고설태;김유신;박건철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83-98
    • /
    • 2021
  • 본 연구는 서울소방재난본부의 IoT 소방시설관리시스템에 기록된 실시간 화재알람 발생 데이터를 분석하여, 화재알람 발생 영향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화재사고 예방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학술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도심지역을 중심으로 고층·복합건물의 수가 증가하고 기존 건물도 고도화되면서, 화재 등 비상상황 발생 시 상주인원의 신속한 대피와 초동대응을 돕는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설치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화재상황을 잘못 탐지하여 정확성이 낮아지면 상주인원의 불편이 늘어나고 신뢰성도 줄어들기 때문에, 효율적인 점검과 건물 환경 조사를 통해 시스템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번 연구는 잘못된 화재탐지가 용도나 시간 등 건물 특성 및 외부 환경에 기인함을 밝히고, 이에 근거하여 효율적인 시스템 점검과 건물 환경 개선이 필요함을 강조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건물의 규모(연면적)가 화재알람 발생에 가장 큰 영향을 끼쳤고 민간 건물, R형 수신기인 건물, 고장일수 또는 경종차단일수가 많은 건물에서 화재알람 발생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물의 주용도에 따라 화재알람 발생의 영향요인이 다르게 나타나기도 하였다. 시간적으로는 평일 주간 사람들의 일상 활동 패턴(오전 9시~오후 6시)을 거의 그대로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전 10시 경, 오후 2시 경에 각각 최고치를 기록했다. 연구를 통해 시스템 내부 점검과 함께 화재알람 발생에 영향을 끼치는 건물 환경 조사도 필요함을 강조하고, 후속 연구와 시스템 고도화를 위해 실시간 건물 환경 정보를 추가 데이터화하는 방안 등의 제안을 하였다.

화재시뮬레이션 S/W를 이용한 연소예측모델링기법에 의한 국내 사우나 시설의 화재원인규명을 위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Determination of Fire Causes for SAUNA FACILITY Fires Validate by CFD Fire & Smoke Simulation Modeling Method)

  • 박형주;신동철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58-374
    • /
    • 2002
  • 최근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사우나 등의 열을 방사하는 도크내에서 발생하는 화재사고는 다중이용업소를 이용하는 불특정한 사람들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는 수준에 도달하고 있다. 특히 이런 시설의 화재는 화재발생 후에 소방대에 의한 진압에만 치중하고 있어 향후 계속하여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큼에도 불구하고 착화원인을 규명하는데 소홀히 하고있다. 특히 현장감식에 의한 육안조사만을 실시하여 화재원인을 추정하거나 설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근본적인 대책을 세우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육안조사 등에 의하여 설정한 착화원인을 과학적인 분석법 즉, EU국가에서 널리 사용하는 CFD(컴퓨터수치해석)시뮬레이션 S/W를 사용하여 연소모델링에 의한 검증조사기법을 적용하여 원인을 검증하는데 사용하여 국내화재조사기술의 과학화를 시도하였다.

  • PDF

반도체 공장의 제연설계 (A Smoke Management System Design For Semiconductor Fabrication Facilities)

  • 김운형;;안병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23-28
    • /
    • 2000
  • 반도체 공장의 제연설계를 위한 성능기준 설계를 분석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하여 제연 설계 시스템의 성능평가 기준을 설정하고 최적의 배연 방법을 분석하기 위한 FDS 화재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제연 설계 지침이나 관련 법규 또는 표준화된 기준이 부족한 한국과 미국의 현실에서 본 연구의 성능기준 설계 방법은 반도체공장의 제연 설계를 위한 현실적인 적용과 활용이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