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tty acid improved variety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1초

유자의 종류별 생리화학적인 특성과 향기성분, 총 페놀 함량 분석 (Biochemical Properties, Volatile Compounds and Total Phenol Contents of Yuza Variety)

  • 황성희;김민정;김강성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85-692
    • /
    • 2013
  • 재래유자, 개량종 I(유자+탱자), 개량종 II(유자+유자) 세가지 유자의 종류별, 부위별 이화학적인 특성과 유기산, 지방산 및 향기성분을 분석하였고, 총 페놀 화합물을 분석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중량은 재래종이, 껍질(혹은 껍질+씨)의 비율은 개량종이 높았다. 단백질은 재래종보다 개량종I의 껍질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고, 회분도 개량종의 껍질에서 다소 높았다. Vit. C는 과즙의 경우 재래종에서 29.6mg%로 껍질에서는 개량종 I이 57.7mg%로 다소 높았다. 유리당은 과당이 주였는데, 개량종 I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유기산은 구연산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는데, 개량종 II에서 가장 유기산 함량이 높았다. 유자의 지방산 조성은 리놀레인산이 가장 많았고, 과피와 과즙에서 품종별 특징을 보이고 있었다. 향기성분은 dl-Limonene이 향기성분의 64~70%를 차지하는 물질로, gamma-terpinene과 함께 개량종 II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유자에 함유된 총 페놀 함량은 품종별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과즙에 비해 과피에 2.5배 정도 많은 양이 들어 있었다.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서 12 주간의 심층 영양관리에 따른 식사의 질과 혈중 지방산조성 및 면역지표에 관한연구 (Effects of Medical Nutrition Therapy on Dietary Quality, Plasma Fatty Acid Composition and Immune Parameters in Atopic Dermatitis Patients)

  • 김방실;김윤영;박진희;김낙인;조여원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80-90
    • /
    • 2008
  • Atopic dennatitis (AD) is one of the major public health problem.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prevalence of AD in children and adults are 10-20% and 1-3%, respectively. Westernization of food habits, urbaniza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are contributing factors toward the recent rise in prevalence. Excessive dietary restriction leads to chronic malnutrition in atopic dermatitis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edical nutrition therapy (MNT) on quality of diet and blood immune parameters in atopic dermatitis patients. The 19 atopic dermatitis patients (7 men and 12 women) admitted to K University Medical Center were studied. During the 12 weeks of intervention, the subjects were given MNT by a dietitian for 30-45 minutes every other week. MNT was comprised with general dietary therapy, intake of balanced meals, emphasis on n-3 fatty acid contents in foods, and food allergies. Anthropometric and dietary assessment and blood analysis were taken at baseline and after 12 weeks of MNT. After 12 weeks of MNT, the subjects' dietary qualities, including dietary diversity score (DDS), meal balance score (MBS) and dietary variety score (DV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 < 0.05). According to significantly increased intake of EPA and DHA, dietary n-6/n-3 fatty acid ratio decreased to the recommended level for the atopic dermatitis patients (p < 0.05). These changes of dietary fatty acid consumption were reflected erythrocyte fatty acid composition. After 12 weeks of MNT, serum levels of IgE and IL-4 leve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however, the levers of INF-$\{gamma}$, WBC, lymphocyte and TLC were not changed. As a conclusion, the individualized MNT improved the quality of diet in atopic dermatitis patients thereby influenced RBC fatty acid composition and IgE and IL-4 levels.

