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male cancer patients

검색결과 867건 처리시간 0.029초

심장기능상태의 분류에 따른 게이트심장혈액풀 검사와 심장초음파의 심박출계수 상관관계에 관한 고찰 (The Study on the Correlation of the Ejection Fraction of Multi Gated Blood Pool Scan and Echocardiography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Cardiac Function)

  • 이동훈;박장원;남기표
    • 핵의학기술
    • /
    • 제19권1호
    • /
    • pp.57-61
    • /
    • 2015
  • 게이트심장혈액풀 검사와 심장초음파로 산출된 좌심실 심박출계수(Ejection Fraction : EF)는 높은 상관성을 가진다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심장기능의 상태를 고려하지 않은 채 모든 환자들을 대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심장의 기능상태에 따라 분류된 대상에 대하여 게이트심장혈액풀 검사와 심장초음파에서 평가된 심박출계수의 상관성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본원에서 게이트심장혈액풀 검사와 심장초음파를 모두 시행한 환자 중 유방암 진단을 받은 여자 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감마카메라는 Infinia (GE healthcare, Milwaukee, USA)와 Ventri (GE healthcare, USA)를 사용하였으며, 체내 표지법으로 좌전사위상(Left Anterior Oblique, LAO)영상을 획득한 후, 전면상(Anterior View)과 좌측면상(Left Lateral View)을 각각 획득하였다. 영상분석은 좌전사위상에서 심박출계수가 50% 이상 70% 미만으로 평가된 환자 30명(연령: $58.27{\pm}13.48$)과 50% 미만의 환자 30명(연령: $53.70{\pm}8.45$)을 각각 정상군(Normal)과 비 정상군(Mild LV Dysfunction)으로 분류하여 SPSS ver. 18.0로 통계 분석하였다. 그룹 간 판독결과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문의에 의해 판독된 결과를 참고하였다. 정상군의 게이트심장혈액풀 검사와 심초음파의 심박출계수의 평균값은 각각 $66.43{\pm}5.80$, $60.50{\pm}4.93$로 심초음파의 값이 다소 낮게 측정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비 정상군의 게이트심장혈액풀 검사와 심초음파의 심박출계수는 평균값이 $41.93{\pm}7.58$, $41.70{\pm}11.49$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01). 정상군간의 판독결과에서 30건 모두 동일한 판독결과를 보였으나 비 정상군간에서는 30건 중 8건에서 판독의 불일치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게이트심장혈액풀 검사와 심장초음파의 심박출계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비 정상군간의 결과에 주관적인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심장기능상태 분류에 따른 결과를 인식하고 게이트심장혈액풀 스캔과 심장초음파를 상호대체 검사로 임상에서 활용한다면 보다 정확한 결과 값을 산출하여 진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방사선에 의한 간섬유증에서 헤지호그의 잠재적 역할 (Potential Role of Hedgehog Signaling in Radiation-induced Liver Fibrosis)

  • 왕시형;정영미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710-720
    • /
    • 2013
  • 방사선 치료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항암치료로, 암 환자의 수 증가와 동반하여 방사선 활용도는 더욱 증가하고 있다. 방사선치료에 대한 환자들의 심리적 거부감과 산화적 스트레스, 저산소증, DNA 손상을 포함하여, 치료 후 나타나는 간 섬유화는 방사선 치료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간암의 경우 대부분의 환자들이 섬유화를 동반하고 있어서, 방사선에 의해 암세포가 제거된다 하더라도, 기존에 남아있는 손상 부위에서의 섬유화와 방사선 조사에 의한 정상조직의 섬유화는 간경변 유발 확률을 높이고 있다. 간 섬유화는 여러 간질환에서 흔히 관찰되는 증상으로, 간 섬유화 진행 기작의 규명은 만성질환으로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는 치료책 개발로 연계될 수 있지만, 아직까지 명확히 규명되지 않음에 따라, 섬유화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최근 간 섬유화 생성 및 진행에 대한 헤지호그의 역할이 밝혀지면서, 간암 및 만성질환으로의 진행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대상으로 대두되고 있다. 헤지호그는 손상된 간에서 발현되어 보수과정에 기여하게 된다. 헤지호그의 발현은 간 손상 정도에 비례하여 발현되어, 간 줄기세포 및 간 성상세포의 증식을 조절한다. 또한, TGF-${\beta}1$와, EMT를 유도하고 근섬유화세포의 활성을 조절하여, 간 섬유화 진행에 중심적 역할을 한다. 방사선이 조사된 생쥐의 간에서도 헤지호그의 발현증가가 관찰되었고, 이에 따른 간 줄기세포의 증식 및 EMT 유도, 콜라겐의 축적이 관찰되었다. 또한, 방사선이 조사된 암컷 생쥐의 간에서 헤지호그의 차별적 증가는 줄기세포 및 섬유화 증대로 연결되었고, 이는 방사선 민감성에 대한 성별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생물학적 근거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방사선에 의해 유도된 간 섬유화에 대한 연구결과들이 헤지호그를 비롯하여, 표면적인 결과보고만 있을 뿐, 섬유화 진행에 대한 구체적 기작을 밝히지 못하고 있다. 여러 간 질환진행에서 규명된 헤지호그 작용에 대한 지식을 방사선에 의해 유도된 간 섬유화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사람에서의 방사선 부작용과 유사한 동물모델의 정립 및 헤지호그 역할을 직접적으로 규명할 수 있는 추가적 연구을 통해서, 간 섬유화 형성 기작을 이해할 수 있는 연구결과가 기대된다.

