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eding Habits

검색결과 253건 처리시간 0.023초

베도라치(Pholis nebulosa)의 식성 (Feeding habits of Pholis nebulosa)

  • 허성희;곽성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2-29
    • /
    • 1997
  •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광양만 대도주변 잘피밭에서 채집된 베도라치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베도라치는 잘피의 잎에 부착하여 서식하는 단각류(카프렐라류 및 옆새우류)를 주로 섭이하였으며, 그 외, 새우류, 등각류, 요각류, 갯지렁이류, 주걱벌레붙이류 등을 소량 섭이하였다. 베도라치는 성장함에 따라 섭이된 먹이생물의 조성 및 크기의 변동이 뚜렷하였다. 체장이 작은 크기군에서는 요각류를 주로 섭이하였으며, 체장이 증가하면서 단각류를 주로 섭이하였다. 대체적으로 계절에 관계없이 단각류인 옆새우류와 카프렐라류가 주로 섭이되었으나, 그들의 섭이 비율은 계절에 따라 변하였다. 가을에는 옆새우류가 휠씬 많이 섭이되었으며, 다른 계절에는 카프렐류가 더 많이 섭이되었다.

  • PDF

Feeding Habits of Caenogobius mororanus Inhabited at Intertidal Zone of the Western Coast of Korea

  • Kim, Jong-Yeon;Yoon, Jong-Man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15-316
    • /
    • 2001
  • To understand feeding habits of Cheaenogobius mororanus,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by analyzing stomach contents. C. mororanus were monthly collected from the intertidal zone of Dodun-ri, Sochon from May 1997 to April 1998. Fullness of stomach was increased twice a day, in the morning and afternoon. C. mororanus(1.0 ∼5.9 cm in standard length) was a carnivores consuming mainly decapods, amphipods and copepods. (omitted)

  • PDF

광주광역시 광산구 보육시설 유아의 식행동과 식품알레르기 발생 현황 (Dietary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and Food Allergy Prevalence of Preschool Childcare Facilities in Gwangsan-gu, Gwangju Metropolitan City)

  • 양은주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97-106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dietary behaviors and food allergy status of preschool children in Gwangsan-gu,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survey included 592 preschool children aged 1-5 years old in 31 childcare facilities. General characteristics, feeding type, complementary feeding, food allergy, dietary behaviors based on the NQ-P questionnaire, and dietary habits of their family were considered. Exclusively breast-fed children was 32.2% of the subjects and the breast feeding duration was 6.5 months. Subjects who had complementary feeding within 6 months was 77.2% and starting time of complementary feeding was 6.1 months. Fifteen percent of the subjects had food allergies and foods that induced allergy were instant foods, eggs, milk and dairy products, nuts, seafood. Food allergy was not related to breast feeding nor complementary feeding. The NQ-P score and its 3 factors including 'balance', 'moderation', and 'environment' were 59.9, 61.1, 56.0, 62.6, respectively.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 between children's dietary behaviors and family dietary habits such as breakfast eating frequency and meal regularity. As age of children increased, instant food intake increased and breakfast eating frequency decreased. Proper nutrition education is needed to children, their parents, and their care givers at childcare facilities to improve children's dietary behavior and health.

통영주변해역에 서식하는 문치가자미(Pleuronectes yokohamae)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he Marbled Flounder, Peluronectes yokohamae in the Coastal Waters off Tongyeong, Korea)

