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6초

협동미술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tion and Actual State on Cooperative Art Activities)

  • 이선혜;서현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11-151
    • /
    • 2017
  •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하는 협동미술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에 대하여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Y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교사 280명이다. 연구방법은 협동미술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에 대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를 위해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문항별로 빈도, 백분율, 평균을 산출하였으며,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t검증, F검증, ${\chi}^2$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육기관의 협동미술활동에 대한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육목표 및 내용, 방법적인 부분에 있어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동미술활동에 대한 실태에 있어서도 실제 협동미술활동에 있어 실시횟수 및 방법, 시간, 평가방법, 교사연수 및 지원 등에서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현장에서 보다 바람직하고 효율적인 협동미술활동이 운영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협동미술활동 프로그램과 유아의 발달에 적절한 활동계획 및 방법, 교사교육 및 연수 등 다양한 지원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함을 시사하였다.

예비보육교사의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보육효능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reservice Teachers on the General Self-Efficacy and the Efficacy of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 이세나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81-190
    • /
    • 2008
  • The study aims to find out and examine the variables that make a difference between pre-service teachers' child care efficacy (CCE) and general self-efficacy (GSE). The subjects were 232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going to an educational institution and a colle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variables of "age", "teacher training facilities", "field experience in child care centers", and "experience of child care" and "paraprofessional teachers" are important variables in pre-service teachers' CCE. Second, the variables of "age", "level of education", "teacher training facilities", "field experience in child care center", and "experience of child care or paraprofessional teachers" significantly affect the pre-service teachers' GSE. Third, the "age" variable is essential in explaining pre-service teachers' GSE. The Pre-service teachers' GSE i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re-service teachers' CCE.

유아미디어 교육에 대한 교사-학부모의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Awareness of Teacher-Parents of Media Education for Children)

  • 김용숙;강영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3466-3471
    • /
    • 2011
  • 본 연구는 미디어교육이 유아교육현장에서 어떻게 인식되고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미디어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학부모들의 인식 및 문제점들을 분석하여 유아미디어 교육에 새로운 대안을 찾을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유아미디어 교육에 대한 교사-학부모가 인식하는 관심과 교육경험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유아미디어 교육에 대한 교사-학부모가 인식하는 교수-학습 방법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유아 미디어 교육에 대한 교사-학부모가 인식하는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한 인식 차이는 어떠한가? 를 알아보기 위해 유아교육 현장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250명)과 학부모 (250명)을 대상으로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미디어교육에 대한 관심과 경험은 있으나 구체적이지 못하고, 교사와 학부모가 선호하는 교수-학습방법으로는 이야기 나누기 활동이 가장 많았으며, 집단의 형태를 묻은 결과 교사-학부모 모두 소집단 그룹의 활동이 가장 이상적이라는 결과를 얻었으며 유아미디어 교육의 개선점으로는 교원의 연수기회확대, 미디어교육에 대한 사회 전반적인 이론의 미정립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교육실습 후 예비유아교사들의 아동과학지도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nd Demand on Science Education Lecture)

  • 이은진;김정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97-118
    • /
    • 2014
  • 본 연구는 교육실습을 마친 예비유아교사들이 아동과학지도 수업의 교육 내용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어떤 요구를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아동과학지도 수업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실습을 마친 예비유아교사 228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를 배부 회수한 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첫째, 교육실습 시전체 아동과학지도 수업이 도움이 된 정도에서 40% 정도가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였으며, 교육내용과 교수방법이 도움이 된 정도에서는 '보통정도'의 인식을 나타냈다. 교수방법 중에서 도움이 된 정도에 대한 인식은 '유아들 앞에서의 실제교수경험'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론위주의 강의 중심'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의 아동과학지도 수업에 대한 요구는 이론적인 내용보다는 실제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실제적인 경험이 가능한 교육내용들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교수방법 측면에서는 강의식 수업방식보다는 실제 유아들 앞에서 과학수업을 경험해 보는 교수방법이나 현직 유아교사들이 실시하고 있는 과학수업을 분석해보는 형식의 교수방법에 대한 요구가 더 높게 나타났다.

협동학습중심의 교과별교수법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Oriented Teaching Methods by Subject on the Communica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조미영;박은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9-22
    • /
    • 2022
  • 본 연구는 교과별교수법 수업에 협동학습을 적용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 및 문제해결능력의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협동학습중심의 교수학습법에 기초한 예비교사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2021년 1학기에 C대학교 유아교육과에서 개설한 교과별교수법 수업을 수강한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21년 3월 1주부터 5월 2주까지 주 4시간씩 총 11주간 협동학습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협동학습중심의 교과별교수법 수업은 예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을 향상하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하위영역 중에서 목표설정능력과 메시지전환능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협동학습중심의 교과별교수법 수업은 예비교사의 문제해결능력을 향상하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문제해결능력의 모든 하위영역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예비교사양성과정에서 협동학습중심의 수업경험은 교사가 되었을 때에도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을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들에게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실제적 능력을 함양하게 되므로 교사교육과정에서 협동학습중심의 교수법 접근의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교육현장의 보드게임 활용 가능성 (How to use Board Game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curriculum)

