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mily Closeness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초

가족의 기능적 결손 정도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우울,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unctional Deficiency in Family on Self-esteem, Depression, and Suicidal Inclination of Adolescents)

  • 박재산;이미순;문재우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99-209
    • /
    • 201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functional deficiency of Family and self-esteem, depression, suicidal inclination of adolescents. Methods: The data in this study came from the Korea Youth Panel Survey Data (N=3,449) for 2005~2007.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presented in the research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carried out by using AMOS 7.0. And all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WIN 12.0. Results: The main analytical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amily function made a positive impact on the self-esteem of adolescents. Second, the severe functional deficiency in family appeare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suicidal inclination and depression of adolescents. Third, the higher the adolescents' self-esteem, the lower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Fourth, the more severe the depression, the higher occurrence of suicidal inclination. Conclusion: In conclusion, functional deficiency in adolescents' family impacted negatively on self-esteem, and this contributed to increased depression and anxiety, and to suicidal inclination finally. These findings confirmed that the strength of family function, the closeness with parents, forming a stable relationship and strength of the emotional bond are very important factors to form self-esteem and reduce depression and suicidal inclination.

가족의례가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mily Rituals on Family Strengths)

  • 배재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622-635
    • /
    • 2016
  • 본 연구는 가족의례의 종류에 따른 주요활동과 갈등요인들을 확인하고, 가족의례가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가족건강성을 높일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성인남녀 216명에게 설문조사하였고,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빈도분석, MANOVA,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식사의례의 주요활동은 '집에서 직접요리'가 가장 많았고, 갈등요인은 '일이 너무 바빠서'가 가장 많았다. 가족주말여가의례의 주요활동은 '근교나들이', 갈등요인은 '가족공동의 시간을 갖기 어려워서'가 제일 많았다. 가족생일의례의 주요활동은 '케익 준비하기', 갈등요인은 '내 생일을 가족이 잊어버려서'가 제일 많았다. 결혼기념일의례의 주요활동은 여성의 경우 '외식하기', 남성의 경우 '꽃이나 선물주기', 갈등요인은 여성의 경우 '배우자가 결혼기념일을 잊어버려서', 남성의 경우 '내가 원하는 축하방식이 아니어서'가 제일 많았다. 명절의례의 갈등요인은 여성의 경우 '배우자가 나의 어려움을 이해해주지 못하는 것 같아서', 남성의 경우 '친척들과의 인간관계 문제'가 제일 많았다. 둘째, 연령에 따라 가족의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의례는 가족건강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가정 유아의 보육시설 적응에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교사-유아관계가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Young Children's Adjustment to Child-Care Centers: Focused on Low-Income Families)

  • 김영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79-688
    • /
    • 2011
  • Using data from an ongoing study of 170 children aged 4-6 years in low-income families, this study tests how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influences the adjustment to child-care centers of young children. The mothers' parenting behaviors were measured by the mothers of surveyed children, while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adjustment were rated by teachers. Measurements were recorded from using the Iowa Parent Behavior Inventory(Crase et al. 1987),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Pianta et al. 1995) and the Adjustment to Child-care Centers Scale(Lee 2004).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s indicate that mothers' parenting behaviors in the low-income families controlled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one area of early school adjustment, learning readiness. In other words, mothers who are more involved and demonstrate supportive parenting, have children with better learning readiness.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is strongly related to all areas of children's adjustment. The interaction effect of parenting behaviors and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children's learning readiness is observed. Thes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child closeness as well as the quality of parenting behaviors during the preschool period for the low-income family in improving early school adjustment.

