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ntasy film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17초

한국 디지털 판타지 영화 연구 -계보, 표본, 그리고 사회적 의미 (Studies on Korean Digital Fantasy Film -Genealogy, Case, and Social Meaning)

  • 김청강
    • 대중서사연구
    • /
    • 제26권1호
    • /
    • pp.41-76
    • /
    • 2020
  • 최근 10년간 영화 산업은 넷플릭스나 아마존 프라임, IPTV, 카카오 페이지 등과 같은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 서비스에 의하여 급속한 변화를 겪고 있다. 상영관을 통한 1차 소비의 속도도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이 매우 빨라졌으며, 영화의 2차 소비, 즉, IPTV나 테블렛, PC, 모바일 폰으로 영화를 보는 행위를 통해 영화의 손익 분기점이 뒤엎이는 경우도 생겨나고 있다. 이러한 미디어 문화 지형도의 급격한 변화 가운데, 한국 영화 산업에서 가장 눈에 띠는 변화는 단연 판타스틱 장르 영화의 성장이다. 이 논문은 최근의 판타지 영화의 급속한 성장을 주목하면서 무엇이 현재의 '판타지 영화'를 만드는 조건을 형성하는지, 그 형식적 특성과 내용적 특성을 동시에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다음 세 가지 지점을 탐구할 것이다. 첫째는 판타지 영화가 사회, 문화, 경제적 현실과 맺고 있는 관계를 계보적으로 살펴보면서, 판타지 영화와 현실의 관계 속에서 판타지 장르를 이해할 것이다. 이는 판타지 영화 혹은 리얼리즘 영화라는 장르 구분이 가로막을 수 있는 해석의 난점을 넘어서기 위함이다. 다음으로는 최근에 개봉하여 가장 큰 성공을 거둔 판타지 영화 <신과 함께> 1, 2편의 형식적 특성을 분석하며, 현재 한국에서 기획되고 생산되는 디지털 판타지 영화가 만들어낸 영화의 새로운 영화적 재현의 형태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판타지 영화는 종종 '전복'의 장르로 이해되어 왔는데, 이러한 장르적 특징이 '기술로 완성된' 현재의 한국의 판타지 영화를 해석할 수 있는 지를 살펴볼 것이다. 흥미롭게도 현재 가장 많은 자본을 투입하고, 가장 많은 특수효과를 사용하였으며 가장 큰 흥행의 성과를 낸 <신과 함께>와 같은 영화도, 조야하고도 안타까운 한국 사회의 현실 반영하는 '로우 판타지'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위와 같은 분석을 통해, 이 논문은 궁극적으로 사회적으로 취약한 모습의 젊은 세대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판타지 영화에 신자유주의적 한국 사회의 정서와 윤리가 드러남을 주장한다.

판타지 영화 의상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 슈퍼영웅의 파워 이미지를 중심으로 - (A Semiotic Analysis of Costumes in Fantasy Films - With a Focus on the Power Image of Super Heroes -)

  • 류수현;김민자
    • 복식
    • /
    • 제57권10호
    • /
    • pp.112-128
    • /
    • 2007
  • As fantasy films in which super heroes with superhuman abilities play an active part are rapidly becoming more popular, super hero stories are taking root as a new genre in fantasy films. The costumes in films play an important role in visualizing the virtual reality of fantasy films when those costumes are worn by characters so as to express and define them. In the meantime, in the antagonistic structure of good versus evil as a typical subject in these films, it may be said that the costumes of super heroes who advocate good and those of villains who represent evil have been created as an image of power. In this sens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analytic system of how images of the power of good and evil are visually created in costumes for fantasy films. As such, this study seeks to analyze costumes in fantasy films more systemically through semiotic, which has taken root as a science of analysis in all areas of science. From the perspectives of aesthetic semiotic developed by Morris and costume aesthetics, the syntactical dimension is analyzed into formative elements and the principles of costumes; factual and expressive meanings, themes, and inherent meaning, all of which are immanent in costumes, are elicited in the semantic dimension; and the influence of costumes on viewers is described as identification in terms of pragmatics. This study provided a system to analyze costumes in fantasy films(especially 'Superman', 'Batman' and 'Spiderman') from the perspective of Morris' semiotic, and based on the analytic system, examined how 'power' is revealed in the costumes of super heroes and ruffians, and what it implies.

팀 버튼 감독의 판타지 영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스토리 전개구조에 따른 의상색채 연구 (Costume Colors Follow Story Structure on Fantasy Film 『Alice in Wonderland』 by Tim Burton)

  • 박혜원
    • 패션비즈니스
    • /
    • 제20권2호
    • /
    • pp.78-96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lors of the costumes and backgrounds of characters in the fantasy film, Alice in Wonderland(2010) by Tim Burton. The methods used were literature studies including related books, articles and internet materials, and positive research with DVD color analysis. Twenty-one scenes were selected by the researcher. Five scenes were selected from novel and film components representing, exposition, complication, crisis, climax, and denouement. After controlled pixel by photoshop program and the represented colors, hues and tones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four characters, Alice's dress colors changed depend on the situation and the passage offered from blue to red, metal light, and blue green. The Mad Hatter's colors were orange with green which signified madness and passion. The Red Queen's red dress and blue make up represented countrified and evil. The White Queen's all white dress and hair, black eyes and vivid red meant purity and nobility. Similar characters' colors were limited. Second, the background colors, especially tones were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fantasy image. These were different for each type of scene in the film such as exposition, complication, crisis, climax, and denouement.