수술로 절제된 비소세포폐암에서 세포주기와 관련된 p27, CDK4, Uteroglobin의 발현에 관한 면역조직학적 분석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for the Expression of p27, CDK4, and Uteroglobin in Resected Non-small Cell Lung Cancer)

  • 백만순;홍석균;홍현주;엄상원;이계영;김우호;이춘택;유철규;한성구;심영수;김영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3권3호
    • /
    • pp.253-264
    • /
    • 2002
  • 연구 배경 : 세포 주기에 영향을 주는 단백질들의 발현이 암의 발생, 진행, 치료 반응 및 생존에 중요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보고가 있다. 세포 분열을 촉진하는 CDK4와 이를 억제하는 p27의 발현 정도가 예후와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있고, 최근 새롭게 암억제 유전자로 밝혀진 uteroglobin과 세포 주기와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의 발현 여부와 예후와의 관련성에 대한 보고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그래서 세포 주기와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 정도가 비소세포암의 임상 지표와 생존율과의 관련성을 알아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수술적 절제를 시행한 110예의 비소세포암 조직을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tissue $4{\mu}m$ section에서 avidin-biotinylated hooseradish pero xidase complex를 이용한 immuno-peroxidase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였다. 발현 정도는 양성 염색부위의 면적과 염색 강도에 따라 0:none, 1:weak, 2: moderate, 3:strong로 구분하여 점수로 판정하였다. 염색의 정도에 따라 0,1을 음성군으로, 2와 3을 양성군으로 나누었다. 단백질 각각의 발현과 여러 가지 임상적, 조직학적 지표들과 연관성은 chi-square test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생존율은 Kaplan-Meier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 과 : 대상군은 수술 후 바소세포암 환자로 전체 110명으로, 성별은 남녀비가 87:23이다. 평균 연령은 $56.43{\pm}9.41$, 조직학적 형태별로는 상피세포암이 43명, 선암이 30명, 대세포암이 9명이고 그 외 다른 암은 28명이다. 세포주기 관련 단백질의 발현율은 p27가 110예 중 83예 (75%), CDK4는 110예 중 98예 (89%), uteroglobin은 110예 중 11예 (10%)로 CDK4가 가장 높았고 uteroglobin 이 가장 적었다. 각 세포주기 관련 단백질 발현율의 세포형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수술적 절제 된 비소세포암에서 시행한 면역 조직학적 염색에서 CDK4 발현이 음성인 군에서 생존기간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결 론 : 비소세포폐암에서 세포 주기에 단백질의 발현을 분석한 결과 CDK4 발현 정도가 환자의 예후와 관련되어 있어, 수술 후 치료 계획 및 생존 기간을 예측하는데 좋은 지표로 사용 될 것으로 생각된다.

