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male worker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26초

지역사회복지관의 근무환경은 가족친화적인가? (Is Working Environment of Korean Community Welfare Center Family-Fridendly?)

  • 문은하;조정은;장유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234-24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기혼 여성사회복지사의 근무환경이 얼마나 가족친화적인지 분석하고 여성사회복지사들의 일-가정양립 실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와 인터뷰 조사를 행한 혼합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고, 설문지 대상자는 전국 4개 도(서울, 경기도, 강원도, 경상도)의 지역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82명의 기혼 여성사회복지사로, 이 중 10명을 선정하여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산전 후 휴가는 긍정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반면 유연근무제 및 육아휴직제도의 사용은 저조하였다. 이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으로 기관의 분위기, 대체인력 채용의 어려움, 휴직 시 동료에게 전가될 수 있는 업무량으로 인한 관계 우려 등이 나타났다. 또한 업무량의 과도한 집중화로 인한 출퇴근 시간의 불규칙성이 일-가정양립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복리후생제도로 자녀학비 지원 및 직장 내 어린이집을 비롯하여 어린이집 사용에 대한 기관의 지원에 대한 욕구가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영유아와 초등학생 자녀를 둔 여성 근로자의 직장-가정 갈등이 가정 및 직장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가족친화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Influence of Work-Family Conflict on Family and Job Satisfaction of Working Mother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Friendly Benefit)

  • 김동희;정선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101-11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이하 자녀를 둔 여성근로자가 가족친화제도를 쉽게 이용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 가족친화제도 이용용이성여부가 직장-가정 갈등이 가정 및 직장생활만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할 수 있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여성관리자패널조사(Korean Women Manager Panel) 6차 자료를 이용하여 초등학생 이하의 자녀를 가진 538명의 여성근속자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직장-가정갈등과 직장생활만족과의 관계에서 가족친화제도의 유형인 시간유연성제도, 경력유연성제도, 근로자지원제도 모두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보였다. 가정생활만족에 조절효과를 나타낸 것은 경력유연성제도가 유일했다. 유능한 여성근로자들이 경력을 단절하지 않고 자녀를 양육하며 일할 수 있도록 가족친화제도를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확산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기업과 정부차원의 적극적 지원을 제언하였다.

여성 근로자의 일·가정양립지원제도 인식과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emale Workers' Recognition and Utilization about Work-Family Balance Support Policy)

  • 정미주;임상호
    • 산업진흥연구
    • /
    • 제1권2호
    • /
    • pp.41-47
    • /
    • 2016
  • 본 연구는 여성 근로자의 일 가정양립지원제도에 대한 인식과 활용 간의 관계성 및 이용실태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현 직장에서 시행 비중이 높으며 가장 많이 이용한 일 가정양립지원제도는 육아휴직제-시차출퇴근제-육아기 근로시간단축제 순이었다. 일 가정양립지원제도 인지도(p<.001)와 이용 만족도(p<.05)는 일 가정양립지원제도 효과성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향후 일 가정양립지원제도 이용의도에 대한 일 가정양립지원제도 인지도 및 이용 만족도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으나 가족적 지지(배우자, 부모, 시부모)가 한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여성 근로자의 일 가정양립지원제도에 대한 인식과 활용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정책의 효과성을 파악하고, 가족적 차원까지 고려대상을 넓힌 데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세무회계사무소 여성 근로자의 교육훈련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Tax Account Office Female Workers' Education and Training on Job Performance)

  • 이환공;체렝후;장석인
    • 산업진흥연구
    • /
    • 제1권2호
    • /
    • pp.33-39
    • /
    • 2016
  • 본 연구는 세무회계사무소 여성 근로자의 교육훈련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직장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요인은 교육 이수 후 적극적 자세 변화 정도, 교육시설 및 환경 적절성, 교육시간 적절성, 교육의 직무지식 향상 도움정도였으며 교육시설과 환경이 적절했다고 평가할수록 직무대응성이 높게 나타났다. 자기계발노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요인은 교육 이수 후 직무수행 도움정도, 교육 이수 후 적극적 자세 변화 정도, 교육시간 적절성, 교육의 개인성장 도움정도, 교육의 직무지식 향상 도움정도로, 교육훈련의 적절성과 도움정도를 높게 평가할수록 직무성과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세무회계사무소 여성 근로자의 교육훈련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세무회계 직종에서 교육훈련에 대한 평가 및 인식이 직무성과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성을 검증한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금융직 여성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실태와 근골격계질환 자작증상과의 관련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ubjective symptoms associated with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financial working woman's)

