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ed Type

검색결과 888건 처리시간 0.031초

가스화 조건에서 탄종에 따른 석탄 슬래그 점도 거동 (Viscosity of Coal Slags under Gasification Conditions)

  • 문인식;조철범;오명숙
    • 에너지공학
    • /
    • 제11권2호
    • /
    • pp.149-159
    • /
    • 2002
  • 분류층 가스화기에서 슬래그의 점도 변화는 가스화기 운전조건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가스화 대상탄으로 선정된 9개 탄의 슬래그 점도를 가스화 조건에서 측정하였고 점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슬래그내의 결정체의 크기와 종류를 관찰하였다. 시료는 고둥기술원 건식 가스화기에서 배출된 슬래그 시료를 사용하였다. 9개탄 중 Alaska Usibelli, Curragh, Drayton, Adaro, Baiduri탄 슬래그는 결정슬래그의 경향을 보여주었고, Datong탄과 Cypurus탄 슬래그는 유리슬래그이였다. 결정슬래그외 경우 $T_{cv}$ +$50^{\circ}C$를, 유리슬래그의 경우 $T_{1000}$poise/+$50^{\circ}C$를 가스화기의 최저운전온도로 정의하였을 때 Denisovsky 탄이 가장 높은 온도를, Drayton탄이 가장 낮은 온도를 필요로 하였다. 모든 슬래그가 가스화기 내화물성분인 C $r_2$ $O_3$를 포함하고 있었고, 132$0^{\circ}C$ 주위에서 $T_{cv}$ 를 갖는 결정슬래그의 경우(Alaska Usibeli, Curragh, Adaro탄) 냉각중에 형성됨을 나타내는 커다란 anorthite이 주 결정상으로 나타나 anorthite의 형성이 점도의 급격한 상승의 원인이 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포를 갖고 있는 Denisovsky탄의 경우 기포가 산화철의 환원에 의해 형성됨을 추정할 수 있었다..

살깃자갈거미(Nurscia albofasciata) 방적장치의 미세구조 (Fine Structure of the Silk Spinning Apparatus in the Spider Nurscia albofasciata)

  • 박은아;문명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2호
    • /
    • pp.157-165
    • /
    • 2009
  • 체판이 있는 자갈거미과 (Titanoecidae)의 거미를 실험재료로 체판류가 지닌 방적장치와 토사관의 미세구조적 특성을 고배율의 주사전자현미경(FESEM)으로 관찰하였다. 살깃자갈거미(Nurscia albofasciata)의 실크 방적장치는 복부의 방적돌기 위쪽에 있는 체판과 3쌍의 방적돌기로 이루어져 있었다. 체판은 정중면을 중심으로 분리된 두 개의 타원형 구조로, 표면에는 유연한 구조를 지닌 큐티클성 토사관들이 조밀하게 분포되어 있었고, 체판에서 생성된 수백가닥의 미세한 북슬털은 피식자의 보행을 방해하는 포획사의 기능을 수행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방적돌기에서는 병상선, 이상선, 포도상선 등 3종류의 실크 분비선이 모든 성별에서 관찰되었는데, 병상선은 전 및 후방적돌기를 통해 연결되어 있었고, 이상선은 전방적돌기를 통해, 그리고 포도상선은 중 및 후방적돌기의 표면을 통해 토사관이 형성되어 있었으며, 성별에 따른 토사관의 다형현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특징적으로 이 종류의 거미에서는 두 종류의 포도상선이 관찰되었는데, 이 중에서 B형 포도상선은 후방적돌기에서만 관찰되었고, 체판의 토사관과 유사한 미세구조적 특성을 지니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CHANGING THE ANIMAL WORLD WITH NIR : SMALL STEPS OR GIANT LEAPS\ulcorner

