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eld effect

검색결과 12,296건 처리시간 0.056초

콩 재배 시 크림손클로버, 헤어리벳치, 호밀 예취물 피복이 잡초 발생과 콩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rimson Clover, Hairy Vetch, and Rye Residue Mulch on Weed Occurrence, Soybean Growth, and Yield in Soybean Fields)

  • 이지현;이병모;심상인;이연;지형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67-174
    • /
    • 2011
  • 본 연구는 콩 재배시 동계 피복작물인 크림손클로버, 헤어리벳치, 호밀의 예취물 피복이 잡초발생과 콩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크림손클로버, 호밀, 헤어리벳치 피복구에서 모두 이른 봄 잡초 억제율이 높았으며, 콩 정식 64일 후에도 헤어리벳치 피복구는 87.6%, 호밀 피복구는 72.0%로 콩의 초관이 형성될 때까지 높은 잡초억제율이 유지되었다. 그러나 크림손클로버 피복구는 시간에 흐름에 따라 잡초억제율 감소폭이 커서 여름잡초가 많이 발생한 콩 정식 64일 후에는 4.1%로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헤어리벳치 피복구는 월년생과 다년생잡초에 대한 억제율이 98.2%로 가장 높았고, 호밀 피복구는 광엽잡초 억제율이 57.6%인 반면, 화본과잡초 억제율은 93.8%로 광엽잡초 보다 화본과 잡초에 대한 억제 효과가 높았다. 크림손클로버 피복구에서는 다년생과 월년생잡초 억제효과가 거의 없었으며, 광엽잡초에 대한 억제효과도 없었다. 콩의 후기 영양생장기에 초장을 조사한 결과 무피복에 비해 크림손클로버, 헤어리벳치, 비닐 피복구에서 각각 6.9%, 20.2%, 22.0% 초장이 더 길었으나, 호밀 피복구는 오히려 초장이 짧았다. 콩의 입비대시에는 호밀 피복구의 콩 생육이 다소 회복이 되었으며, 수확기때 콩 수량은 헤어리벳치 피복구 ${\fallingdotseq}$ 비닐 피복구 > 크림손클로버 피복구 ${\fallingdotseq}$ 호밀 피복구 > 무피복구 순이었다.

전기적 융합과 활성화 방법이 돼지 체세포 복제수정란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ctric Stimulation and Activation Conditions on the Fusion and Development of Porcine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Embryos)

  • 정기화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3-5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체세포를 이용한 돼지 복제수정란의 생산효율을 높이는 최적의 방법을 구명코자 핵이식 수정란에 각기 다른 조건들의 전기적 자극에 의한 융합과 활성화를 유도하여 융합율, 분할율, 후기배로의 발달율 및 배반포기배의 할구수를 비교ㆍ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핵이식 복제 수정란과 전기자극에 의한 단위발생란과의 체외배양후 분할율을 비교한 결과 두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배양7일째 배반포기배로의 발달율에 있어서는 복제수정란이 7.6%로 나타나 단위발생란의 20.4%에 비해 낮은 후기배로의 발달율을 나타내었다. 핵이식 수정란의 전기적 융합에 있어서 각기 다른 전기자극의 조건에 따른 융합율과 분할율 그리고 후기배로의 발달율에 있어서 110 V/mm의 전기적 자극이 주어진 군에서는 47.1%로 나타나 130 V/mm의 자극과 150 V/mm의 자극이 주어진 두 군에서의 70.2%와 72.6%에 비해 낮은 융합율을 나타내었고, 분할율에 있어서도 각각 48.6%, 72.6%와 70.5%로 나타나 110 V/mm의 자극이 주어진 군에서 두 처리군보다 낮은 성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배반포기배로의 발달율에 있어서는 각각의 처리군에 있어서 8.1%, 9.7% 및 10.7%로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체세포를 이용한 핵이식수정란의 전기적 자극에 의한 융합과 활성화에 있어서 3가지의 각기 다른 처리군(A type, SA 방법; B type, SA 방법과 CB 처리군; C type, DA 방법과 CB 처리군)으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3가지의 처리군에 있어서의 분할율은 각각 71.4%, 74.7% 및 70.8%로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배반포기배로의 발달율에 있어서도 각각 9.7%, 8.0% 및 11.2%로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배반포기배의 할구수에 있어서도 3가지 처리군에서 각각 22.5$\pm$12.8, 23.3$\pm$11.2 및 21.6$\pm$10.4로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본 연구에서는 돼지의 체세포를 이용한 핵이식 수정란의 융합시 130 V/mm 또는 150 V/mm, 50 ${\mu}\textrm{s}$ec, 2 pul-se의 전기적 강도를 이용하고, 활성화 방법으로는 SA 방법 또는 DA 방법을 병행한다면 복제수정란의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따라서 돼지의 체세포를 이용한 복제수정란의 생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핵이식 수정란의 전기적 자극에 의한 융합과 활성화에 관한 조건이 확립되어야 하며, 또한 후기배로의 발달율 향상을 위한 최적의 체외배양조건이 확립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섬진강 유역 곡성군, 순창군 지역 주민의 간흡충증 관리 (Control of Human Clonorchiasis at Gokseong-gun and Sunchang-gun near the Sumjin River in Korea)