병원가정간호사업 운영 현황 및 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Present Conditions and the Service Satisfaction with Hospital Home Care Service)

  • 홍춘실;오경옥;박미영;심희숙;차영남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21-134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home care services and to evaluate the client's satisfaction with the home care services provided by home care service center in the C hospital. The data were collected by reviewing charts of 128 home care clients who were receiving home care services at C hospital from October 1997 to September 2000. The subjects for satisfaction of home care service were 20 clients from July 10 to September 30, 2000. The tool for measurement of present condition of home care service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The satisfactions of the home care services were measured by using the instrument developed by Im(997).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PC+.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 1. Majority of the subjects was female(61.7%). The average of age was 63.5 years. The service has been used mostly by the elderly 60 years of age or older(71.1%). The economic level of most of subjects was in middle class(94.5%). 2. Majority of the subject had a cancer(55.4%), following stroke(25.0%). The average duration of disease for the subjects was 31 months. The average time of hospitalization for the subjects was 3.3 times. The duration of hospitalization was 10$\sim$30 days(26.6%), 30$\sim$60 days(23.4%) and above of the 210 days(9.4%). 3. Most of the subjects used his/her doctor (47.7%), as a consultant, following his/her nurse (28.1%), other patients or their family (21.9%). Most of reasons for a consultation were supportive management(Infusion or medication, 60.94%), following tube management(L-tube or T-tube, 25%), Foley catheter management (15.63%) etc. 4. 28 types of nursing diagnoses were used by the home care service. The nursing diagnosis altered nutrition: less than body requirement were used mostly by the home care service, following risk for infection, impaired skin integrity, impaired swallowing, ineffective airway clearance altered comfort: pain, impaired physical mobility. By the human-response pattern, exchanging(63.2%), moving(7.5%), feeling(10.4%), knowing(5.2%), communicating (2.6%), relating(0.5%) perceiving(0.4%) and choosing(0.3%). There were 42 nursing intervention types were performed by the home care service. By the NIC(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 McCloskey. Bulech. 1996). physiologic: complex (30.3%) was the most, safety(28.3%), behavioral(20.0%), physiologic: basic(10.8%) and health system(1.7%). Observation or assessment was the most nursing intervention performed by the home care service. following IV infusion. vital sign observation. infusion management and fluid-electrolyte balance management. 5. The level of client's satisfaction with provided home care services showed considerably high(2.67/ 3).

  • PDF

골밀도를 이용한 대퇴근위부 형태 변화의 상관관계 평가 (Assessment of the Correlation for Geometry Transition using Bone Mineral Density in Proximal Femur)

  • 김다혜;고성진;강세식;김정훈;김동현;예수영;김창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335-344
    • /
    • 2012
  • 우리나라는 급격한 경제성장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골다공증 발병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서구화된 식생활로 암질환이 증가하였고 항암치료과 방사선 치료 등으로 인해 골다공증이 발생하게 된다. 골다공증은 골밀도의 감소로 인한 것으로 대퇴근위부의 형태학적 구조 변화와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대퇴 근위부의 형태학적 구조 변화는 고관절 골절의 위험을 나타내는 요인이다. 본 연구는 T-score변화에 따라 정상, 골감소증, 골다공증으로 분류하여 각 군별로 대퇴 근위부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부산지역의 D종합병원의 남녀 350명을 대상으로 연령, 성별, T-score변화로 질환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연령, 성별에 따라 골다공증의 발병빈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T-score변화에 따른 질환 분류와 대퇴근위부 형태학적 특성의 7가지 파라미터로서 Cortical ratio calcar, Cortical ratio shaft, Hip/shaft Angle, Strength index, Section modulus, CSMI, CSA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골다공증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므로 연구 결과는 T-score변화에 따른 대퇴근위부의 형태학적 변화를 상관관계 분석함으로써 골다공증을 진단하는데 대퇴 근위부의 형태학적 변화가 지표로서 활용가능하리라 사료되며, 향후에 대퇴근위부의 형태학적 파라미터가 골다공증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고 예측인자로서 임상활용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점액성 선암종으로 폐의 쐐기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에 대한 한방치료 1례 (A Case Report of a Mucinous Adenocarcinoma Patient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after Wedge Resection of the Lung)

  • 홍미나;박혜림;조재현;최진용;배고은;한창우;박성하;김소연;이인;홍진우;최준용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776-78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and demonstrate the effect of Korean medical treatment on a wedge resection of a lung patient with mucinous adenocarcinoma. The patient was an 84-year-old female who was diagnosed with mucinous adenocarcinoma and underwent wedge resection.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acupuncture and herbal medicine (Banhahubak-tang and Gamiondam-tang). The EORT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Core 30 (EORTC QLQ-C30), EORT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Lung Cancer 13 (EORTC QLQ-LC13), numeric rating scale (NRS), and the Global Assessment (G/A) were used to assess the changes in symptoms, including operation site pain and dyspnea. After treatment, the patient showed improvement in operation site pain and dyspnea, based on the NRS and G/A. However, dyspnea and pain were aggravated based on the EORTC QLQ-C30 and EORTC QLQ-LC13. Therefore, Korean medicine may have a substantial benefit for patients with mucinous adenocarcinoma after wedge resection of the lung.