판타지의 리얼리티 전략과 서사적 감염 -소설 <흡혈귀>와 영화 <그랜드부다페스트 호텔>을 중심으로 (Reality Strategies in Fantasy and Narrative Infections -Fiction Vampire and Movie The Grand Budapest Hotel)

  • 최성민
    • 대중서사연구
    • /
    • 제25권4호
    • /
    • pp.397-428
    • /
    • 2019
  • 판타지는 합리적 현실의 균열과 틈새에서 출현한다. 이탈로 칼비노는 "판타지는 독자가 텍스트에 빠져들지 않고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때 가능한 것"이라고 말한다. 판타지는 현실과 가장 먼 곳에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현실과 허구 사이의 혼동에서 오는 것이다. 요컨대, 판타지는 사실성의 대척점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사실성의 경계에 존재한다고 봐야 할 것이다. 리얼리티와 판타지는 구조적으로 얽혀 있기도 하다. 어디까지가 현실이고, 어디부터가 판타지인지 명확하지 않은 경우이다. 사실, 이 경우에 독자나 관객은 내가 보고 있는 것이 현실인지 아닌지 혼란에 빠진다. 토도로프는 바로 이러한 경우를 '망설임'이라 표현하는데, 그에 따르면 이 망설임이 판타지의 핵심 요소이다. 이것이 잘 구현된 텍스트로 김영하의 단편소설 <흡혈귀>(1997), 웨스 앤더슨 감독의 영화 <그랜드부다페스트 호텔>(2014) 두 편을 살펴볼 수 있다. 겉으로만 보면, 전혀 상관이 없을 것 같은 이 두 텍스트는 서사 구조적인 유사성을 띠고 있다. 그리고 독자와 관객을 사실과 판타지의 경계에서 혼란을 겪게 하면서, 흥미를 유발하는 공통적 특성을 갖고 있다. 김영하의 <흡혈귀>에서는 하나의 텍스트가 독자에게 전달되면서 판타지와 리얼리티 사이의 혼란을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일종의 '서사적 감염'이 일어나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영화 <그랜드부다페스트 호텔>에서는 비현실적인 스토리를 역사 속의 사실인 것처럼 느끼게 만들려는 전략과 더불어, 소외 계층의 인물의 성공담이 현실화되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서의 '연대'의 의미가 판타지를 통해 부각되고 있다. 이 논문은 이 두 텍스트를 통해, 판타지가 어떻게 '리얼리티'를 만들어 내고, 독자에게 판타지를 느끼게 만들며, 어떻게 그것을 확산시키는가에 대한 연구이다.

판타지 영화에 표현된 여성 캐릭터 의상의 조형적 특성 (Expressive Effects of Female Characters' Costumes Expressed in Fantasy Movies)

  • 김수경;이인성
    • 복식문화연구
    • /
    • 제16권5호
    • /
    • pp.963-978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the images and formative features of female characters portrayed in fantasy films. This study aimed at providing an applicable theory to modern fashion by reconsidering the images of women appearing in fantasy films and arranging fantastical features reflected in costumes of female characters. The followings were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irst divine nature that human beings discovered was woman nature. The discovered stone worked of the prehistoric age had a meaning of the great mother of universe and expressed a positive image. Such positive images of the goddess were variously differentiated to negative images or reduced in their roles and meanings in the settlement process of patriarchy as well as sociocultural transition. The foremost examples of negative image were expressed as grotesque, destructive, otherness, sensual, and exotic. The positive image of a goddess in fantasy films was not especially emphasized. On the other hand, the negative images of the goddess and the case of costumes were variously expressed as well as emphasized the typicality of the negative image of the characters. It was reconsidered that the typical features of characters in fantasy films were a result of the image of women following sociocultural transi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such result was being reflected in film costume.

  • PDF

1990년대 이후 영화 의상에 나타난 판타지 - 판타지의 개념과 조형적 특성을 중심으로 - (Fantasy Expressed in Movie Fashion since 1990 - With a Focus on the Concept and the Expressive Effects of Fantasies -)

  • 김수경;이인성
    • 복식문화연구
    • /
    • 제15권6호
    • /
    • pp.1063-1077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rehend the various range of expressions of fantasies and to summarize the expressive effects of fantasies that appear most commonly in today's popular culture such as film and fashion.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antasy means a genre of literary arts, which uses magic and supernatural figures as the themes or plo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ressive effects of the costumes in fantasy movies are summarized as metaphor and symbol, hybrid, otherness, grotesque. After analyzing the costumes in fantasy movies, it is concluded that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conceptualized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ressive effects in the field of fashion and they can be used as the basis in setting the visual images. This research also aims at recognizing and predicting the fashion trend by understanding closely at the popular cultures, using the films as a tool, which can be led to examining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various popular cultures.