  • 김석일;윤우상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9권1호
    • /
    • pp.163-175
    • /
    • 2004
  • 섬진강 유역 곡성군 및 순창군 지역은 주민의 간흡충증 유병률이 약 10~40%이다. 이 지역의 간흡충 질환의 퇴치를 위해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간흡충 간염자를 진단 및 치료하고 예방교육을 통해 이 질환의 관리효과를 관찰 하였다. 간흡충 집중관리 이전의 제1차 간흡충증 유병률 조사를 실시하였다. 비확률 표본추출의 방법에 따랐다. 전남 곡성군 주민 1,243명에 대하여 대변을 받아 Formalin-ether 집란법으로, 전북 순창군 주민 1,004명에 대해서는 혈청을 받아 ELISA 검사로 간흡충증을 진단함으로써 두 지역의 간흡충증 유병률을 파악하였다. 간흡충 감염자 전원을 디스토시드 약물로 치료해 주고 재감염 방지를 위한 예방교육을 실시하였다. 간흡충 집중관리 이후의 제2차 간흡충증 유병률 조사를 1차 조사 후 9개월 뒤에 곡성군 주민 616명, 순창군 주민 2,637명을 대상으로 1차 조사 때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여 얼마나 유의하게 유병률이 감소하였는지를 판정하였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곡성군 및 순창군의 집중관리 이전의 제1차 간흡충 유병 각각 평균 39.0%, 30.1% 이었고 두 군을 통 털어 면 단위별로는 61.5%에서 8.9% 범위이었다. 두 군 모두 섬진강변에 위치한 면에서 강으로부터 먼 면보다 유병률이 높았다. 또한 대변검사와 ELISA의 Field survey 상의 진단적 신뢰도에 큰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였다. 2. 간흡충 감염자 전원을 약물 치료 및 예방교육을 실시하고 9개윌 후에 실시한 제2차 조사 결과, 곡성군 및 순창군의 간흡충 유병률은 22.4%, 16.3%로 집중관리 이전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두 군 공히 유의하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01). 이상의 결과에서, 섬진강 유역의 곡성군, 순창군 지역은 간흡충 감염이 고도로 유행하고 있었고, 집중관리에 의해 유병률이 유의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섬진강 유역의 다른 지역도 간흡충증의 집중관리가 이루어져야 하며 본 연구의 간흡충증 관리 모형을 적용할 것을 제언한다.