  • 허성회;남기문;박주면;정재묵;백근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77-83
    • /
    • 2012
  • 통영주변해역에서 2010년 1월부터 12월까지 문치가자미 395개체를 채집하여 위내용물을 분석하였다. 채집된 개체는 표준체장 10.5~38.8 cm의 체장범위를 나타내었다. 문치가자미는 저서성 육식어류로써 주로 이매패류, 단각류, 갯지렁이류를 섭식하였고, 그 외 약간의 유형동물류, 산호충류, 등각류, 요각류, 주걱벌레붙이류, 새우류, 게류, 거미불가사리류를 섭식하였다. 문치가자미는 generalized feeder의 섭식전략을 나타냈고, 체장이 커짐에 따른 주 먹이생물의 변화는 나타내지 않았으며, 먹이생물의 크기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날개망둑 (Favonigobius gymnauchen)의 식성 (Feeding habits of Favonigobius gymnauchen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 허성회;곽석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72-379
    • /
    • 1998
  •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광양만 대도주변 잘 피밭에서 채집된 날개망둑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날개망둑의 주요 먹이생물은 단각류 (특히 옆새우류), 갯지렁이류, 게류 및 요각류였으며, 그 외, 복족류, 이매패류, 주걱벌레붙이류, 등각류 등이 소량씩 위내용물 중에서 발견되었다. 날개망둑이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조성이 점차 변하였다. 체장이 작은 날개망둑은 옆새우류, 갯지렁이류 및 요각류를 비교적 고르게 먹었으나, 체장이 증가하면서 요각류를 먹는 비율은 점차 낮아진 반면, 갯지렁이류. 게류를 먹는 비율은 증가하였다. 한편 옆새우류는 조사된 모든 크기에 걸쳐 가장 선호된 먹이생물이었다. 계절에 관계없이 옆새우류, 갯지렁이류, 게류 및 요각류가 주요 먹이생물이였으나, 봄과 가을에는 요각류가 차지하는 비율이 다른 계절에 비해 높았으며, 여름에는 옆새우류, 갯지렁이류 및 게류가 차지하는 비율이 다른 계절에 비해 높았다.

  • PDF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볼낙(Sebastes inermi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Sebastes inermis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 허성회;곽석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68-175
    • /
    • 1998
  •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광양만 대도주변 잘피밭에서 채집된 볼낙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볼낙은 거의 대부분이 $1\~9\;cm$의 체장 범위였다. 볼낙은 잘피밭에서 주로 단각류(옆새우류와 카프렐라류)와 요각류를 먹었으며, 그 외 새우류, 게류, 복족류, 어류 등을 소량씩 먹었다. 볼낙은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조성이 변하였다 크게 3단계로 구분해 볼 수 있었는데, 작은 크기 (2cm SL 이하)에서는 요각류를 가장 많이 먹었다. 체장이 증가하면서 요각류가 차지하는 비율은 크게 낮아진 반면, 단각류가 차지하는 비율이 크게 증가하여 중간 크기 ($2\~9\;cm\;SL$)에서는 단각류가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이 되었다. 그러다가 일정 크기 (10 cm SL) 이상이 되면 잘피밭을 떠나 인근 바위 해안으로 이동하면서 단각류 대신 새우류나 어류로 먹이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대체적으로 계절에 관계없이 단각류를 지속적으로 가장 많이 먹었으며, $2\~3\;cm$ 소형 볼낙이 많이 유입된 봄에는 요각류를 비교적 많이 먹었다.

  • PDF

강원도 묵호 연안에서 출현하는 대구횟대(Gymnocanthus herzensteini)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he Black-edged Sculpin Gymnocanthus herzensteini in the Coastal Waters off Mukho, Gangwondo of Korea)

  • 양재형;윤상철;박정호;윤병선;최영민;이재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68-175
    • /
    • 2013
  • The feeding habits of the black-edged sculpin Gymnocanthus herzensteini were studied using 944 specimens collected from February 2011 to January 2012 in the coastal waters off Mukho, Gangwondo, Korea. The G. herzensteini ranged from 11.8 to 36.3 cm in total length (TL). The percentage of empty stomachs in G. herzensteini was 40.2%, and the main prey items were Pisces, Euphausiasea, and Macrura. The smallest size group (11.8-15.0 cm TL) consumed mainly Polychaeta and Amphipoda. The quantity of prey increased in proportion to sculpin size. The composition of prey items and feeding habits of G. herzensteini exhibited seasonal fluctuations, that is, the main prey items during spring were Euphausiasea, whereas those during other seasons were Pisces.

