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ltek Z250

Search Result 71,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다양한 색소에 대한 3D 프린팅 인공치의 색 안정성 (Color stability of three dimensional-printed denture teeth exposed to various colorants)

  • 고은솔;차현석;김태형;안진수;이주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1-6
    • /
    • 2020
  • 목적: 본 연구는 다양한 색소에 침전된 Dentca 3D 프린팅 인공치의 색 안정성을 4가지 전통적인 인공치와 비교하여 평가하기 위함이다. 재료 및 방법: 4가지 전통적인 기성 인공치(Surpass, GC, Artic 6, Heraeus Kulzer, Premium 6, Heraeus Kulzer, Preference, Candulor), 3D 프린팅 인공치(Dentca), 그리고 Z250 (Filtek Z250, 3M ESPE)이 실험을 위하여 준비되었다. 시편은 37℃에서 에리스로신 3% 용액, 커피, 콜라, 그리고 증류수에 침전되었다. 색 변화량(ΔE)은 침전 전, 침전 7,14,21일 후에 분광광도계로 측정되었다. Tukey's honestly significant difference 다중 비교를 이용한 일원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P < .05). 결과: 대부분의 케이스에서 Dentca 인공치와 전통적인 인공치 사이의 색 변화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 .05). Dentca는 에리스로신 3% 용액에 침전된 1주 뒤의 Surpass (ΔE = 0.67 ± 0.25), 2주 뒤의 Artic 6 (ΔE = 1.44 ± 0.38), Premium 6 (ΔE = 1.69 ± 0.35), 그리고 3주 뒤의 Surpass (ΔE = 1.79 ± 0.49), Artic 6 (ΔE = 2.07 ± 0.21), Premium 6 (ΔE = 2.03 ± 0.75), Preference (ΔE = 2.01 ± 0.75)와 비교했을 때 더 많은 색 변화를 보였다 (P < .05). 결론: 일부 색소에 침전된 Dentca 인공치에서 색 변화가 관찰되었으나, ΔE의 최대값은 임상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관찰되었다.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silorane-based composite specific adhesive system using different bonding strategies

  • Bastos, Laura Alves;Sousa, Ana Beatriz Silva;Drubi-Filho, Brahim;Pires-de-Souza, Fernanda de Carvalho Panzeri;Garcia, Lucas da Fonseca Roberti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0권1호
    • /
    • pp.23-29
    • /
    • 2015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pre-etching on the bond strength of silorane-based composite specific adhesive system to dentin.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human molars were randomly divided into 5 groups according to the different bonding strategies. For teeth restored with silorane-based composite (Filtek Silorane, 3M ESPE), the specific self-etching adhesive system (Adhesive System P90, 3M ESPE) was used with and without pre-etching (Pre-etching/Silorane and Silorane groups). Teeth restored with methacrylate based-composite (Filtek Z250, 3M ESPE) were hybridized with the two-step self-etching system (Clearfil SE Bond, Kuraray), with and without pre-etching (Pre-etching/Methacrylate and Methacrylate groups), or three-step adhesive system (Adper Scotchbond Multi-Purpose, 3M ESPE) (Three-step/Methacrylate group) (n = 6). The restored teeth were sectioned into stick-shaped test specimens ($1.0{\times}1.0mm$), and coupled to a universal test machine (0.5 mm/min) to perform microtensile testing. Results: Pre-etching/Methacrylate group presented the highest bond strength values, with significant difference from Silorane and Three-step/Methacrylate groups (p < 0.05). However,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Pre-etching/Silorane and Methacrylate groups. Conclusions: Pre-etching increased bond strength of silorane-based composite specific adhesive system to dentin.