  • PDF

교량 상판 하부 안전점검 로봇개발 (Development of Robotic Inspection System over Bridge Superstructure)

  • 남순성;장정환;양경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180-185
    • /
    • 2003
  • 도로를 통과하는 차량 통행량의 증가는 장기적으로 교량에 구조적인 손상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교량의 유지관리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준공 단계부터 구조물의 유지관리에 대하여 관심을 기울이지 않으면 공용기간 중 만족할 만한 기능의 유지 및 확보는 불가능하다. 또한, 공황 중에 균열이나 변형 등과 같은 열화손상을 조기에 발견하여 기능상의 장애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점검을 통하여 유지관리를 실시해야 하나 이에 관한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구조물 유지관리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전환과 이와 관련된 기술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굴절차 또는 점검차에 점검 인력이 직접 탑승하여 실시하는 육안조사를 대체하기 위하여 작은 카메라가 부착된 로봇(Machine Vision System)이 장착된 Linear Motion Control of System을 교량 하부에 설치하고 작업자는 교량 상부에서 외관조사를 수행함으로써 점검자에 따라 주관적으로 점검결과가 도출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점검시 안전성을 대폭 개선하며 화상에 검측된 열화 손상 자료를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이용하여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자료로 저장 및 제공함으로써 교량 유기관리시스템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교량 하부 외관조사 자동화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으며 본 시스템을 통하여 교량의 보수 보강 시기를 보다 객관적으로 산정할 수 있어서 현재 매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교량의 보수 보강 비용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저장기간을 계산하면, 아세설팜칼륨의 혼용 비율이 높아질수록 저장기간이 길어져서, $50\%$로 혼용하였을 때 가장 긴 저장기간이 산정되어 $20^{\circ}C$에서는 178일, $30^{\circ}C$에서는 88일이 예측되었다. 아스파탐과 아세설팜칼륨의 혼용비율을 5:5, 7:3, 9:1로 달리하여 구연산 완충액 상에 녹인 후, 20, 40, $60^{\circ}C$에서 저장하였다 크기 추정법을 이용하여 단맛을 측정한 결과 20일간의 저장 기간 동안 $20^{\circ}C$$40^{\circ}C$에서는 단맛이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산도 $0.4\~0.8\%^{(10)}$에서도 식품 유해가능성을 가진 균이 상당수 검출되므로 원료의 수송, 김치의 제조 및 유통과정에서 병원균에 대한 오염방지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고농도의 유기물이 함유된 음식물쓰레기는 Hybrid Anaerobic Reactor (HAR)를 이용하여 HRT 30일 정도에서 충분히 직접 혐기성처리가 가능하며, 이때 발생된 $CH_{4}$를 회수하여 이용하면 대체에너지원으로 활용 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207), $99.2\%$(238/240), $98.5\%$(133/135) 및 $100\%$ (313)였다. 각각 두 개의 요골동맥과 우내흉동맥에서 부분협착이나

  • PDF

뉴캣슬병 면역에 대한 검토 I. 뉴캣슬병 유행지역에서의 계군면역에 대한 실태조사 (Studies on the Immunization Against New-castle Disease I. A Survey on the Immune Status of Poultry Flocks Againt New-castle Disease in the Epizootic Area)

