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rol of Human Clonorchiasis at Gokseong-gun and Sunchang-gun near the Sumjin River in Korea

섬진강 유역 곡성군, 순창군 지역 주민의 간흡충증 관리

  • Kim, Suk-Il (Department of Parasitology,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Yun, Woo-Sang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 김석일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 윤우상 (조선대학교 대학원)
  • Published : 2004.06.30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crease the prevalence of human clonorchiasis and to evaluate the control effect in two Clonorchis sinensis-endemic area of Gokseong-gun and Sunchang-gun adjacent to the Sumjin River in Korea. Methods: The formalin-ether concentration method for stool egg examination or ELISA was applied for the diagnosis of clonorchiasis. As a primary survey, according to the non-probability sampling, a total of 1,2.13 inhabitants at Gokseong-gun were screened through the stool examination, and 1,004 inhabitants at Sunchang-gun were screened through the ELISA. The humans infected with C. sinensis were medicated with praziquantel and educated for the prevention of reinfection with the fluke. After 9 months, as a secondary survey, each prevalence of 616 inhabitants at Gokseong-gun and 2.637 inhabitants at Sunchang-gun was followed-up for the decrease of human clonorchiasis. Results: The prevalence before the mass control was 39.0% at Gokseong-gun and 30.1% at Sunchang-gun in average from 61.5% to 8.9% according to the villages (Myeon) of the survey. In the riverside villages to the Sumjin River the prevalences were higher than other villages located far from the river. The prevalence after the control was decreased to the level of 22.4% at Gokseong-gun(P<0.0001) and 16,3% at Sunchang-gun (P<0.0001).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human clonorchiasis was still highly endemic in riverside area of the Sumjin River and could be decreased through the control activities such as diagnosis, medication and education. It was highly recommended that a integrated control such as those of the present study must be adopted in other localities along the Sumjin River for the eradication of human clonorchiasis.

섬진강 유역 곡성군 및 순창군 지역은 주민의 간흡충증 유병률이 약 10~40%이다. 이 지역의 간흡충 질환의 퇴치를 위해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간흡충 간염자를 진단 및 치료하고 예방교육을 통해 이 질환의 관리효과를 관찰 하였다. 간흡충 집중관리 이전의 제1차 간흡충증 유병률 조사를 실시하였다. 비확률 표본추출의 방법에 따랐다. 전남 곡성군 주민 1,243명에 대하여 대변을 받아 Formalin-ether 집란법으로, 전북 순창군 주민 1,004명에 대해서는 혈청을 받아 ELISA 검사로 간흡충증을 진단함으로써 두 지역의 간흡충증 유병률을 파악하였다. 간흡충 감염자 전원을 디스토시드 약물로 치료해 주고 재감염 방지를 위한 예방교육을 실시하였다. 간흡충 집중관리 이후의 제2차 간흡충증 유병률 조사를 1차 조사 후 9개월 뒤에 곡성군 주민 616명, 순창군 주민 2,637명을 대상으로 1차 조사 때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여 얼마나 유의하게 유병률이 감소하였는지를 판정하였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곡성군 및 순창군의 집중관리 이전의 제1차 간흡충 유병 각각 평균 39.0%, 30.1% 이었고 두 군을 통 털어 면 단위별로는 61.5%에서 8.9% 범위이었다. 두 군 모두 섬진강변에 위치한 면에서 강으로부터 먼 면보다 유병률이 높았다. 또한 대변검사와 ELISA의 Field survey 상의 진단적 신뢰도에 큰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였다. 2. 간흡충 감염자 전원을 약물 치료 및 예방교육을 실시하고 9개윌 후에 실시한 제2차 조사 결과, 곡성군 및 순창군의 간흡충 유병률은 22.4%, 16.3%로 집중관리 이전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두 군 공히 유의하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01). 이상의 결과에서, 섬진강 유역의 곡성군, 순창군 지역은 간흡충 감염이 고도로 유행하고 있었고, 집중관리에 의해 유병률이 유의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섬진강 유역의 다른 지역도 간흡충증의 집중관리가 이루어져야 하며 본 연구의 간흡충증 관리 모형을 적용할 것을 제언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조선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