천공지 기저 국소 피판을 이용한 회음부 결손의 재건 (Reconstruction of the Defect in Perineum using Local perforator based flap)

  • 이주홍;윤인식;이동원;이원재;나동균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5호
    • /
    • pp.565-570
    • /
    • 2009
  • Purpose: Numerous techniques have been introduced to reconstruct the perineal area in order to preserve function of both the recipient and the donor site while satisfying aesthetic results. There are several advantages of using the pudendal aretery perforator based flap in that it provides thin coverage of defect area and a relatively excellent circulation through perforators. The perineal region can be divided into two areas : the urogenital triangle and the anal triangle. Since each area differs in structure and function so does its reconstructive plan. The authors of this article report clinical results obtained from pudendal artery perforator based reconstructed cases according to each differrent triangles. Methods: A total of 15 patients who underwent perineal reconstruction were enrolled in our study between the year 2002 and 2006. There were 4 cases of vaginal cancer, 4 cases of extramammary Paget's disease, 1 case of rectovaginal fistula in females and 2 cases of Paget's disease and 4 cases of Fournier's gangrene in male cases. The follow up period was on average 6 month. In female, superfical pudendal artery perforator based local flap were used to reconstruct the urogenital triangle defects, while internal pudendal artery perfoator based local flaps were used to reconstruct the anal traingle defects. In males the gracilis myocutaneous flap and internal pudendal artery perforator based local flaps were used in reconstruction of the scrotum and perineal defect. Result: In females, there was 1 case of partial flap necorsis that employed the superficial pudendal artery perforator but secondary repair through the internal pudendal artery perforator based local flap was done. In addition, there were 4 wound dehiscence cases in females and 2 cases in males. Conclusion: We believe that a better aesthetic and functional outcome can be achieved in perineal reconstruction if discrete surgical planning is carried out systematically categorizing the choice of flap employed acccording to distinct anatomical regions : the urogenital and the anal triangle.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Diffusion Tensor Imaging for Language Mapping in Brain Tumor Surgery: Validation With Direct Cortical Stimulation and Cortico-Cortical Evoked Potential

  • Koung Mi Kang;Kyung Min Kim;In Seong Kim;Joo Hyun Kim;Ho Kang;So Young Ji;Yun-Sik Dho;Hyongmin Oh;Hee-Pyoung Park;Han Gil Seo;Sung-Min Kim;Seung Hong Choi;Chul-Kee Park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4권6호
    • /
    • pp.553-563
    • /
    • 2023
  • Objective: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and diffusion tensor imaging-derived tractography (DTI-t) contribute to the localization of language areas, but their accuracy remains controversial.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preoperative fMRI and DTI-t obtained with a simultaneous multi-slice technique using intraoperative direct cortical stimulation (DCS) or corticocortical evoked potential (CCEP) as reference standards. Materials and Methods: This prospective study included 26 patients (23-74 years; male:female, 13:13) with tumors in the vicinity of Broca's area who underwent preoperative fMRI and DTI-t. A site-by-site comparison between preoperative (fMRI and DTI-t) and intraoperative language mapping (DCS or CCEP) was performed for 226 cortical sites to calculate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fMRI and DTI-t for mapping Broca's areas. For sites with positive signals on fMRI or DTI-t, the true-positive rate (TPR) was calculated based on the concordance and discordance between fMRI and DTI-t. Results: Among 226 cortical sites, DCS was performed in 100 sites and CCEP was performed in 166 sites. The specificities of fMRI and DTI-t ranged from 72.4% (63/87) to 96.8% (122/126), respectively. The sensitivities of fMRI (except for verb generation) and DTI-t were 69.2% (9/13) to 92.3% (12/13) with DCS as the reference standard, and 40.0% (16/40) or lower with CCEP as the reference standard. For sites with preoperative fMRI or DTI-t positivity (n = 82), the TPR was high when fMRI and DTI-t were concordant (81.2% and 100% using DCS and CCEP, respectively, as the reference standards) and low when fMRI and DTI-t were discordant (≤ 24.2%). Conclusion: fMRI and DTI-t are sensitive and specific for mapping Broca's area compared with DCS and specific but insensitive compared with CCEP. A site with a positive signal on both fMRI and DTI-t represents a high probability of being an essential language area.