  • PDF

Restoring the Fantasy Literature to Its Former Popularity with the Advanced Digital Technology and Norse Mythology in The Lord of the Rings Trilogy

  • Lee, Noh-Shin;Pastreich, Emanuel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9권3호
    • /
    • pp.48-54
    • /
    • 2013
  • This paper explores J. R. R. Tolkien's fantasy novel, The Lord of the Rings Trilogy in order to analogize two primary sources which enabled the fantasy literature to be restored to its former popularity in 1930's-50's. First source is the cinematization of the original novel, based on the advanced digital technology, and second, the adaptation of Norse mythology to the original novel. The advanced digital technology rendered a distinguished contribution to the resurrection of the fantasy novel today. Peter Jackson, the director of the film trilogy, The Lord of the Rings Trilogy gained an un-heard popularity in the history of the fantasy movie. It was practicable with the advanced digital technology. Nevertheless, it could be realized only with the fact that J. R. R. Tolkien's original novel retains the excellence of plot. The episodes of the novel present the author's broad knowledge of Norse mythology and his attempts to employ it to the novel, The Lord of the Rings Trilogy. Through such two directions, this paper describes that the advanced digital technology and the quality of the original plot are two key elements to succeed in authoring and filming the fantasy literature.

Gareth Pugh의 패션 필름에 나타난 미적 특성 (Aesthetic Characteristics Reflected in Gareth Pugh's Fashion Films)

  • 김선영
    • 복식
    • /
    • 제63권1호
    • /
    • pp.1-15
    • /
    • 2013
  • This study deals with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Gareth Pugh's fashion film. As fashion films are becoming a newly emerging communication tool in fashion, the aim of this study will be to build a database on these films. For the specific method in this work, literature reviews were performed along with the empirical study of seven pieces of fashion film.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Gareth Pugh released the fashion films from 2008 to 2012, and he collaborated with SHOW Studio member and photographer Nick Knight and Ruth Hogben. Common themes in their films were fear, fantasy, dynamics, and going off-limits, and these can be summed up in the following ways. First, a sense of fear was expressed via black colors, bizarre mechanical sounds, decalcomania shape in abstract images, and transformed physical body images. Second, an image of fantasy was presented with diverse expression techniques including colorful light presentations and abstract image setups from repeatedly changed image reproduction. Third, dynamic feature was denoted with a combination of fast development of images and quick reproduced layouts, as well as quick beat sounds, and big and powerful action movements. Fourth, characteristic of going off-limits was reflected, by showing the collections with a communication tool called fashion film instead of existing collection concept.

애니메이션에서 리얼리티의 역사적 변용 (Metamorphosis of Reality in Animation)

  • 이재규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9호
    • /
    • pp.220-234
    • /
    • 2005
  • 이 논문에서는 애니메이션에서 리얼리티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초기 애니메이션은 판타지를 기반으로 형성되었다. 디즈니는 애니메이션에 실사영화의 내러티브 구조와 스타일, 연기 등을 과감히 도입함으로써 실사에 근접하는 하이퍼 리얼리티한 애니메이션의 기초를 닦았지만, 그 결과 자유스러운 이미지의 실험을 통해 환상성을 창조하던 여타의 애니메이션 장르들은 주변화되고만다. 디즈니의 하이퍼 리얼리티한 세계관과 이후 발전한 3D 컴퓨터 애니메이션 기술의 결합은 가상의 공간, 가상의 인물들을 진짜보다 더 진짜같이 만들어내기에 이르렀고, 원본없는 복제물인 시뮬라크르의 매트릭스를 창조해가고 있다.

  • PDF

디지털 하이브리드 이미지 존재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esthetic Ontology of Digital Hybrid Image)

  • 정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17-124
    • /
    • 2019
  • 이 논문은 디지털 테크놀러지가 영화 이미지의 미학적 존재론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에 대해 다룬다. 영화 예술의 물질적 기초로서 셀룰로이드 필름을 통한 이미지 생산과 소비의 시대는 이미 막을 내렸다. 컴퓨터와 인터넷 시대의 도래는 영화의 세계에 새로운 이미지 존재론의 출현을 불가피하게 만든다. 오늘날 디지털 시네마 시대에 벤야민의 기계 복제 개념을 재해석할 필요가 있다. 필름 이미지의 기계 복제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기초한 디지털 합성 개념으로 변형된다. 또한, 디지털 테크놀러지는 영화의 몽타주 미학에 중대한 변화를 초래한다. 쇼트들의 시간적 연결에 기초한 필름의 몽타주 미학은 컴퓨터 데이터와 픽셀 이미지의 공간적 시뮬레이션에 기초한 '디지털 꼴라주' 미학으로 변화한다. 이 논문은 영화적 환영과 표현의 미학이 확장되는 디지털 하이브리드 이미지 존재론을 탐구함으로써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