  • Flinn, Peter C.
    • 한국근적외분광분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근적외분광분석학회 2001년도 NIR-2001
    • /
    • pp.1062-1062
    • /
    • 2001
  • The concept of “precision agriculture” or “site-specific farming” is usually confined to the fields of soil science, crop science and agronomy. However, because plants grow in soil, animals eat plants, and humans eat animal products, it could be argued (perhaps with some poetic licence) that the fields of feed quality, animal nutrition and animal production should also be considered in this context. NIR spectroscopy has proved over the last 20 years that it can provide a firm foundation for quality measurement across all of these fields, and with the continuing developments in instrumentation, computer capacity and software, is now a major cog in the wheel of precision agriculture. There have been a few giant leaps and a lot of small steps in the impact of NIR on the animal world. These have not been confined to the amazing advances in hardware and software, although would not have occurred without them. Rapid testing of forages, grains and mixed feeds by NIR for nutritional value to livestock is now commonplace in commercial laboratories world-wide. This would never have been possible without the pioneering work done by the USDA NIR Forage Research Network in the 1980's, following the landmark paper of Norris et al. in 1976. The advent of calibration transfer between instruments, algorithms which utilize huge databases for calibration and prediction, and the ability to directly scan whole grains and fresh forages can also be considered as major steps, if not leaps. More adventurous NIR applications have emerged in animal nutrition, with emphasis on estimating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feeds, such as in vivo digestibility, voluntary intake, protein degradability and in vitro assays to simulate starch digestion. The potential to monitor the diets of grazing animals by using faecal NIR spectra is also now being realized. NIR measurements on animal carcasses and even live animals have also been attempted, with varying degrees of success, The use of discriminant analysis in these fields is proving a useful tool. The latest giant leap is likely to be the advent of relatively low-cost, portable and ultra-fast diode array NIR instruments, which can be used “on-site” and also be fitted to forage or grain harvesters. The fodder and livestock industries are no longer satisfied with what we once thought was revolutionary: a 2-3 day laboratory turnaround for fred quality testing. This means that the instrument needs to be taken to the samples rather than vice versa. Considerable research is underway in this area, but the challenge of calibration transfer and maintenance of instrument networks of this type remains. The animal world is currently facing its biggest challenges ever; animal welfare, alleged effects of animal products on human health, environmental and economic issues are difficult enough, but the current calamities of BSE and foot and mouth disease are “the last straw” NIR will not of course solve all these problems, but is already proving useful in some of these areas and will continue to do so.

  • PDF

생육시기 및 품종이 총체 벼의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owth Stage and Variety on the Yield and Quality of Whole Crop Rice)

  • 김종근;정의수;함준상;서성;김맹중;윤세형;임영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8
    • /
    • 2007
  • 본 시험은 사료용 총체 벼의 수확시기 및 품종이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축산연구소에서 수행되었다. 식용벼인 추청벼와 총체벼 전용품종인 하마사리를 이용하여 생육시기별로 6회(출수, 개화, 유숙, 호숙, 황숙 및 완숙기)에 걸쳐 수확하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수확이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TDN 함량은 증가되었다. ADF 함량으로 추정된($TDN=88.9-(0.79{\times}ADF)$) 평균 TDN 함량은 60% 내외로 나타났다. ADF 및 NDF 함량은 수확이 지연됨에 따라 감소되었다. 건물수량은 황숙기에 가장 높았으며(p<0.05) 추청벼가 하마사리 보다 약간 높았지만 유의적이 차이는 없었다. TDN 수량도 건물수량과 같은 경향을 보였으나 매 수확시기별 품종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5).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총체 벼의 수확적기는 호숙기${\sim}$황숙기로 추천되었다.

Effect of Lipid Sources with Different Fatty Acid Profiles on Intake, Nutrient Digestion and Ruminal Fermentation of Feedlot Nellore Steers