한국 동해에서 채집된 도루묵(Arctoscopus japonic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he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in the East Sea, Korea)

  • 이해원;강용주;허성회;백근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4-50
    • /
    • 2007
  • 도루묵의 식성을 조사하기 위해 강원도 삼척 연안해역에서 기선저인망을 이용하여 2003년 4월부터 2004년 3월까지 매월 채집된 2,115개체의 도루묵 위내용물을 분석하였다. 도루묵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단각류(Amphipoda)였으며, 다음으로 곤쟁이류(Mysidacea), 두족류(Cephalopoda), 어류(Pisces)가 중요한 먹이생물이었다. 그 밖에 난바다곤쟁이류(Euphausiacea), 난(Eggs), 이매패류(Bivalvia), 선형동물(Nematoda), 해초류(Seagrass) 등도 도루묵의 위내용물 중에서 발견되었으나, 그 양이 매우 적었다. 도루묵은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 조성의 변화를 보였는데, 가장 작은 크기군인 체장 9~10 cm 크기군에서는 곤쟁이류와 단각류가 중요한 먹이생물이었다. 도루묵의 크기가 더욱 증가함에 따라 체장 16~23 cm 크기군에서는 단각류의 점유율은 더욱 증가하였으며, 두족류와 어류의 점유율이 증가하였다.

서해연안 조간대에 서식하는 비늘흰발망둑, Acanthogobius lurid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Acanthogobius luridus Inhabiting the Intertidal Zone of the Western Coast of Korea)

  • 김종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09-316
    • /
    • 2000
  • 조간대에서 서식하는 비늘흰발망둑의 섭식 생태를 파악하여 연안 생물 군집의 먹이 사슬에 관한 기초 지식을 얻고자, 1996년 7월부터 1997년 6월까지 충남 서천군 서면 도둔리에서 매월 1회씩 비늘흰발망둑을 채집하여 위 내용물 분석을 통해 섭식 생태를 조사하였다. 위 만복도는 하루 중 오전과 오후에 각각 한 차례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비늘흰발망둑(1.2~5.9cm SL)의 주요 먹이생물은 십각류(유영류 유생, 젓새우, 보리새우 및 보행류 유생), 단각류(카프렐라류, 옆새우류 및 하이페리아류), 요각류(Acartia sp., Calanus sinicus, Corycaeus affinis 및 Microsetella sp.) 등으로 식성이 육식성이었다. 그 외 등각류, 만각류 유생, 다모류 유생 및 구각류 등이 소량씩 위 내용물 중에서 발견되었다. 비늘흰발망둑이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조성비가 점차 변하였다. 체장이 작은 비늘흰발망둑은 요각류, 십각류 및 단각류 순으로 먹었으나, 체장이 증가하면서 요각류의 비율은 점차 낮아진 반면, 십각류와 단각류가 위 내용물 중 차지하는 비율은 점차 증가하였다.

  • PDF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줄망둑(Acentrogobius pflaumii)의 식성 (Feeding Habits of Acentrogobius pflaumii in the Eelgrass(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 허성회;곽석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4-31
    • /
    • 1998
  •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광양만 대도주변 잘피밭에서 채집된 줄망둑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줄망둑의 주요 먹이생물은 단각류(특히 옆새우류), 갯지렁이류 및 복족류였으며, 그 외 요각류, 주걱벌레붙이류, 게류, 이매패류 등이 소량씩 위내용물 중 발견되었다. 줄망둑이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조성이 점차 변하였다. 체장이 작은(1~2cm SL) 줄망둑은 옆새우류를 주로 먹었으나, 처장이 증가하면서 옆새우류가 위내용물 중 차지하는 비율은 점차 낮아진 반면, 갯지렁이류 및 복족류가 차지하는 비율은 증가하였다. 계절에 따라 먹이생물 조성이 다소 변했는데, 여름에는 옆새우류와 갯지렁이류가, 그리고 겨울에는 복족류가 차지하는 비율이 다른 계절에 비해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