  • 이학철;정우열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5-24
    • /
    • 1981
  • 우리나라 뉴캣슬병 (ND) 면역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명확한 예방접종지침을 제시하는 목적의 일환으로 우선 ND 유행이 극심하였던 지역의 일반양계농장에서 사육되는 건강면역군의 예방접종경력과 혈구응집억제항체가(HI 가)를 조사하여 야외에서 실시된 ND예방접종결과에 따르는 면역효과를 간접적으로 파악하는 한편 동일지역 내에서 ND발생계군과 비발생계군에 대한 예방접종경력과 발생계군의 피해상황을 조사함으로서 야외에서 실시한 ND예방약의 응용방법과 본병발생과의 관계를 조사한 추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ND 유행지역에서 조사한 26건강면역계군의 예방접종경력은 각양계농장 임의대로의 예방접종 프로그램에 따라서 22계군은 LV와 LV병용. 잔여 4계군은 KV단용에 의해서 각각 면역되었다. 이들의 HI가는 일반적으로 전자가 높았고 후자는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그 평균치는 각각 146. 50이었다. 그리고 전자의 22계군 중 특히 낮은 역치(10, 23)를 보였던 그계군은 추후 ND발생을 보았으나 잔여 20계군 및 KV 단용 4계군은 모두 무사히 경과하였다. 2. ND유행지역에서 조사한 ND발생14계군의 예방접종경영은 무접종이 1계군이고 잔여 13계군은 각양계농장 임의대로의 접종프로그램에 따라서 LV단용이 8계군, LV와 KV병용이 5계군이었다. 폐사율에 있어서 후자는 5.1%인데 반하여 전자는 32.5%의 피해 즉 후자에 비하여 6.28배의 월등히 높은 폐사율을 보였다. 한편 ND비발생 4계군은 LV와 KV병용 혹은 KV단용 예방접종프로그램에 의해서 면역되었으며 LV단용계군은 1예도 없었다. 3. 야외에서 조사한 면역계군들의 LV응용은 거의가 ND면역상 불리하다고 보여지는 음수 투여에 의해서 면역되었으며 극히 소수예가 비질내적하 혹은 일정 희척 LV병독액 속에 파면역추의 입, 코, 눈까지 침지하는 특이한 방법으로 면역되었다.

  • PDF

호박벌(Bombus ignitus Smith)의 봉군발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Colony Development of Bombus ignitus Smith)

  • 이상범;마영일;배태웅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95-407
    • /
    • 1999
  • The queens of Korean native bumblebee species, Bombus ignitus were collected from the field in the spring of 1997 and reared under the various temperatures as 15$^{\circ}C$$\pm$1$^{\circ}C$, 2$0^{\circ}C$$\pm$1$^{\circ}C$, $25^{\circ}C$ $\pm$1$^{\circ}C$, 3$0^{\circ}C$$\pm$1$^{\circ}C$, 60%$\pm$5% of relative humidity and 14L : 10D, to investigate their ecological characteristics, as comparing with control(29$^{\circ}C$$\pm$1$^{\circ}C$, 60%$\pm$5% of relative humidity and red light). As a result, eggs were laid by foundation queen at 15$^{\circ}C$, but they didn't hatched out while at 2$0^{\circ}C$ eggs were laid by them and they hatched out. When a foundation queen laid eggs at $25^{\circ}C$ and they all were hatched out and normally grown. Finally they were developed to the normal colony. B. ignitus worker survived for 77days at 2$0^{\circ}C$, about 69days at $25^{\circ}C$, about 68days at 3$0^{\circ}C$ and about 63days at 29$^{\circ}C$(control). The first brood workers emerged in 25-27days from the egg which a foundation queen laid. At the various temperatures, the captive queens stand to lay eggs in about 18days at 15$^{\circ}C$, 15days at 2$0^{\circ}C$, 11days at $25^{\circ}C$, 11days at 3$0^{\circ}C$ and 4days in control. The first worker and the first drone from the egg cell of the collected queens appeared in about 27days and 72days at 2$0^{\circ}C$, 26days and 88days in $25^{\circ}C$, 24days and 65days at 3$0^{\circ}C$, 25days and 71days in control, respectively. In colony foundation, 33% of the collected queen at 2$0^{\circ}C$ and $25^{\circ}C$, 100% of the disposed queen at 3$0^{\circ}C$ and in control, and 67% of them at 3$0^{\circ}C$ and in control both produced new queens in 66days and 88days, respectively. The life span of the colony founded covered fro about 3 months at $25^{\circ}C$, 3$0^{\circ}C$ and in control. At lower temperatures, the life span of queen is shorter; 2 months at 15$^{\circ}C$ and 3 months at 2$0^{\circ}C$, respectively. A colony which normally developed, varied in size with rearing temperatures; about 20heads at 2$0^{\circ}C$, 482heads at $25^{\circ}C$, 330heads at 3$0^{\circ}C$ and 452heads in control. A foundation queen monthly oviposited 1.5egg cells at 15$^{\circ}C$, 3.0egg cells at 2 $0^{\circ}C$, 21.7egg cells at $25^{\circ}C$, 42.3egg cells at 3$0^{\circ}C$ and 47.0egg cells in control. As a colony developed in June and July, egg cells as well as daily average cells increased in number, as compared to those in May and August. Also, in June and July, interval(days) of egg laying is shorter than in May and August. Number of nectar pots during the colony development varied with rearing temperatures; 31pots at $25^{\circ}C$, 39pots at 3$0^{\circ}C$, 23pots in control. The emergence of new queen showed a distinctively different two patterns; early emerging type and late emerging type. Workers are rapidly increased from early in July to early in August at $25^{\circ}C$, but at 3$0^{\circ}C$ and in control, emergence of workers are remarkably increased from the middle of June and last until July. No new queen emerged at 15$^{\circ}C$, 2$0^{\circ}C$ and $25^{\circ}C$. New queens at 3$0^{\circ}C$ and in control emerged between late in June and early in July. Thus emergence of new queen was temperature dependent.