Diagnostic Performance of Core Needle Biopsy for Characterizing Thyroidectomy Bed Lesions

  • So Yeong Jeong;Jung Hwan Baek;Sae Rom Chung;Young Jun Choi;Dong Eun Song;Ki-Wook Chung;Won Woong Kim;Jeong Hyun Lee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3권10호
    • /
    • pp.1019-1027
    • /
    • 2022
  • Objective: Thyroidectomy bed lesions frequently show suspicious ultrasound (US) features after thyroid surgery. Fine-needle aspiration (FNA) may not provide definitive pathological information about the lesions. Although core-needle biopsy (CNB) has excellent diagnostic performance in characterizing suspicious thyroid nodules, no published studies have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CNB specifically for thyroidectomy bed lesions. Therefore, we aimed to evaluate the diagnostic performance and safety of CNB for characterizing thyroidectomy bed lesion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24 thyroidectomy bed lesions in 113 patients (79 female and 34 male; age, 23-85 years) who underwent US-guided CNB between December 2008 and December 2020 were included. We reviewed the US imaging features of the target lesions and the histories of previous biopsies. The pathologic results, diagnostic performance for malignancy, and complications of CNB were analyzed. Results: All samples (100%) obtained by CNB were adequate for pathological analysis. Pathological analysis revealed inconclusive results in two lesions (1.6%). According to the reference standard, 50 lesions were ultimately malignant (40.3%), and 72 were benign (58.1%), excluding the two inconclusive lesions. The performance of CNB for diagnosing malignant thyroidectomy bed lesions in the 122 lesions had a sensitivity of 98.0% (49/50), a specificity of 100% (72/72),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100% (49/49),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98.6% (72/73). Eleven lesions were referred for CNB after prior inconclusive FNA results in thyroidectomy bed lesions, for all of which CNB yielded correct conclusive pathologic diagnoses. According to the pathological analysis of CNB, there were various benign lesions (58.9%, 73/124) besides recurrence, including benign postoperative lesions other than suture granuloma (32.3%, 40/124), suture granuloma (15.3%, 19/124), remnant thyroid tissue (5.6%, 7/124), parathyroid lesions (4%, 5/124), and abscesses (1.6%, 2/124). No major or minor complications were associated with the CNB procedure. Conclusion: US-guided CNB is accurate and safe for characterizing thyroidectomy bed lesions.

이소갑상선 19예의 신티그라피 소견 (Scintigraphic Findings of Nineteen Cases of Ectopic Thyroid)

  • 조인호;윤현대;원규장;이찬우;이형우;이현우;이재태;이규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83-190
    • /
    • 1993
  • 저자들은 이소갑상선이 의심되어 갑상선신티그라피로 확진된 1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갑상선 스캔과 갑상선 기능검사의 결과 및 임상증상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이소갑상선의 성별분포는 여자 16명, 남자3명으로 여자가 남자의 5.3배였고, 30세 이전인 경우가 97%였다. 2) 이소갑상선이 발견된 위치는 설근부 10예, 설하부1예, 전 후두부 5예 그리고 Combined form이 3예였다. 3) 갑상선기능검사를 시행한 16예에서 갑상선기능저하증이 7예, 준임상적 갑상선기능저하증이 4예 그리고 갑상선기능 정상이 5예였다. 4) 설갑상선의 경우는 갑상선기능저하증이 90%에서 나타났으나, 이보다 아래로 내려온 경우에는 33%로 갑상선 기능이상은 이소갑상선의 위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5) 갑상선의 주된 임상증상은 설근부의 인후이물감, 연하곤란이었고, 이보다 아래에 위치한 경우는 전경부의 종괴가 주된 임상증상이었다. 6) 갑상선기능저하증으로 진단된 7예와 준임상적 갑상선 기능저하증 4예중 3예에서는 갑상선호르몬을 투여하였고 갑상선 기능이 정상인 2예에서 이소갑상선 제거술이 시행되었으며 그 나머지는 추적관찰하였다. 7) 설근부나 전경부에 종괴가 있을 경우에는 반드시 갑상선스캔을 시행하여 이소갑상선의 가능성을 배제하여야 한다. 또한 이소갑상선의 기능이 정상인 환자에서도 갑상선기능저하증으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추적관찰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