In vitro study of Streptococcus mutans adhesion on composite resin coated with three surface sealants

  • Kim, Da Hye;Kwon, Tae-Yub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2권1호
    • /
    • pp.39-47
    • /
    • 2017
  • Objectives: Although the coating of surface sealants to dental composite resin may potentially reduce bacterial adhesion, there seems to be little information regarding this issue. This preliminary in vitro study investigated the adhesion of Streptococcus mutans (S. mutans) on the dental composite resins coated with three commercial surface sealants. Materials and Methods: Composite resin (Filtek Z250) discs (8 mm in diameter, 1 mm in thickness) were fabricated in a mold covered with a Mylar strip (control). In group PoGo, the surfaces were polished with PoGo. In groups PS, OG, and FP, the surfaces polished with PoGo were coated with the corresponding surface sealants (PermaSeal, PS; OptiGuard, OG; Fortify Plus, FP). The surfaces of the materials and S. mutans cells were characterized by various methods. S. mutans adhesion to the surfaces was quantitatively evaluated using flow cytometry (n = 9). Results: Group OG achieved the lowest water contact angle among all groups tested (p < 0.001). The cell surface of S. mutans tested showed hydrophobic characteristics. Group PoGo exhibited the greatest bacterial adhesion among all groups tested (p < 0.001). The sealant-coated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milar (groups PS and FP, p > 0.05) or significantly lower (group OG, p < 0.001) bacterial adhesion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The application of the surface sealants significantly reduced S. mutans adhesion to the composite resin polished with the PoGo.

새로운 레진 단량체가 복합레진수복물의 미세변연누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 NEW RESIN MONOMER ON THE MICROLEAKAGE OF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 배지현;김영균;윤필영;이미애;조병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5호
    • /
    • pp.469-475
    • /
    • 2007
  • 본 연구는 물성의 단점이 많은 희석재인 TEGDMA의 사용을 줄이기 위해, Bis-GMA의 유도체로서 중합수축이 적고 점도가 낮은 새로운 단량체인 methoxlyated Bis-GMA (Bis-M-GMA)를 첨가한 복합레진의 법랑질과 상아질 변연에서의 미세누출을 비교하였다. 40개의 발거된 상하악 소구치의 협면과 설면에 $2\;mm\;{\times}\;2\;mm\;{\times}\;2\;mm$ 와동을 형성하여 4개 군으로 분류하였다. Clearfil SE bond와 복합레진을 이용하여 와동을 수복하였다. EX1군은 실험용 복합레진 1 (Bis-M-GMA/TEGDMA = 95/5wt% ,40 nm 나노필러 함유), EX2군은 실험용 복합레진 2 (Bis-M-GMA/TEGDMA = 95/5wt%, 20 nm 나노필러 함유), EX3군은 실험용 복합레진 3 (Bis-GMA/TEGDMA = 70/30wt%, 40 nm 나노필러 함유), Z250군은 Filtek 2250으로 각각 와동을 수복하였다. 모든 시편은 실온의 실온의 생리식염수에서 7일간 보관한 후, $5^{\circ}C$$55^{\circ}C$ 의 수조에서 500회의 열순환을 실시하고, 2% methylene blue염색 용액에 24시간 담근 후, 협설측으로 치아 장축에 평행하게 절단하고 광학입체현미경하에서 각 수복물의 법랑질과 상아질 변연부의 색소침투 정도를 관찰하여 미세누출점수로 기록한 후 각 군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법랑질 변연이 상아질 변연보다 유의성있게 낮은 미세변연누출을 보였다 (p = 0.007). 각 변연에서 EX1, EX2보다 EX3, Z250군의 염색침투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p > 0.05). 점도가 낮은 새로운 레진단량체인 Bis-M-GMA는 기존의 단량체인 Bis-GMA의 대체재로 고려될 수 있다.

복합 레진으로 수복된 세 가지 첨와형태 와동의 파절 저항성에 관한 연구 (FRACTURE RESISTANCE OF THE THREE TYPES OF UNDERMINED CAVITY FILLED WITH COMPOSITE RESIN)