  • PDF

부직포 멀칭 방식에 따른 종가시나무 묘목의 생장과 제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olypropylene Mulching Method on Growth of Quercus glauca Thunb. Seedling and Weed Treatments)

  • 성창현;윤준혁;진언주;배은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59-66
    • /
    • 2020
  • 최근 이상기후 등 기후변화에 적응하고 관상가치가 높은 상록활엽수의 활용을 높이기 위한 재배 및 관리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종가시나무 (Quercus glauca Thunb.) 1-2묘를 공시수종으로 하여 10개월간 경남 진주시 금산면에 위치한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월아 시험림에서 1m×22.5m 크기의 묘상을 만들어 부직포 멀칭 소재 60g/㎡, 80g/㎡ 두 종류와 멀칭 방식 겹치기, 구멍뚫기 두 방식 그리고 멀칭을 하지 않은 대조구 총 5개 처리구로 각각 92본씩 시험지를 조성하였다. 부직포 멀칭 소재 60g/㎡ 겹치기 방식은 대조구와 비교 시 묘고는 약 1.9배 근원경은 약 1.1배 더 높은 값을 보였으며, 처리 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건전한 묘목은 H/D ratio 7.0 이하, T/R ratio 3.0 이하, 부위별 물질 생산량 값이 높은 조건으로 분석 결과, 이를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멀칭 처리에 따른 묘목의 품질을 평가할 수 있는 LWR, SWR, RWR 값을 대조구와 비교해 보면, 잎과 줄기를 포함하는 지상부의 생장은 증진되었지만, 뿌리를 포함하는 지하부의 생장은 대조구 값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묘목의 종합적인 품질을 평가할 수 있는 SQI 값은 대조구와 멀칭 처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멀칭 처리에 따른 생육증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엽록소 함량 분석에서는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대조구의 잡초 발생이 환경스트레스로 작용하여 엽록소 함량의 저하를 야기한 것으로 판단된다. 부직포 멀칭 소재 80g/㎡ 겹치기 방식은 잡초 발생량이 대조구 대비 약 4배 더 적게 발생하며, 식재지 조성인력과 제초작업에 소요되는 총 작업인력은 3.3인/100㎡/1일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멀칭처리는 묘목의 생장과 품질 그리고 제초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생육증진 효과가 있으며, 대규모 식재지를 포함한 일반수목 생산지에서의 제초작업에 투입되는 인력수급의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대안으로 판단된다.