  • Fiorentini, Giovani;Carvalho, Isabela P.C.;Messana, Juliana D.;Canesin, Roberta C.;Castagnino, Pablo S.;Lage, Josiane F.;Arcuri, Pedro B.;Berchielli, Telma 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11호
    • /
    • pp.1583-1591
    • /
    • 2015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lipid sources with different fatty acid profiles on nutrient digestion and ruminal fermentation. Ten rumen and duodenal fistulated Nellore steers (268 body weight${\pm}27kg$) were distributed in a duplicated $5{\times}5$ Latin square. Dietary treatments were as follows: without fat (WF), palm oil (PO), linseed oil (LO), protected fat (PF; Lactoplus), and whole soybeans (WS). The roughage feed was corn silage (600 g/kg on a dry matter [DM] basis) plus concentrate (400 g/kg on a DM basis). The higher intake of DM and organic matter (OM) (p<0.001) was found in animals on the diet with PF and WF (around 4.38 and 4.20 kg/d, respectively). Treatments with PO and LO decreased by around 10% the total digestibility of DM and OM (p<0.05). The addition of LO decreased by around 22.3% the neutral detergent fiber digestibility (p = 0.047) compared with other diets. The higher microbial protein synthesis was found in animals on the diet with LO and WS (33 g N/kg OM apparently digested in the rumen; p = 0.040). The highest C18:0 and linolenic acid intakes occurred in animals fed LO (p<0.001), and the highest intake of oleic (p = 0.002) and C16 acids (p = 0.022) occurred with the diets with LO and PF. Diet with PF decreased biohydrogenation extent (p = 0.05) of C18:1 n9,c, C18:2 n6,c, and total unsaturated fatty acids (UFA; around 20%, 7%, and 13%, respectively). The diet with PF and WF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NH_3-N$ (p<0.001); however, the diet did not change volatile fatty acids (p>0.05), such as the molar percentage of acetate, propionate, butyrate and the acetate:propionate ratio. Treatments PO, LO and with WS decreased by around 50% the concentration of protozoa (p<0.001). Diets with some type of protection (PF and WS) decreased the effects of lipid on ruminal fermentation and presented similar outflow of benefit UFA as LO.

해수담수화 역삼투막 공정의 무기질오염에 대한 스케일 억제제 효과 연구 (Effects of Antiscalant on Inorganic Fouling in Seawater Reverse Osmosis Membrane Processes)

  • 강남욱;이석헌;권지향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677-685
    • /
    • 2011
  • 역삼투막 공정의 무기질 스케일은 주로 산을 주입하거나 혹은 스케일억제제를 사용하여 제어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여러 가지 고분자 형태의 스케일 억제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른 성상의 스케일 억제제 세 개를 선택하여 $CaCO_3$ 무기질 오염에 대한 제어효과를 분석하였다. 농축계수가 1.43, 2.5 및 5일 때 Spectra Guard를 사용하여 회수율, 즉 농축계수에 따른 제어능을 비교하였고 농축계수가 2.5일 때 SHMP, Spectra Guard, Flocon 150 N을 사용하여 억제제별 제어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농축계수별 제어능 실험은 농축계수가 증가할수록 더 많은 양의 스케일 억제제를 필요로 하였으며, 필요량은 농축계수 5의 범위까지 거의 선형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임계값보다 적은 양의 스케일 억제제를 주입했을 경우 일정한 시간 경과 후에 스케일이 형성 되는 경향을 보였다. 실험한 세 종류의 스케일 억제제는 모두 스케일 억제 효과를 보였으나, 억제제별로 스케일 제어에 필요한 시간과 적정 주입량 등에 차이를 보였다. Spectra Guard는 주입농도가 0.6 mg/L 이상이면 바로 스케일 제어효과를 나타내었다. SHMP은 적정 농도는 0.4 mg/L로 작았으나 스케일 제어효과가 나타내는 데까지 약 30시간 이상이 걸렸다. Flocon 150 N은 3 mg/L 이상의 주입농도와 30시간 이상의 운전시간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적정 농도 및 제어 반응시간의 차이는 억제제 성분에 따른 억제 기작의 차이로 보이며, $CaCO_3$ 스케일 억제제로 polyacrylate 계의 Spectra Guard가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순환여과식 양식 시스템의 개시 운전 (Start-up Operation of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 서근학;김병진;조재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1-26
    • /
    • 2002
  • Package 형태로 설계하고 제작된 pilot scale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에 틸라피아를 $2\%$의 사육밀도로 수용하여 사육조의 각종 수질인자의 변화를 측정하고 회전원판 반응기, floating bead filter, 포말분리기 등의 순환수 처리효율을 검토하여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의 개시운전시 발생하는 현상을 고찰하고 순환수 처리장치의 안정화에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평균 어체중 392.8g의 나일 틸라피아 173마리를 수용하여 일간 보충수를 사육조 용적의 $10\%$를 사용하여 14일간 어류사육을 실시하여 생물학적 순환수 처리장치인 회전 원판 반응기의 효율 변화를 검토하였다. 암모니아성 질소는 사료 투입 직후부터 증가하여 7일 후 부터는 $0.3gm^3$ 정도의 농도를 보였다. 사료 투입 후 3일이 경과하면서부터 아질산성 질소, 7일 이후부터 질산성 질소가 증가하였으며 12일이 경과하면서 시스템의 아질산성 질소의 농도가 감소하여 회전원판 반응기가 숙성되었다 총 무기질소는 사료 투입 후 10일이 경과하면서 $30g/m^3$ 정도의 일정한 농도를 유지하였다. 사육조 내의 용존 산소농도는 $4{\~}5g/m^3$의 안정된 농도를 유지하였으며 pH와 총알칼리도는 질산화 반응기의 숙성에 따라 어류생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감소하였다 총 부유 고형물과 화학적 산소 요구량은 보충수와 거의 동일한 수질을 유지할 수 있었다. 회전원판 반응기는 암모니아 제거와 동시에 용존산소 폭기 효율도 나타내었고 floating bead filter는 고형물 제거뿐 아니라 질산화에도 뛰어난 효율을 보였으며 회전 원판 반응기는 사료 투입 후 2일, floating bead filter는 4일째부터 암모니아 제거가 시작되었다.