  • 김태연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47-158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개정 누리과정의 유아중심, 놀이 중심 활동과 관련하여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보드게임 활용의 적절성에 대한 근거를 확인하고, 영역별 활동사례를 통해 유아용 보드게임 활용에 대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유아교육현장의 보드게임 활용의 이론적 근거로서 첫째,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근거하여 구체물을 사용한 놀이활동으로써의 가치, 둘째, 게이미피케이션 요소인 경쟁과 보상을 통한 유아의 자발적 참여와 몰입, 셋째, 누리과정 전 영역에 걸친 통합적 경험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용 보드게임의 통합적 활동사례를 신체운동·건강, 의사소통, 사회관계, 예술경험, 자연탐구의 영역별로 살펴보고, 활동과정에서 나타난 장단점과 유의점을 검토하였다. 이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보드게임을 활용한 놀이활동의 가능성과 시행 방향에 대해 논하고, 이를 기반으로 유아교육현장의 보드게임 활동 구성 및 새로운 보드게임 콘텐츠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통한 유아놀이 관련 연구동향 탐색 (Research Trends of Young Children's Play Using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 김종훈;박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296-303
    • /
    • 2020
  • 누리과정 개정으로 인해 유아놀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관련 연구의 양적 증대와 더불어 다각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 교육학 및 유아교육학을 포함한 사회과학, 생활과학 등 다양한 연구분야에서 발행된 등재후보지 이상의 학술지를 대상으로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적용하여 시기별 유아놀이 관련 연구의 핵심단어를 도출하고 핵심단어의 중심성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로 나타난 주요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놀이관련 연구는 1기(2009~2013년)에 비해 최근 5년 간 큰 폭의 키워드 증가를 나타내었고 주제 분야별 학술지 게재현황을 살펴본 결과 교육학, 유아교육, 생활과학, 아동보육, 사회과학 분야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키워드 네트워크를 분석한 결과 1기(2009~2013년)에는 놀이성, 역할놀이, 유아, 창의성, 놀이, 또래놀이상호작용 등이 중점 키워드로 나타났으며 2기(2014~2018년)에는 놀이성, 유아, 놀이, 또래놀이행동, 또래놀이상호작용 순으로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또한 1기와는 다르게 2기에는 교사·유아 상호작용, 언어능력, 행복감, 인지능력, 유아교육 등의 키워드가 새로이 등장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관련 연구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유아교육 교재 교구 평가인증에 관한 고찰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ccreditation System for Instructional Materials and Equip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김경철;이만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123-2133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개발되거나 또는 수입되는 교수-학습용 교재 교구의 인증 시스템 개발 방향과 가능성에 대한 방안을 논의하는데 있다. 유아교육 현장에서 교재 및 교구는 제3의 교사라 할 정도로 그 중요성과 효과성이 크다. 또한 교재의 상업화, 보편화의 추세로 수많은 교재 교구가 개발되고 있어 이러한 교재 교구에 대한 질적 확보 및 판단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현장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우수한 질의 교구를 개발, 유지, 관리하는 전문 인증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고에서는 현 상황에서의 교재교구 인증 시스템을 살펴보고 이러한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바람직한 교재 교구 인증 시스템 개발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림책 속에 나타난 '용기'의 유형과 유아교육적 가치 탐색 (The Type of 'Courage' Described in Picture Book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al Value Exploration)

  • 유수경;채혜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139-167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more effective and systematic courage-related education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Through the previous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the concept of courage was redefined and the type of courage was derived. After choosing 25 pictures books which relate to courage, we analyzed using the type of courage and their featu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urage is an act of trying voluntarily and continuously according to established clear goals based on personal beliefs in order to overcome inner and external difficulties. Second, we divided the courage into five types - Physical Courage, Challenge Courage, Belief Courage, Social Courage, Creative Courage- and presented each characteristic. Finally, by analyzing 25 picture books on the theme of courage according to these types and characteristics, it was confirmed that these picture books can be an important basis for courage-related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a courage scale.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뮤지컬 관람 실태와 활성화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trengthening of Watching the Children's Musical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오선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441-4449
    • /
    • 2015
  •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뮤지컬 관람에 대한 현장의 실태를 알아보고, 문제점 및 활성화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뮤지컬 관람이 어떻게 실시되어지고 있는가 둘째, 유아교육기관의 뮤지컬 관람과 연계한 교육활동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셋째, 뮤지컬의 관람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은 어떠한가 이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유치원 어린이집 교사 159명을 대상으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대부분의 유아들은 뮤지컬 관람을 매우 흥미로워하며 새롭고 다양한 경험의 제공과 새로운 문화를 접할 수 있다고 하였다. 둘째, 뮤지컬 관람 시 사전교육 활동으로는 홍보지, 미디어 홍보영상 등을 활용한다고 답하였으며, 사후활동으로는 뮤지컬관람의 내용과 관련하여 그리기미술활동, 이야기 꾸미기활동, 동극활동으로 전개했을 때 교육적으로 효과적 이였다고 하였다. 셋째, 뮤지컬관람을 실시할 때 문제점으로는 단체유아들의 이동에 있어 통제의 어려움이 많다고 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뮤지컬관람의 교육적 효과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다양한 교육접근 방법의 뮤지컬관람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의 확대를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