Meta-analysis를 이용한 UVB 조사량에 따른 피부암 발생 위해도의 예측 연구 (Prediction of the risk of skin cancer caused by UVB radiation exposure using a method of meta-analysis)

  • 신동천;이종태;양지연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1권1호
    • /
    • pp.91-103
    • /
    • 1998
  • 성층권의 오존층 파괴로 수반되는 부작용에는 우주의 자외선이 차단되지 않고 지구표면에까지 도달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생태계 파괴를 비롯하여 기후이상 및 인체 건강장애 발생의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자외선 노출로 인한 피부암 발생에 관한 여러 연구결과가 보고 되었으며 이에 대한 종합적이고 신뢰성 있는 재평가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유사한 연구의 국내 수행이 제시되는 때이다. 이에 메타분석이라는 방법을 통하여 신뢰성있는 BAF 값을 추정하여 보고 이 지수를 국내 자료에 적용하여 국내 피부암 발생의 변화 양상을 자외선 증가와 함께 추정하여 보았다. 3개국의 자료를 일원화하여 추정된 UVB 계수는 지수함수 모델에 의해서는 $2.07\times10^{-6}$으로, 멱함수 모델에 의해서는 2.49로 산출되었으며, 이들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계수로부터 BAF 값을 추정한 결과, 서울 일부 지역에서의 UVB 조사량이 1% 증가되면, 피부암 발생률은 지수함수 모델에서는 1.90%, 멱함수 모델에서는 2.51%가 증가되는 것으로 산출되었으며, 이 연구에서 적용한 메타분석의 방법으로 제시된 위해도는 비교적 신뢰도가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의 비흑색종 피부암 발생율이 백만명당 11명이라고 가정할 때, UVB 조사량이 1% 증가됨으로 인해 국내 비흑색종 피부암 발생율은 백만명당 11.1명$\sim$11.3명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예측된다. 이렇게 낮은 수준의 위해도에도 불구하고 자외선 노출이 피부암 발생의 원인적 요인이라는 것이 밝혀진 지금, 이에 대한 불필요한 노출을 가능한 삼가고 계속적인 관심을 두어야 할 것이다.

  • PDF

대맥(大麥)에 대(對)한 맥기비용(麥基肥用) 신개발(新開發) 복합비료(複合肥料)의 비효에 관(關)한 연구(硏究) (Sudies on the Effect of a New Compound Fertilizer for Application for Barely)

  • 김광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1-36
    • /
    • 1978
  • 용성연비(熔成憐肥)를 함유(含有)하는 입상(粒狀) 신복합비료(新複合肥料)의 보리 기비(基肥)로서의 효과(效果)를 시판(市販) 비종(肥種)들과 비교(比較)하기 위하여 토양중(土壤中) 유효인산(有效燐酸) 함량(含量)이 약(約)50ppm인 식양토(埴壤土) 포장(圃場)에 보리를 공시(供試)하여 1976년(年) 11월(月)부터 1977년(年) 6월(月)까지 실시(實施)한 시험(試驗)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혹한(酷寒)으로 인(因)하여 전국(全國) 공(共)히 심(甚)한 한해(寒害)를 입었으나 처리간(處理間) 생육상(生育狀)과 수량(收量)의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됐다. 2. 초장(草長)과 식물체(植物體) 건물중(乾物重)의 경시적(經時的) 변동양상(變動樣相)으로 볼 때 함용성연비(含熔成憐肥) 신복합비료(新複合肥料)는 초기(初期) 생육(生育)보다는 후기(後期) 생육(生育)을 양호(良好)하게 하는 효과(效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수량(收量)과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로 볼 때에도 위의 추리(推理)를 확인(確認)할 수 있었다. 즉(卽) 함용성연비(含熔成憐肥) 신복비구(新複肥區)의 수량(收量)은 중과석구(重過石區)나 용연구(熔憐區)보다 높았으며 이삭당 알수와 등숙률(登熟率)이 높은 것이 증수(增收)의 원인(原因)으로 나타났다. 4. 식물체(植物體) 분석(分析)을 통(通)한 인산(燐酸) 흡수량(吸收量)으로 볼 때 함용연(含熔憐) 신복비(新複肥)는 후기인산(後期燐酸) 공급(供給)을 원활(圓滑)케 한 것 같다. 그러나 본시험(本試驗) 조건하(條件下)에서는 이 비료(肥料)에 함유(含有)된 고토(苦土)나 규산(珪酸)은 별다른 효과(效果)를 나타내지 않았다. 5. 본(本) 시험성적(試驗成績)은 비정상적(非正常的)으로 혹한(酷寒)이란 조건하(條件下)에서 얻어진 것이며 신비료(新肥料)의 토양중(土壤中)에서의 화학적(化學的) 행동(行動)에 관(關)한 연구결과(硏究結果)가 없으므로 본(本) 시험결과(試驗結果)에서 얻어진 신비료(新肥料)의 우수성(優秀性)은 확정적(確定的)인 것으로 보기는 현재(現在)로서는 어렵다.

