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Hazard

검색결과 553건 처리시간 0.023초

LNG 시험 플랜트의 정량적 위해도 평가를 위한 화재 및 폭발사고 해석 (Fire and Explosion Analysis for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on LNG Test Plant)

  • 한용식;김명배;도규형;김태훈;최병일
    • 한국연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5
    • /
    • 2015
  • Fire and explosion analysis are performed for the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on the LNG test plant. From the analysis for a case of fire due to large leakage of LNG from the tank, it is obtained that loss of lives can be occurred within the radius of 60 m from the fire origin. Specially, wind can extend the extent of damage. Because the LNG test plant is not enclosed, the explosion overpressure is less than 6 kPa and the explosion has little effect on the integrity of the LNG test plant.

Cone Calorimeter를 이용한 실물화재 예측 및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Estimation Actual Fire Test Result and Evaluation Fire Hazard Using a Cone Calorimeter)

  • 유상훈;문성웅;이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65-169
    • /
    • 2011
  • 실제 화재의 위험성을 평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직접 실재 화재 조건을 모사 또는 구현하여 평가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비용과 시간 및 환경 문제를 생각한다면 쉬운 일은 아니다. 따라서 단위 재료를 태우거나, 전산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을 활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콘칼로리미터 실험 결과를 기초 데이터로 실제 화재 실험인 room corner test의 총열방출량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가연물의 부피 및 밀도와 보정상수를 활용하여 실제 총열방출량에 근접한 결과값을 얻을 수 있었으며, 산출된 총열방출량을 근거로 전산시뮬레이션을 수행, 시뮬레이션 결과값을 통해 재실자의 화재 및 연기에 대한 위험성 평가를 할 수 있었다. 본 결과를 통해 화재 시뮬레이션 수행 시 가연물에 따른 화재에 의한 위험성 평가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방화셔터 복사열의 위험성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azard of Radiant Heat of the Fire Shutters in Fire)

  • 전준표;민병렬;전수민;이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60-164
    • /
    • 2011
  • 국내 건축법에서는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방화구획을 설치하여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최소화 하고 있다. 따라서 방화구획 개구부의 방화문, 방화셔터 등 각종 배관 관통부 시스템의 화재저항 성능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화구획 중 넓은 면적에 사용되는 방화셔터를 각 종류별 내화성능실험을 통하여 방화셔터의 방화성능 확인과 더불어 실험시 방화셔터에서 발생하는 복사열의 측정을 통하여 화재가 확대될 수 있는 위험성을 예측하였다.

  • PDF

리튬전지의 폭발 위험성평가 (Safety Evaluation for the risk of explosion on Lithium Batteries)

  • 권경옥;김영근;마진수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371-375
    • /
    • 2011
  • 전지는 고에너지 밀도 제품으로 화학에너지를 전환시켜 전기에너지를 운반하는 것이다. 본 실험에서는 리튬 이온전지의 열적 안정성의 위험을 평가하기 위하여 리튬이온 전해액을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DSC)와 modified cloed pressure vessel test(MCPVT)로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리튬전지는 다른 전지보다 위험하며, 전지를 잘못 사용하면 열적 반응성은 연소성 물질인 전해질을 포함하고 이것이 열을 발생시켜 폭발하거나 화재가 발생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 PDF

목재연소시의 실내화재성상과 안전대피시간 (Fire Growth of Wood Cribs and Available Safe Egress Time)

  • 정길순;태순호;이병곤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72-77
    • /
    • 1993
  • Available Safe Egress Time(ASET) is the time available for occupants to evacuate safely In compartment fire, and It depends on the time of fire detection and hazardous conditions. The purpose of thls study Is to provide an analytical basis and experimental data for estimating the fire growth in compartments and the available safe egress time, and to compare the experimental data with those proposed equations. As a result, hazard order Is poison to CO, descent of smoke layer, poison to $CO_2$, burn to hot smoke layer, and lack of $O_2$, ASET is lengthened in this order. Also, The more fire load is increased, the more ASET is shorted.

  • PDF

소방공무원의 보호장비 착용실태에 관한 연구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Wearing Practice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Firefighter : Focusing on Gyeongnam Province)

  • 방창훈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6호
    • /
    • pp.65-7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경남지역에 근무하는 소방공무원의 보호장비 착용실태를 연구하여 소방공무원의 안전보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방용 보호장비에 대한 전체 신뢰도는 3.19로 조사되었으며 신뢰도 향상을 위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소방공무원은 보호장비 중 가죽제 안전화(2.68), 장갑(2.67) 그리고 고무제 안전화(2.59)등에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었으며, 고무제 안전화(2.75), 다음으로 장갑(2.77), 가죽제 안전화(2.97)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소방용 보호장비에 대하여 소방공무원은 전체적으로 착용감과 무게에 많은 애로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인체공학적 디자인과 고성능 경량의 소재 개발 등이 필요하다.