  • 최훈수;신동훈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8년도 Spring Scientific Meeting(the 129th) of Korean Academy if Conservative Dentistry
    • /
    • pp.177-183
    • /
    • 2008
  • 심미성 복합레진은 자연 치질을 보존시키며 나아가 잔존 치질의 강도를 강화시켜 준다. 복합레진 수복시 더 많은 치질을 남기기 위해 첨와 (undercut) 형태의 교합면 치질을 남긴 채 복합레진으로 수복하는 경우가 많으나, 어느 정도 강도가 복원되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첨와 형태의 와동을 잔존치질의 두께 (법랑질 /법랑질과 상아질)에 따라 형성하고 복합레진으로 충전한 경우, 수복된 치아의 파절 저항성을 손상이 없는 자연치와 비교 평가하였다. 상악 대구치 40개의 교합면을 편평하게 삭제한 후 방사선 사진에서 치수각의 위치를 확인하였다. 대상 치아를 각 10개씩 4개군으로 분류하였으며, $1{\sim}3$군은 실험군으로 모두 협측에 깊이 7 mm, 근원심 폭경 5 mm의 첨와 형태 와동을 형성하였고, 와동저에서 치수각까지의 거리를 약 0.5 mm로 유지하였으며 교합면쪽의 치질 두께를 달리하였다. 1군은 법랑질과 소량의 상아질로 구성된 치질 두께를 1 mm, 2군은 법랑질과 상아질의 두께를 1.5 mm, 3군은 법랑질과 상아질의 두께를 2 mm가 되도록 하였고, 4군은 건전한 자연치를 와동형성 없이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두께 측정은 방사선 사진을 스캔한 후 길이 확대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각 와동을 37% 인산으로 산부식한 다음 단일병 접착제 Single $Bond^{TM}$ (3M/ESPE, USA)를 적용하였고 혼합형 복합레진 Filtek $Z-250^{TM}$ (3M/ESPE, USA)을 사용하여 적층 충전하였다. 치아를 실온에서 증류수에 24시간 동안 보관한 다음 Sof-Lex system (3M/ESPE, USA)을 사용하여 연마하였다. 이후 자가중합형 레진에 교합면을 기저부에 평행한 상태로 치근부를 매몰한 다음 Universal testing machine (Zwick Z010, Germany)에서 지름 3 mm의 staineless steel rod를 1 mm/min의 cross-head speed로 하중을 가하여 파절 강도를 측정하였다. 통계 분석은 95% 유의 수준의 One-way ANOVA와 Tukey test를 이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와동 형성 후 복합레진을 수복한 군들은 대조군에 비해 약 75%의 파절 강도를 보였다. 2. 교합면쪽 잔존 치질의 두께에 따른 파절 저항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 0.05). 복합레진을 이용하여 첨와 형태의 와동을 수복한 후 파절 강도를 측정한 결과 건전 치아보다는 강도가 낮았지만, 상부의 잔존 치질이 대부분 법랑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복합 레진으로 수복하면 건전 치아 파절 강도의 75%까지 유지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수종의 복합레진의 중합수축 및 수축응력의 비교 (COMPARISON OF POLYMERIZATION SHRINKAGE AND STRAIN STRESS OF SEVERAL COMPOSITE RESINS USING STRAIN GUAGE)

  • 김영광;유승훈;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16-526
    • /
    • 2004
  • 심미적인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복합레진은 중합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축으로 인해 여러 임상적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중합수축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복합레진의 성분을 변화시키는 방법이 연구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질조성의 변화를 통한 중합수축의 감소를 위해 최근 개발된 복합레진과 나노필러를 이용한 복합레진을 대상으로 중합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축량 및 수축응력을 측정하고 각 재료의 압축강도와 미세경도를 측정한 다음 그 결과들을 기존의 복합레진과 종합적으로 비교하여 평가해 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시편은 각 군당 20개씩 준비하였으며 실험에 사용된 복합레진으로는 Bis-GMA 기질에 TEGDMA와 UDMA를 혼합한 $Denfil^{TM}$(Vericom, 한국) $0.4-0.7{\mu}m$의 필러를 기준으로 나노필러를 첨가한 $Charmfil^{(R)}$(Dentkist, 한국), 기질의 TEGDMA의 상당부분을 UDMA와 Bis-EMA(6)로 대체한 $Filtek^{TM}$ Z250(3M-ESPE, USA), 그리고 나노필러만을 이용한 $Filtek^{TM}$ Supreme(3M-ESPE, USA)를 선정하였으며, 광중합기인 Curing Light 2500(3M, USA)를 이용하여 각각 40초간 광조사하였다. 광조사 후 1초 간격으로 10분간 수축응력과 선 수축률을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측정한 다음 그래프로 분석하였고, 중합 1분 후와 10분 후의 수축응력과 선 수축률을 통계분석하였다. 또한 만능시험기와 미세경도기를 이용하여 중합 24시간 후 각 군의 압축강도와 미세경도를 측정하여 통계분석하였다. 수축응력 양상을 관찰해 본 결과 각 군에서 모두 중합 초기에 일시적인 재료의 팽창을 나타내었고, 그 후 수축응력이 약 1분간 급격히 증가한 다음 서서히 증가속도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1분 후에서는 각 군간에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10분 후에서는 IV군과 II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p<.05). 1분간 측정한 회귀분석에서는 III군의 기울기가 가장 적었고, II군 I군, IV군의 순이었다. 중합수축률 측정 실험에서는 중합 초기의 일시적 인 팽창과 약 1분간의 급격한 수축 증가를 나타내었고 그 후 서서히 증가속도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1분 후에서는 IV군과 III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10분후에서는 IV군이 I군과 III군에서 유의 한 차이가 있었으며 II군과 III군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1분간 측정한 회귀분석에서는 II군의 기울기가 가장 적었으며, IV군, III군, I군의 순이었다. 압축강도 실험에서는 III군, II군, IV군, I군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III군이 IV군과 I군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미세경도 실험에서는 모든 군에서 상면에 비해 하면의 미세경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차 있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hybrid 필러를 이용한 레진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수축률과 우수한 물성을 보였으며, 나노필러를 사용한 복합레진의 경우, 기존의 hybrid 필러를 이용한 레진에 비하여 수축응력을 감소시키지는 못하였다. 나노필러를 이용한 복합레진은 개발의 초기단계이며, 물성의 증가를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자가 산부식 접착제로 접착된 광중합과 이원중합 복합레진의 법랑질 결합강도 비교 (COMPARATIVE ENAMEL BOND STRENGTH BETWEEN LIGHT-AND DUAL-CURED COMPOSITES BONDED BY SELF-ETCHING ADHESIVES)