  • PDF

관수(灌水)에 의(依)한 시비양분(施肥養分)의 토양중(土壤中) 이동(移動)에 관(關)한 연구(硏究) -III. 토양수분(土壤水分) 조건(條件)에 따른 질소(窒素)의 이동(移動) (Movement of Applied Nutrients through Soils by Irrigation -III. Effect of Soil Water on the Movement of Nitrogen)

  • 류관식;류순호;송관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32-237
    • /
    • 1994
  • 발작물 재배시(栽培時) 토양(土壤)에 시용(施用)한 질소(窒素)(요소(尿素))가 토양수분조건(土壤水分條件)을 달리하였을 때, 작물재배시기별(作物栽培時期別)로 어떻게 이동(移動)하는가를 공명(空明)하기 위하여 사양토에서 Ladino clover를 재배(栽培)하면서 microplot(지름 20cm, 길이 85cm)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하였다. 질소비료(窒素肥料)로 요소(尿素)를 토양에 시용(施用)했을 때 대부분의 요소(尿素)가 단시일내에 가수분해되어 시험시작(試驗始作) 1개월(個月) 후(後)에는 시용(施用)한 요소(尿素)의 95%가 $NH_4$-N로 되었으나 $NO_3$-N로 형태변환(形態變煥)되는 데는 비교적 오랜 시일이 걸렸다. 토양중 $NO_3$-N는 시험시작(試驗始作) 2개월(個月) 후(後)에 $NH_4$-N보다 많아졌고, 2.5개월(個月) 후(後)에는 $NH_4$-N보다 2배 이상 많아졌다. 토양중에 $NH_4$-N가 많았던 시험초기(試驗初期)에는 무기태질소(無機態窒素)의 하향이동(下向移動) 속도(速度)가 느렸으나, $NH_3$-N가 $NH_4$-N보다 현저하게 많아진 2.5개월(個月) 이후에는 하향이동(下向移動)이 매우 빠르게 일어났다. 시험시작(試驗始作) 3.5개월(個月) 후(後)에는 대부분의 $NO_3$-N가 50~80cm 깊이의 토층(土層)에 분포하였다. 토양수분조건(土壤水分條件)이 좋을수록 무기태질소(無機態窒素)의 하향이동(下向移動)이 활발하게 일어났으며 식물체(植物體)에 의한 흡수량(吸收量)도 많아 microplot내 토층에 남아있는 양이 적어졌다. 최종수확기(最終收穫期)에 나지구(裸地區)에서는 시용질소(施用窒素)의 92%인 3.66g의 질소가 microplot 외부(外部)로 하향이동(下向移動)되었다. 무관개구에서는 시용질소(施用窒素)의 57%가 식물체에 의해 흡수(吸收)되었고 37%가 토양중에 남아있었다. 관수점(灌水點) 0.2 bar 처리구(處理區)에서는 식물체에 의한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이 4.03g으로서 시비량(施肥量)보다 많았으며, microplot 외부(外部)로 하향이동(下向移動)도 많이 일어나 근류균에 의한 공중질소(空中窒素) 고정량(固定量)도 많은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