순환여과식 양식 시스템에서 나일 틸라피아(Oreochromis niloticus)의 사육 (Culture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in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 서근학;김병진;조재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7-34
    • /
    • 2002
  • Package 형태로 설계하고 제작된 pilot scale 순환 여과식 양식 시스템의 실제 어류 사육 성능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틸라피아를 설계 기준인 $5\%$ (A, B)의 사육 밀도에서 30일간 사육하였고 $7\%$ (C)의 과잉 사육밀도에서 33일간 사육하여 어류 성장과 사육조의 각종 수질을 측정하고 시스템의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초기 사육 밀도 $5\%$인 실험 A와 B, $7\%$의 사육밀도인 실험 C에서 각각 1.62, 1.79, 1.80의 사료계수와 $0.452\%$, $0.445\%$, $0.423\%$의 일간 성장률을 보였다. 총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는 설계 기준 사육밀도인 $5\%$로 수용한 실험 A와 B의 경우, $1g/m^3$ 이하로 유지하여 어류 사육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7\%$로 수용한 실험 C에서는 $2{\~}4g/m^{3}$의 농도를 나타내어 최대 $40\%$ 정도는 초과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칼리도의 부족은 질산화 반응을 저해하여 높은 암모니아 및 아질산성 질소의 농도를 유발하였으며 질산화 반응기의 숙성이 완전하지 않을 경우 아질산의 농도가 암모니아 농도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질산화 반응기의 완전한 숙성은 70일 정도 소요되었다. 시스템 내부에서 자연적인 탈질반응이 일부 발생하였고 이와 더불어 보충수의 공급에 따른 희석효과로 설계 사육 밀도보다 높은 $7\%$의 사육 밀도에서도 $60g/m^3$ 이하의 질산성 질소 농도를 유지할 수 있어 별도의 탈질 장치는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처리 장치를 통과하지 않고 사육조 수면으로 공급되는 우회량이 많을 경우 용존산소는 증가하였으나 수처리 장치로 공급되는 유량이 작아 부유 고형물, 유기물 등의 수질 인자가 악화되는 현상을 보였다.