  • 조영곤;유상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1호
    • /
    • pp.1-8
    • /
    • 2007
  • 본 연구는 자가 산부식 접착제를 적용한 법랑질에 광중합과 이원중합 복합레진을 접착시켜 접착제와 복합레진의 종류에 따른 미세전단 결합강도를 상호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발거된 상 하악 대구치를 근, 원심 방향으로 1 mm 두께가 되도록 절단하여 사용된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 Xeno 군 (Xeno III), Adper 군 (Adper Prompt L-Pop), AQ 군(AQ Bond)으로 분류하였다. 각 시편의 법랑질 표면에 각 군에 해당하는 접착제를 적용한 후 Tygon tube를 이용하여 광중합형 복합레진 (Z 250)이나 이원중합 복합레진 (Luxacore)을 접착하였다. 실온의 증류수에 24시간 동안 보관한 후.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각 시편의 복합레진과 법랑질의 접착계면이 파절될 때가지 분당 1 mm의 crosshead speed를 가하여 미세전단 결합강도를 측정 한 후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동일 접착제로 결합된 광중합과 이원중합 복합레진의 법랑질에 대한 미세인장 결합강도는 광중합 복합레진에서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2. Z 250을 접착시킨 각 군의 미세전단 결합강도는 Xeno군에서 $7.73{\pm}2.01\;MPa$, Adper군에서 $6.74{\pm}1.80\;MPa$, AQ 군에서 $9.59{\pm}2.51\;MPa$를 나타내어 AQ 군이 Adper군 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3. Luxacore를 접착시킨 각 군의 미세전단 결합강도는 Xeno군에서 $5.19{\pm}1.32\;MPa$, Adper 군에서 $3.41{\pm}1.19\;MPa$, AQ군에서 $4.50{\pm}0.96\;MPa$를 나타내어 Xeno군이 Adper군 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Fracture resistance of endodontically treated maxillary premolars restored by silorane-based composite with or without fiber or nano-ionomer