  • 조기홍;최순영;박동현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7-28
    • /
    • 2007
  •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female bank work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tress and symptoms associated with musculoskeletal disorders(MSDs). The total number of 587 female bank tellers have be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Specifically, questionnaire surveys regarding job stress and MSDs symptoms were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from the survey using Korean version of job stress questionnaire with 24 questions, stress scores associated with job requirement and job flexibility were relatively high. The job stress levels regarding job demand, organizational system, occupational climate at the work place were relatively high for the full time workers while the job stress levels regarding insufficient job control, job stability, interpersonal conflict, lack of reward were relatively high for the part time worker. The workers with longer total work years had relatively high job stress associated with interpersonal conflict, and organizational system while the workers with longer work years at the current job had relatively high job stress associated with occupational climate. Also, the workers with longer working hours a day had relatively high job stress associated with job demand, interpersonal conflict, organizational system, and occupational climate.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identified in this study, symptoms at the neck, shoulder, hand, low back. leg were associated with the stress levels in terms of job flexibility, interpersonal conflict, job requirement, job stability. In conclusion, female bank workers are exposed to job stress due to their specific job characteristics and there has been certain relationships between their job stress and MSDs symptoms.

재가노인복지센터 여성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을 조절변인으로 (The Study on the effects of Job Stress of Female Caregivers in Home-based Elderly Welfare Center on Turnover Intention: Self-elasticity as a controlling variable)

  • 이은아;구현수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54-61
    • /
    • 2020
  • 본 연구에 목적은 재가노인복지센터에서 종사하는 여성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재가노인복지센터 28개소의 요양보호사 17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50부룰 회수하고 불성실한 응답 17명을 제외한 133명을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재가노인복지센터 여성 요양보호사의 경력이 낮은 집단과 종교가 없는 집단에서 이직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간에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예방하고 자아 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정체성 및 주체성의 사회적 위치성에 따른 변화 -구미 지역의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생애사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nge of Identity and Agency of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Changing with the Social Positionality : A Case Study of Gumi)

  • 박신규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0-53
    • /
    • 2008
  • 이 연구는 국제결혼이주여성이 노동자에서 배우자, 어머니, 시민이라는 사회적 위치의 변화 과정에 따라 자신들의 정체성과 주체성도 달라지고 있음을 구미지역에 거주하는 8명의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이주여성들의 생애사적 체험을 토대로 개인적인 삶을 재구성하고 해석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사례분석 결과, 이주여성들은 미혼여성노동자, 배우자, 어머니, 시민이라는 자신들이 처한 사회적 위치성에 따라 자신의 정체성이 유동되어짐을 보여주었다. 사회적 위치성은 이주라는 공간이동을 통하여 발생하는 새로운 영역과 사회적 관계를 동시에 보여준다. 본국의 과거성에서 출발하는 자신의 정체성은 정착국의 상황, 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결혼이주여성이 정책의 대상이나 매스컴의 대상으로 부각되면서 상대적으로 이주여성을 어려운 생활에 있는 피해자나 빈곤한 나라에서 온 무지한 자로 자신들을 상정하는 것에 결혼이주여성은 강한 거부감을 표시하였다. 이것은 주체적으로 선택한 국제결혼에 대한 이중적인 감정이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정부정책으로 인한 결혼이민자가족지원센터라는 공간의 형성은 이들에게 집단적 여성주체로 설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해 주었다. 그 결과 국제결혼이주여성을 결혼하기 위해 이주해 온 단일그룹으로서가 아닌 행위 주체로서의 이주여성들에 대한 다양하고 복잡한 상황들을 반영할 수 있는 연구들이 요구된다.