의료용 선형가속기의 소조사면에 대한 검출기 종류에 따른 평가 (Evaluation of the Small Field of for the Detector Type Medical Linear Accelerator)

  • 이동운;정강교;신귀순;조평곤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9권2호
    • /
    • pp.177-184
    • /
    • 2016
  • 최근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방사선치료는 세기조절방사선치료, 정위적방사선치료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사선 치료기법은 일반적으로 역방향치료계획을 사용함으로써 소조사면을 제외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소조사면의 선량특성에 관한 정확한 측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유효체적이 서로 다른 검출기를 이용하여 소조사면에 대한 깊이선량백분율, 빔측면도, 그리고 선량출력계수를 측정하여 각 검출기의 선량특성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X-선 6 MV에너지에 대한 빔선질($PDD_{20}/PDD_{10}$)은 $10{\times}10cm^2$에서 Diode 검출기는 Pinpoint 검출기에 비해 2.4%로 높았다. 모든 조사면에서 유효체적이 작은 Diode 검출기가 다른 검출기들과 50%이상 작은 반음영을 보여 공간분해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출력선량계수는 조사면 $2{\times}2cm^2$에서 Semiflex 검출기 다른 검출기에 비해 2%정도 적게 측정되기 시작해서 조사면 $1{\times}1cm^2$에서는 20%정도 차이를 보이며 유효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면 $1{\times}1cm^2$에서 Diode 검출기와 Pinpoint 검출기의 측정값은 13%정도 차이를 보였다. 조사면 $3{\times}3cm^2$이하에서는 검출기의 유효체적에 따른 출력선량계수의 차이가 크므로 가능한 유효체적이 작은 검출기를 사용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볏짚과 고마리(Persicaria Thunbergii Gross var. Coreana Gross ex Nakai)의 혼합Silage 제조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ilage from Rice Straw and Persicaria Thunbergii)

  • 김용국
    • 농업과학연구
    • /
    • 제5권2호
    • /
    • pp.115-119
    • /
    • 1978
  • 볏짚의 사료가치(飼料價値)를 증진(增進)하고 아울러 고마리의 사료가치(飼料價値)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볏짚과 고마리의 혼합비율(混合比率)을 각각(各各) 10 : 90($T_1$), 20 : 80($T_2$), 30 : 70($T_3$), 및 40 : 60($T_4$)로 처리(處理)하여 혼합(混合)Silage를 제조(製造)한 후(後) 이들 재료(材料)와 Silage의 조성분석(組成分析)하고 Silage의 품질(品質)을 판정(判定)하여 그 결과(結果)를 아래와 같이 요약(要約)하였다. 1. 통일계(統一系)(노풍)볏짚의 조성분중(粗成分中) 조단질(粗蛋質)과 가용무질소물(可溶無窒素物)이 고형물비(固形物比)로 각각(各各) 8.18% 및 44.66%로 일반(一般)볏짚보다 사료가치(飼料價値)가 양호(良好)해 보였고 고마리도 고형물(固形物) 기준(基準)으로 조단백질(粗蛋白質)이 14.47%로 일반적(一般的)으로 화본과목(禾本科牧草)보다 높았고 가용무질소물(可溶無窒素物)은 51.13%로 대략 화본과(禾本科)나 두과목초(豆科牧草)보다 높아 보였다. 2. Silage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은 $T_2$가 72.12%, $T_3$가 66.43%로 비교적 수분함량(水分含量)이 적당(適當)했고 모든 처리구(處理區)가 타(他) Silage에 비(比)하여 조단백질량(粗蛋白質量)이 높아 보였다. 3. Silage의 pH는 $T_1$이 pH 3.8로 가장 양호(良好)하였고 $T_4$가 pH 4.5로 가장 높았으며 유기산함량(有機酸含量)은 $T_1$이 가장 적었고 $T_4$가 가장 많았으나 총산(總酸)에 대(對)한 유산비율(乳酸比率)은 $T_1$쪽이 높고 $T_4$가 떨어졌다. 4. 볏짚과 고마리의 혼합(混合)으로 양질(良質)의 Silage를 제조(製造)할 수 있었으며 볏짚과 고마리의 혼합비율(混合比率)은 20 : 80~30 : 70 범위가 적당(適當)했으며, 앞으로 혼합(混合) Silage의 이용가치(利用價値)가 기대(期待)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