유채 지방산조성 개량육종에 관한 연구 제21보 지방산조성 개량품종 보급지역에서의 유질과 금후대책 (Breeding for Improvement of Fatty Acid Composition in Rapeseed XXI. Oil Quality of Fatty Acid Improved Varieties in Cheju Area and Future Production Strategy)

  • 이정일;정동희;류수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65-170
    • /
    • 1994
  • 유채 지방산조성개량 및 무독박 성분개량육종의 성과로 13년전부터 무에루진산 양질품종을 장여보급한 제주도산 유채가 에루진산 함량이 높아 식용유로의 이용이 어렵게 됨에 따라 '92년산 정부수매유채종자와 '93년산 유채의 포장등숙중 시료의 에루진산 함량을 분석, 그 원인을 추적확인함과 동시에 금후의 유채 연구방향을 재정립하고자 이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1. 제주도 '92년산 정부수매유채는 에루진산 평균 함량에서 전체평균 47.7% 함유되어 있어 유채 유의 국제품질규격의 에루진산 함량 3∼5% 보다 10배나 높으므로 식용유로는 부적한 것으로 판단되었음. 2. 제주도 '93년산 유채의 농가포장 등숙중 시료를 채취, 분석한 결과 포장에 따라 에루진산이 최저 25%로부터 48.5%까지 평균 37% 함유하고 있어 제주도의 농가포장에서는 무에루진산 장여품종이 재배되지 않음이 확인되었음. 3. 제주도에는 중국산 유채와 캐나다산 제유용 유채종실원료가 도입되어 있는바 중국산은 46.6%의 고함유 에루진산 원료였고 캐나다산은 50%인 것과 4% 에루진산을 함유한 원료가 도입되어 있었음. 4. '92 정부수매유채가 '93 포장농가유채보다 에루진산 함량이 훨씬 높고 고함량 에루진산의 외국산유채 도입이 되고 있는 점으로 미루어 값싼 외국산 고에루진산 도입유채가 농가수매유채에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있음. 5. 제주도산 유채는 품질로나 경영적인 면에서 경쟁력을 갖출 가능성이 없고 무에루진산 성분개량 품종의 수용에 무관심하므로 현재의 제주도 대상 유채육종은 중단하고 남부지역의 구조개선 2모작답을 대상으로 한 대형기계화 유채재배 적응품종육성으로 방향을 전환함이 바람직하다.tters of western interests, but "health".gs. Notable economic benefit has been achieved.d. 평가를 하고자 하며 기계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간의 상호 관련성에 대하여 연구를 계속하고자 한다.았다. 6. 강남콩 전체가루 (13%, db)의 아밀로그래프에 의한 호화는 시료 모두 최고 점도를 보이지 않았고 가열중 점도는 계속 증가하였으며 시료 A가 가장 높은 점도를 보였고 시료 B와 C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첨가하여 제조한 마요네즈는 색을 제외하고는 모든 항목에서 표준 마요네즈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난황을 전혀 첨가하지 않고 5%의 Bovine Plasma만으로 제조한 마요네즈는 표준 마요네즈와 비교했을 때 다소 강한 기름냄새와 기름맛, 난황이 첨가되지 않아 색에 대한 기호도의 저하 등 관능적인 면에서 전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sim}30$명 편성, 현장 학습으로 수업 진행, 수업 시 이론과 실습의 3:1 비율 운영, 절대 평가에 의한 합격여부 판정 등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따라서 사회의 변화를 반영하고 교사의 현장 요구를 적극 수용한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연수자의 일반적 특성 변인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수 기관이 유의미한 변수로 작용하였다. 즉, 어느 연수 기관에서 연수를 받았느냐에 따라 연수에 대한 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났다(p<.05). 즉 교과교육을 가장 많이 개설하고 운영하였던 기관에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현직 교사들의 요구가 많았던 교과교육에 대한 교과 개설이 확대된 표준화된 자격연수 프로그램 개발되어야

  • PDF

Functional Chemical Components in Protaetia brevitarsis Larvae: Impact of Supplementary Feeds