  • Shafiei, Fereshteh;Tavangar, Maryam Sadat;Ghahramani, Yasamin;Fattah, Zahra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6권3호
    • /
    • pp.200-206
    • /
    • 2014
  • PURPOSE. This in vitro study investigated the fracture resistance of endodontically treated premolars restored using silorane-or methacrylate-based composite along with or without fiber or nano-ionomer base. MATERIALS AND METHODS. Ninety-six intact maxillary premolars were randomly divided into eight groups (n = 12). G1 (negative control) was the intact teeth. In Groups 2-8, root canal treatment with mesio-occlusodistal preparation was performed. G2 (positive control) was kept unrestored. The other groups were restored using composite resin as follows: G3, methacrylate-based composite (Z250); G4, methacrylate composite (Z250) with polyethylene fiber; G5 and G6, silorane-based composite (Filtek P90) without and with the fiber, respectively; G7 and G8, methacrylate-and silorane-based composite with nano-ionomer base, respectively. After aging period and thermocycling for 1000 cycles, fracture strength was tested and fracture patterns were inspecte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ANOVA and Tukey HSD tests (${\alpha}$=0.05). RESULTS. Mean fracture resistance for the eight groups (in Newton) were G1: $1200{\pm}169^a$, G2: $360{\pm}93^b$, G3: $632{\pm}196^c$, G4: $692{\pm}195^c$, G5: $917{\pm}159^d$, G6: $1013{\pm}125^{ad}$, G7: $959{\pm}148^d$, G8: $947{\pm}105^d$ (different superscript letter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Most of the fractures in all the groups were restorable, except Group 3. CONCLUSION. Silorane-based composite revealed significantly higher strength of the restored premolars compared to that of methacrylate one. Fiber insertion demonstrated no additional effect on the strength of both composite restorations; however, it increased the prevalence of restorable fracture of methacrylate-based composite restored teeth. Using nano-ionomer base under methacrylate-based composite had a positive effect on fracture resistance and pattern. Only fiber-reinforced silorane composite restoration resulted in a strength similar to that of the intact teeth.

유동성 레진의 두께가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RGINAL MICROLEAKGE ACCORDING TO THICKNESS OF FLOWBLE RESIN)

  • 송기강;조영곤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5호
    • /
    • pp.363-371
    • /
    • 2005
  • 본 연구는 2급 복합레진 수복 시 다양한 두께의 유동성 레진 이장이 법랑질 또는 상아질 치은측 변연부의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발거된 상, 하악 대구치의 근심 또는 원심면에 2급 와동을 형성하고 혼성복합레진만으로 충전한 군 (대조군)과 유동성 레진을 치은측에 0.5 mm (실험 1군), 1 mm (실험 2군), 2 mm (실험 3군) 두께로 이장한 후 복합레진을 충전한 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은 $5^{\circ}$$55^{\circ}C$에서 500회 열순환을 시행한 후 $2\%$ methylene blue에 24시간 동안 침적시켜 광학 입체현미경하에서 변연부의 색소 침투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유동성 레진의 다양한 두께는 복합레진 수복물의 변연부 미세누출에 영향을 미쳤다. 복합레진을 이용한 구치부 2급 와동 수복 시 법랑질 또는 상아질 변연에서 0.5 mm두께로 유동성 레진을 적용하는 것이 미세누출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 of Hydrophobic, Neutral Adhesive on the Dentin Bond Strength of Self-etching Adhesive

  • Bae, Ji-Hyun;Choi, Yong-Hoon;Jung, Moon-Kyung;Cho, Byeong-Hoon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2권2호
    • /
    • pp.5-11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ypothesis that the dentin bond strength of self-etching adhesives (SEAs) may be improved by applying a coat of hydrophobic, neutral adhesive resin in addition to SEA. Method and Materials : The bond strengths of two SEAs - Experimental SEA (EX) and Adper Prompt (AP) - were measured with three bonding protocols. The D/E resin of All-Bond 2 was applied as the hydrophobic, neutral adhesive. Clearfil SE Bond (SE, self-etching primer system) and All-Bond 2 (AB, total etching system) were used as references. The following protocols were used: (1) EX1 (EX 1 coat); (2) EX2 (EX 2 coats); (3) EX+ (EX 1 coat + D/E resin); (4) AP1 (AP 1 coat); (5) AP2 (AP 2 coats); (6) AP+ (AP 1 coat + D/E resin); (7) SE (SE primer + SE bond); (8) SE+ (SE primer + D/E resin); (9) AB (etching + AB primer + D/E resin). Filtek Z250 composite resin was built up and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MTBS) values of the specimens were compared. The fractured surfaces were observed using SEM. Results : When SEA was used as self-etching primer and hydrophobic, neutral adhesive was applied as well, MTB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when either one coat or two coats of SEA only were used (p < 0.05). Conclusion : The hydrophobic, neutral adhesive improved the integrity of the bonded interface obtained with S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