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emiotic Analysis of Costumes in Fantasy Films - With a Focus on the Power Image of Super Heroes -

판타지 영화 의상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 슈퍼영웅의 파워 이미지를 중심으로 -

  • Rhew, Soo-Hyeon (Dept. of Clothing & Textil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Min-Ja (Dept. of Clothing & Textil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As fantasy films in which super heroes with superhuman abilities play an active part are rapidly becoming more popular, super hero stories are taking root as a new genre in fantasy films. The costumes in films play an important role in visualizing the virtual reality of fantasy films when those costumes are worn by characters so as to express and define them. In the meantime, in the antagonistic structure of good versus evil as a typical subject in these films, it may be said that the costumes of super heroes who advocate good and those of villains who represent evil have been created as an image of power. In this sens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analytic system of how images of the power of good and evil are visually created in costumes for fantasy films. As such, this study seeks to analyze costumes in fantasy films more systemically through semiotic, which has taken root as a science of analysis in all areas of science. From the perspectives of aesthetic semiotic developed by Morris and costume aesthetics, the syntactical dimension is analyzed into formative elements and the principles of costumes; factual and expressive meanings, themes, and inherent meaning, all of which are immanent in costumes, are elicited in the semantic dimension; and the influence of costumes on viewers is described as identification in terms of pragmatics. This study provided a system to analyze costumes in fantasy films(especially 'Superman', 'Batman' and 'Spiderman') from the perspective of Morris' semiotic, and based on the analytic system, examined how 'power' is revealed in the costumes of super heroes and ruffians, and what it implies.

Keywords

References

  1. 정유라 (1997). 한국 만화영화 텍스트 연구: 폭력양성 매커니즘을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1, p. 39
  2. 박주현 (1999). 공상과학영화에 나타난 복식 이미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7
  3. 김치수 외 (1998). 현대기호학의 발전.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p. 86
  4. 박철홍 (1996). 대중예술로서 만화의 성격과 기능에 관한 연구. 부산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8
  5. 박성학 편저 (2001). 세계영화문화사전. 서울: 집문당, pp. 883-886
  6. Eco, U., Apocalittici e integrati, 조형준 역 (1994). 대중의 영웅. 서울: 새물결, p. 64
  7. 백준기 (1999). 만화미학탐문: 만화 텍스트의 기호적 구축을 위하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3, 1999, p. 216
  8. Gresh, Lois H. & Weinberg, Robert E., The Science of Superheroes, 이한음 역 (2004). 슈퍼영웅의 과학, 서울: 한승, pp. 5-13
  9. 김기홍 (2005). 만화로 보는 미국. 서울: 살림, p. 43
  10. 김기홍 (2005). 만화로 보는 미국. 서울: 살림, p. 48
  11. 김기홍 (2005). 만화로 보는 미국. 서울: 살림, pp. 81-86
  12. 김미성 (1999). 영화의상이 1990년대 패션에 미친 영향: 1960년대-1990년대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3
  13. 박주현. (1999). 공상과학영화에 나타난 복식 이미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7
  14. Gresh, Lois H. & Weinberg, Robert E., The Science of Superheroes, 이한음 역 (2004). 슈퍼영웅의 과학, 서울: 한승, pp 33-37
  15. 김민자 (1998).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모더니즘과 포 스트모더니즘 연구II, 반미학과 열린패션을 중심으로, 복식. 38, p. 9
  16. 소두영 (1993). 기호학. 서울: 인간사랑, p. 55
  17. 서승미 (2005). 현대 예술의상에 표현된 조형성의 텍스트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49-50
  18. 서정철 (1998). 기호에서 텍스트로, 서울: 민음사. p 150
  19. 소두영 (1993). 기호학. 서울: 인간사랑, pp. 57-58
  20. 김치수 외 (1998). 현대기호학의 발전.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p 69
  21. Nadin, Mihai & Zakia, Richard D. (1994). Creation Effective Advertising Using Semiotics, N.Y.: The Consultant Press, p. 8
  22. 김민자 (2004),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모더니즘과 포 스트모더니즘 연구II, 반미학과 열린패션을 중심으로, 복식. 38, pp. 22-28
  23. Lamb, Jane M. & Kallal, M. Jo (1992). A Conceptual Framework for Apparel Design.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0(2), pp. 42-47 https://doi.org/10.1177/0887302X9201000207
  24. 서승미 (2005). 현대 예술의상에 표현된 조형성의 텍스트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71
  25. 김민자 (2004),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모더니즘과 포 스트모더니즘 연구II, 반미학과 열린패션을 중심으로, 복식. 38, p. 89
  26. 김민자 (2004),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모더니즘과 포 스트모더니즘 연구II, 반미학과 열린패션을 중심으로, 복식. 38, p. 90
  27. Kaemmerling Ekkehard edt., Ikonographi und Ikonologir: Theorien, Entwickung, Probleme, 이한순 외 역 (1997). 도상학과 도상해석학: 이론, 전개, 문제점. 서울: 사계절, p. 143
  28. 김민자 (2004),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모더니즘과 포 스트모더니즘 연구II, 반미학과 열린패션을 중심으로, 복식. 38, p. 91
  29. 김민자 (2004),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모더니즘과 포 스트모더니즘 연구II, 반미학과 열린패션을 중심으로, 복식. 38, ,p 92
  30. 서정남 (2005). 영화 텍스트와 그 수용자로서의 관객간의 역학관계. 프랑스학연구, 28, p. 352
  31. 서정남 (2005). 영화 텍스트와 그 수용자로서의 관객간의 역학관계. 프랑스학연구, 28, pp. 353-354
  32. 영화 〈슈퍼맨> 1978 중
  33. 영화 〈배트맨> 1989 중
  34. 자료검색일 : 2007.10.1, 자료출처 www.naver.com
  35. 문혜정 (1998) 서양복식에 나타난 검정색의 이미지: 르네상스 시대부터 19세기 말까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6
  36. 김성곤 (1997). 김성곤 교수의 헐리웃 20세기 문화의 거울, 서울: 웅진출환, pp. 40-41
  37. 김성곤 (1997). 김성곤 교수의 헐리웃 20세기 문화의 거울, 서울: 웅진출환, p. 43
  38. 김기홍 (2005). 만화로 보는 미국. 서울: 살림, pp. 45-47
  39. 이민선 (2003). 권력과 남성 패션에 표현된 미적 이미지. 복식문화연구, 11(2), p. 181
  40. 정재형 (1994). 영화산업의 자본주의적 생산양식과 국가이데올로기. 영화학보, 5(1). p. 12
  41. 김시무 (1998. 8). 미국 오락영화 속의 이데올로기적 쾌락. 공연과 리뷰, 18, p. 60
  42. 김성곤 (1997). 김성곤 교수의 헐리웃 20세기 문화의 거울, 서울: 웅진출환, pp. 50-51
  43. 김성곤 (1997). 김성곤 교수의 헐리웃 20세기 문화의 거울, 서울: 웅진출환, pp. 82-85
  44. 서정남 (2005). 영화 텍스트와 그 수용자로서의 관객간의 역학관계. 프랑스학연구, 28, p. 354
  45. 마이다스 동아일보, '한국속 일본문화'. 199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