  • PDF

전자제품 제조업 교대 근로자의 성별에 따른 수면의 질과 피로도 차이 (Differences in sleep quality and fatigue according to gender of shift workers in electronics manufacturing industries)

  • 김기웅;정은교;박해동;김갑배;강준혁;노지원;서회경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8-148
    • /
    • 2017
  • Objectives: Sleep quality is directly related to the health, quality of life and working capacity and is affected by age, gender, exercise, life habits. Gender dissimilarities in sleep quality are acknowledged. However,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sleep in shift workers was not well known. Our aim was to study the less known gender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sleep of shift workers. Methods: 1,008 study subjects aged between 21 and 57 years among these, 637(525 male and 112 female workers) were daytime workers and 371(253 males and 118 female workers) were shift workers. Sleep quality was measured by self-report through the Pittsburg Sleep Quality Index(PSQI) and fatigue was measured by using the Chalder Fatigue Scale(CFS). All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version 19.0 program. The study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Results: Overall, sleep quality was found to be worse in shift workers than in daytime workers and in female than in male. Fatigue in shift female work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daytime female workers and shift male workers. In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fatigu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ender, drink habit, regular exercise, working hours and sleep quality. With group male workers as the reference, the odds ratio(OR) for having a CFS was 2.115(${\beta}$ value=0.749, p<0.01), and subjective sleep quality, sleep latency, daytime dysfunction and PSQI were 1.541(${\beta}$ value=0.432, p<0.05), 2.297(${\beta}$ value=0.831, p<0.001), 1.798(${\beta}$ value=0.587, p<0.01) and 2.224(${\beta}$ value=0.799, p<0.01), respectively. Conclusions: Shift work played an important role in lowering the quality of sleep, and the effect was more pronounced in female workers than in male workers. Sleep quality was related to fatigue, especially sleep quality, sleep duration, sleep disturbances and daytime dysfunc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herefore, to improve fatigue and sleep quality of shift worker, it is necessary to improve healthy habits such as regular exercise, smoking cessation, and limited drinking. In particular, it is urgent to develop and implement a regular exercise program to reduce fatigue and improve the quality of sleep in workplace.

요양병원 근무한의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광주.전남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burn out of K.M.D.s (Korean medicine doctors) work at convalescent hospitals in Kwang-ju and Jeon-nam, Korea)

  • 문준석;신헌태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15-128
    • /
    • 2013
  • Objectives :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burn out degree of K.M.D.s(Korean medicine doctors) who work at convalescent hospitals and to find contributional factors for the result.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 out and job performance was also studied. Methods : 77 K.M.D.s(Male 49(63.6%), Female 28(36.4%))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at has 62 main questions about burn out, job performance, job environment and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rvey was conducted from 19th Aug. 2013 to 6th Nov. 2013. Results : Average of burn out degree of K.M.D.s was 2.62 out of 5. Emotional exhaustion was highest (2.80) and depersonalization was lowest(2.20) among subordinate concepts of burn out. Work place location and average income of the subjective which are subordinate concepts of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job performance. Role conflict, relation of co-worker, workload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emotional exhaustion and meaning of the job, will of patient, challenge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lack of feeling of accomplishment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lation of co-worker, aggression of patient and meaning of the job were also significant factors for depersonalization. Conclusion : Emotional exhaustion and lack of feeling of accomplishment among subordinate concepts of burn out were high in the subjective who participated this study. Significant factors that contribute to burn out of this study, shows different result compare to the studies that show other factors contribute to burn out who works at convalescent hospital or other place.

직장인의 시간활동 양상 평가 (Assessment of Time Activity Pattern for Workers)

  • 이현수;솨이 지엔페이;우병렬;황문영;박충희;유승도;양원호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2-110
    • /
    • 2010
  • Personal exposure relies on characteristics of time activity patterns of the population of concern as human activities impact the timing, location, and level of personal exposure. The information about time spent in microenvironments plays a critical role for personal exposure to air pollutants. It is useful to determine the precise times of the day that the subjects are in certain locations or engaging in specific activities because exposure to some air pollutants can depend on temporal trends. This study investigated time activity pattern for workers of Korean population over 19 years old with 8,778 workers in weekday. The residential indoor times were 12 hours. Time activity was different by gender and the mean times stayed at home in weekday were 12.9 hours in female and 11.42 hours in male, respectively. The major factors on residential indoor time and workplace time were age, monthly income, occupation and industry type, work position, education, and gender. Considering shorter than those in other countries, Korean workers spent less time at home after the working hours. Determinants of time activity pattern need to be taken into account in exposure assessment, epidemiological analyses, exposure simulations, as well as in the development of preventive strategies. Since there are substantial difference of Korean worker activity pattern, this information can be critical for exposure assessment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