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stival trust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4초

엔데믹 시대의 의료관광 특성인 관광 축제 품질과 축제 신뢰, 축제만족, 구전효과 간의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Festival Quality, Festival Trust, Festival Satisfaction, and Word of Mouth Effect,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Medical Tourism in Endemic Era)

  • 안태기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53-260
    • /
    • 2023
  •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 엔데믹 이후 의료관광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특히 힐링과 치유에 대한 관광 형태 중 하나인 관광 축제 현황분석을 통해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관광 축제를 통한 힐링과 삶에 대한 치유의 장으로 현대인들에게 여가시간과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삶에 축제라는 것이 중요한 가치 있는 활동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축제가 보다 체계적으로 구조적 관계들이 분석되어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힐링에 관계된 축제 개최에 따른 지역발전 영향요인이 축제 품질과 축제 신뢰 및 축제만족 그리고 구전 효과까지 영향을 미치는 검증을 통해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질적연구방법을 이용한 지역축제의 참여농가 영향모델 - 청원생명축제를 중심으로 - (An Effects Model of Local Festival on the Participating Local Farms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 - Focused on the Cheongwon Organic Life Festival -)

  • 김숙종;엄성준;황성기;이준설;리신호
    • 농촌계획
    • /
    • 제23권1호
    • /
    • pp.11-19
    • /
    • 2017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Cheongwon Organic Life Festival, a rural festival, affects the farmers of the local farms in Cheongju. Based on grounded theory, this study analyzed the objective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program, the Nvivo11 program.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 depth interviews from 13 farmers who participated in the Cheongwon Organic Life Festival, and were also residents of Chungcheungbuk-do. The roles of the local festival expected by farmers, were the sale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s, local public relations, regional revitalization, a sense of pride as a farmer, exchange of business ideas for sales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a line of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farmers and consumers. The farmers who participated in the Cheongwon Organic Life Festival insisted that sales should ris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rmers who participated in the festival felt socially and psychologically stable while participating. The programs at the Cheongwon Organic Life Festival include a concert, hands on involvement, and agricultural sales, which have a direct influence on both sales and attracting visitors during the local festival. Farmers who participated in the Cheongwon Organic Life Festival ask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festival, including the problems with the admission tickets, parking, arrangement of facilities, festival venue, time, and etc. The suggested improvements for the Cheongwon Organic Life Festival focused on the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of agricultural products, as well as the organic farming of products, thereby to gain trust from the consumers.

Research on the Impact of Chinese E-commerce Festivals on College Students' Purchase Intentions

  • Shan YI;Liu YUANYUAN;Sun QIUYAN
    • 산경연구논집
    • /
    • 제15권9호
    • /
    • pp.29-35
    • /
    • 2024
  • Purpose: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e-commerce industry, online e-commerce festivals represented by the "Double Eleven Online Shopping Festival" and "618 Mid-Year Promotion" in China play a unique role in consumer activities and have an important impact on various consumers. As aborigines in the Internet era, college students have huge consumption potential. In order to meet the pursuit of a better life for college students and achieve impressive business results, e-commerce platforms will launch various e-commerce festival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article constructs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stimulus organism response model and clue utilization theory, proposes relevant hypotheses, and uses SPSS 27.0 to test the proposed hypotheses. From the perspectives of promotion level, timeliness, and variety of categories,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impact of e-commerce festivals on college students' purchasing intentions and draw relevant conclusions. Results: Empirical verification has shown that the promotion level, timeliness, variety of categories, and holiday trust of e-commerce festival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e-commerce festival trust of college students as a consumer group. Conclusions: The conclusion on college students' purchasing intentions not only has guiding significance for the formulation of marketing strategies for enterprises, but also helps to understand the current behavior patterns of young consumers.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의 거버넌스 특성과 평가 (The Evaluation on the Governance of Andong International Mask Dance Festival)