무기체계 실사격 시험의 안전성 강화를 위한 다중 사건나무분석 기반의 시험구조에 관한 연구 (On Multiple ETA-based Test Framework to Enhance Safety Maturity of Live Fire Tests for Weapon Systems)

  • 예성혁;이재천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5-84
    • /
    • 2015
  • Successful development of weapon systems requires a stringent verification and validation (V&V) process due to the nature of the weapons in which continual increase of operational capability makes the system requirements more complicated to meet. Thus, test and evaluation (T&E) of weapon systems is becoming more difficult. In such a situation, live fire tests appear to be effective and useful methods in not only carrying out V&V of the weapon systems under development, but also increasing the maturity of the end users operability of the system. However, during the process for live fire tests, a variety of accidents or mishaps can happen due to explosion, pyro, separation, and so on. As such, appropriate means to mitigate mishap possibilities should be provided and applied during the live fire tests. To study a way of how to accomplish it i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To do so, top-level sources of hazard are first identified. A framework for T&E is also described. Then, to enhance the test range safety, it is discussed how test scenarios can be generated. The proposed method is based on the use of the anticipatory failure determination (AFD) and multiple event tree analysis (ETA) in analyzing range safety. It is intended to identify unexpected hazard components even in the environment with constraints. It is therefore expected to reduce accident possibilities 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root-cause analysis.

형광등용 안정기의 화재원인 판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Judgment of Fire Cause of Ballast for Fluorescent Lamp)

  • 최충석;백동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5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옥내 조명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형광등용 안정기의 화재위험성을 분석하였다. 안정기권선을 실체현미경으로 분석한 결과 용융흔을 다수 발견할 수 있었으나, 육안으로 원인 판정은 불가하였다. $700^{\circ}C$ 이상에서 열열화된 안정기 권선은 연신구조(elongation structure)가 없어지고 구리입자의 확대된 형태만 보였다. 단락 권선의 금속현미경 분석에서 경계면을 중심으로 주상조직 및 보이드 성장의 규칙성이 확인된 것으로 보아 전기적인 단락이 층간에 일어났음이 증명되었다. SEM을 이용한 미세구조 분석에서 용융된 부분이 확인되었다. EDX를 이용한 스펙트라 분석에서 Cu의 구성요소인 CuL 및 CuK liness 뿐만 아니라 OK line이 고르게 관측되고 있다. 이것은 재결합 과정에서 산소가 반응에 참여했음을 의미한다.

  • PDF

건축용 외장재와 접착제의 발연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moke Release for Architectural Surface Materials and Architectural Adhesives)

  • 박영주;김원종;이해평;유재열;양영숙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1-24
    • /
    • 2014
  •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maximum smoke density and the initial stage smoke density in order to see the characteristics of smoke release of the architectural surface materials and the architectural adhesives, using smoke density chamber. As a result of the study, polyurethane foam showed the highest smoke density index, 206.55 within 10 min. In the case of the other samples, reinforced styrofoam was followed as 39.90, general styrofoam 33.73, and glass fiber 5.40, respectively. In the intial stage of a fire, it is forecasted actually to give hardship at the clear visibility. In the case of architectural adhesives, the highest ranking was those for windows and doors 509.64, stone 275.63, wood 232.25, tile 18.65, and styrofoam 6.44 were followed, respectively. This result is an early research to show characteristics of smoke release through experiment. However,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for further study on architectural fire hazard prediction.

건축물 지진화재위험도 평가기법의 국산화 전략 (Localization Strategy of Building Fire Following Earthquake Risk Assessment Method)

  • 강태욱;김수빈;김예은;강재도;김혜원;신지욱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57-69
    • /
    • 2023
  • In this study, in order to establish a strategy for developing an fire following earthquake risk assessment method that can utilize domestic public databases(building datas, etc.),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ignition and fire-spread among the fire following earthquake risk assessment methodologies proposed by past researchers is investigated After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methodology used in the HAZUS-MH earthquake model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fire following earthquake risk assessment methodology in Japan, based on this, a database such as a domestic building data utilized to an fire following earthquake risk assessment method suitable for domestic circumstances (planned) was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