  • Yoon, Chul-Ho;Jeon, Seung-Ho;Ha, Yeon Jo;Kim, Sam Woong;Bang, Woo Young;Bang, Kyu Ho;Gal, Sang Wan;Kim, Il-Suk;Cho, Young-So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461-473
    • /
    • 2020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various supplementary feed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production of bioactive substances in Protaetia brevitarsis larvae. The primary feed-oak-fermented sawdust-was supplemented with a variety of substances, including aloe, apple, banana, sweet persimmon (S. persimmon) and sweet pumpkin (S. pumpkin). Crude protein and fat content were the highest in the control and S. pumpkin group, respectively. Supplementary feeds increased the content of unsaturated fatty acids, except in the group receiving S. pumpkin, in which oleic acid was the most abundant (58.2%-64.5%). Free essential amino acids in larvae receiving supplementary aloe were higher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except for Lys and His.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nd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ABTS and DPPH were higher in all treated group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lthough supplementary feeds led to a decreased crude protein content in the treated larvae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se treatments generally improved the levels of unsaturated fatty acids and antioxidative activity. Therefore, we suggest that among the supplementary foods tested, aloe is a better resource for P. brevitarsis based on crude protein content, free amino acids and other bioactive compounds such as unsaturated fatty acids and antioxidants.

벼에서 Benzyladenine과 Diphenylurea의 엽면살포가 잎의 노화, 수량 및 미질관련형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liar-Sprayed Benzyladenine and Diphenylurea on Leaf Senescence, Grain Yield and Some Characters Related to Grain Quality of Rice)

  • 이변우;명을재;남택수;이정양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23-330
    • /
    • 1994
  • 노화억제제인 사이토카이닌의 엽면살포가 벼의 등숙기간중 잎의 노화, 수량 및 미질관련 주요 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합성 사이토카이닌인 BA와 DPU 10ppm을 동진벼의 출수기, 출수후 10일, 21일에 1회 처리 또는 출수후 2회 및 3회 처리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BA와 DPU를 출수기, 출수후 10일 및 21일에 1회 처리한 경우는 잎의 노화억제효과가 낮거나 없었으며, 출수후 10일간격으로 2회 또는 3회 연속처리의 경우는 잎의 노화억제 효과가 현저하였다. 잎의 노화억제 효과는 DPU보다 BA가 켰다. 2. BA와 DPU 모두 처리시기 및 처리횟수에 관계없이 등숙율, 천립중 및 수량의 향상 효과는 없었다. 3. BA처리에 의하여 청치와 복백미의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사미와 심백미의 비율은 차이가 없었다. 4. 백미의 아밀로스함량은 BA와 DPU처리에 의하여 변하지 않았으나 단백질함량은 BA처리에 의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5. 백미중의 지방함량은 1회처리에 의하여는 무처리와 차이가 없었으나 출수후 10일 간격으로 2회 및 3회 처리한 경우는 무처리에 비하여 30∼78%높아졌다. 한편 BA와 DPU처리에 의하여 불포화지방산 조성비가 다소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 PDF

즉석건조쌀밥의 건조후 밥알분리 및 품질에 미치는 에멀젼처리 효과 (Effect of Emulsion Treatment on the Separation of Quick-Cooking Rice Kernel and the Quality of Reconstituted Rice)

  • 이태헌;박정희;김동민;임종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93-598
    • /
    • 1991
  • 자포니카계통의 쌀을 원료로 즉석건조쌀밥을 제조할 때, 에멀젼의 처리가 즉석건조쌀밥의 건조 후 밥알분리 및 복원된 밥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에멀젼의 처리단계는 건조전 취반미를 에멀젼에 침지하는 것이 효과적이었으며, 침지조건은 $30^{\circ}C$, 3분이 우수하였다. 에멀젼으로는 5%의 대두유와 0.5%의 자당 지방산에스테르(HLB : 9.5)를 사용하였을 때 가장 효율적인 분리율을 나타냈다. 이상의 조건으로 에멀젼을 제조, 처리하였을 경우 건조 후 밥알분리도는 무처리군에 비해 30% 정도 향상되었고, 품질은 무처리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