  • 황화석;이철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1-160
    • /
    • 2012
  • 본 연구는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의 거버넌스의 특성을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평가는 사회적 정당성, 신뢰성, 전문성 그리고 투명성의 4가지 요소별로 거버넌스 주체 상호간 교차평가에 초점을 두었다.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의 핵심적인 성공요인으로는 축제 주체 간의 협력적 파트너십에 기초한 거버넌스를 들 수 있다. 2011년 현재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의 거버넌스는 '안동축제 관광조직위원회'를 중심으로 축제전문가, 시민사회단체, 지역상공인단체, 자원봉사자 그리고 지방정부 등의 각 주체들이 수평적이고 개방적인 파트너십에 기초한 소위 '민간주도형' 거버넌스를 그 특성으로 들 수 있다.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의 거버넌스는 투명성을 제외하고는 모든 구성요소에 대하여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거버넌스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평가한 경향이 강한 주체는 축제를 주도적으로 기획, 집행 그리고 평가 과정에 참여한 주체이었다. 긍정적으로 평가한 이유는 사회적 정당성의 경우에는 사업에 대한 정당성과 관련 주체의 참여 보장, 신뢰성에 있어서는 주체의 능력과 인지 및 제도적 신뢰이었다. 전문성의 경우는 전문지식, 대안제시 능력 그리고 업무의 지속성이었고, 투명성에 있어서는 원활한 의사소통과 정보 공개 및 공유 보장이었다. 앞으로 거버넌스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한정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던 주체의 적극적인 참여와 주체 간 그리고 주체와 일반시민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정보공유를 보다 강화하기 위한 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일본의 문화경제전략과 미술품 유동성 활성화에 관한 연구 - 문화청의 선진미술관 정책 추진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revitalization of Japanese artworks: Focus on Japan Advanced Art Museum Policy)

  • 추민희
    • 예술경영연구
    • /
    • 제51호
    • /
    • pp.135-166
    • /
    • 2019
  • 최근 일본 문화청은 미술관의 지속 가능성과 경제성 강화를 통한 산업증진 등을 위하여 리딩 뮤지엄(선진미술관)으로 대표되는 예술시장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였다. 인구감소 시대로 진입함에 따라 인구절벽과 지역사회 공동화 등은 큰 사회적 문제이다. 문화의 향유자와 창조자 모두 급감하여 문화 기반 자체가 붕괴할 위험이 있고, 이러한 상황에서 문화 분야의 지원 예산이 현안에 밀려 우선순위가 낮아지면 현재의 문화 지원의 수준도 유지하기 어려울 것이다. 또한 일본 국민의 자산 수준이 국제적으로 보아도 높은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미술산업 시장은 미국, 중국 등에 비하여 매우 낮은 수준이다. 일본 정부는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방안으로 미술품의 유동성을 높여 미술산업 시장을 활성화하겠다는 것이다. 문화청은 일본 내 미술관의 일부를 미술 시장 활성화를 위한 선진미술관으로 지정하여 예산 지원과 학예사 인력을 증원과 체질을 강화한 후 소장 미술품 등의 가치를 평가하여 수장품의 보존 여부를 판단 후 투자유치를 위하여 소장품을 시장에 매각하겠다는 전략이다. 이러한 정책 발표와 함께 일본의 문화계와 비평계가 찬반으로 나뉘어 큰 갈등에 휩싸였고 반대 여론이 높아져 현재 정책 추진이 잠정 유보된 상황이다. 반대 이유로는 보존과 전승이라는 박물관의 고유 목적에 부합하지 않고 상업주의가 예술계를 망칠 수 있다는 것이고 찬성 이유는 일본의 예술사회는 미술관과 박물관 이외에도 비영리단체, 예술제의 운영조직, 지원인력, 자원봉사자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보조금 편향성이 높다 보니 실질 인건비도 지급하지 못하여 사실상 방치상태라는 것이다. 또한, 사회 변화에 따라 보조금 의존도를 줄여야 예술사회 자체가 살아남을 수 있다는 경각심도 나타나고 있다. 일본과 상황이 크게 다르지 않다 보니 우리나라 역시 미술품 유동성 활성화를 위한 미술품 감정·평가기능 수행하는 국립미술은행의 신설이나 미술품 담보대출, 미술품 신탁 등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구절벽이 현실로 다가오는 상황에서 보조금만으로 현실적 문제를 타개하기 어려우므로 우리 역시 문화에 대한 투자를 확충시켜 문화와 경제가 일원적·연쇄적으로 운용될 수 있게 하는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