교사-유아의 친밀감과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의 관계에서 부정적 정서성의 중재효과 (Moderating Effect of Negative Emotionality on the Association between Teacher-Child Intimacy and Peer Interaction)

  • 이예진;신유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3권4호
    • /
    • pp.405-412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negative emotionality on the association between teacher-child intimacy and peer interaction based on a differential susceptibility model. The participants were 252 three-year-old children recruited from a day care center and preschool located in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was measured on a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This measure is a type of teacher's report with ratings based on a teacher's daily observations. This scale is composed of closeness items on the degree of warmth and open communication in teacher-child relationships. Peer interactions were measured with a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This measure is composed of play interaction items, play disruption items and play disconnection. Negative emotionality was measured with Child Behavior Questionnaire. Teachers measured teacher-child intimacy and peer interaction scales. Parents reported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The research showed that negative emotionality moderated the association of teacher-child intimacy, play interaction, play isolation and play disruption. The magnitude of association between teacher-child intimacy and play disconnection as well as play interaction was greater for high levels of negative emotionality. Teacher-child intimac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lay disruption only for high levels of negative emotional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pport a differential susceptibility model.

아동성학대의 실태와 관련변인 -지방대도시 청년기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ild sexual abuse and related variables -focused on experiences of female adolescents in metropolitan areas-)

  • 유가효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221-239
    • /
    • 1995
  • Using a nonclinical sample of 566 female students, this study examines the frequency and the severity of child sexual abuse in Taegu area. It also analyzes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probability of experiencing both contact and noncontact forms of the abuse. The results show that children from low socio-economic status tend to experience severe types of contact abuse while children from higher socio-economic status ten to experience severe types of contact abuse while children from higher socio-economic status are likely to be exposed to noncontact abuse. The growing place in the childhood also affects the victimization to noncontact and contact abuse differently. The absence of the biological parents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the occurrence of contact abuse, but have no impact on the noncontact abuse. However, the closeness of the family members and frequent communication reduce the rates of both contact and noncontact abuse substantially.

  • PDF

부부갈등이 아동의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rital Conflict on Children's Social Relationship)

  • 이순욱;김춘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10호
    • /
    • pp.101-10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marital conflict on children's social relationship. The subjects were 1,60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 city of Kyungpook. They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 and the data from 1,436 (89.8%) respondents were analyse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pe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social relationship factors, there was a correlation in verbal aggression and violence, which are sub-factors of marital conflict. Between the sub-factors of marital conflict, verbal aggression negatively affected the closeness of sub-factors of parent-child relationship. Between the sub-factors of conflict, verbal aggression and violence negatively affected the peer social skills of children. Between the sub-factors of marital conflict, verbal aggression and violence negatively affected the school interest of the children.

소외아의 또래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Variables Associated with Peer Competence of Neglected Children)

  • 문혁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93-103
    • /
    • 2009
  • This study analyzed variables associated with peer competence of negelcted children. Participants were made up of 180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Neglected children's peer competence was measured by the Peer Competence Scale(Park & Rhee, 2001) and data were subjected to descriptive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neglected children's peer competence was partly associated with the child's temperament and emotional regulation, parenting styles and involvement strategy,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In particular, closeness in teacher-child relationship was the strongest predictor for both children's peer competence in leadership and sociability. Furthermore, a child's ability to regulate emotion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their peer competence in prosocial environments.

가족부양자의 재가복지서비스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affecting family Caregivers' Preference for Utilization of Community Eldercare Services)

  • 송다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3권
    • /
    • pp.105-128
    • /
    • 2003
  •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을 모시고 있는 가족부양자를 대상으로 재가복지서비스에 대한 이용의사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노인부양의 사회적 지원방안을 보다 효과적으로 마련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서비스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선행요인, 가능태 요인, 욕구요인으로 구분하여 이용행위를 분석한 Anderson-Newman 모델을 기반으로, 총 230명의 가족부양자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SAS 6.12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과 함께, 서비스 이용의사에 있어 다양성이 포함될 수 있도록 다중명목 로지스틱 분석(Multinominal logistic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재가복지서비스를 이용하겠다는 의향은 85.9%로 나타났으며 시설보호서비스도 비슷한 수준인 86.9%이었다. 그러나 재가복지서비스는 무료 또는 유료라도 사용하겠다는 의사가 각각 50%씩 나타난 반면, 시설보호서비스는 유료라도 사용하겠다는 의사가 91.1%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장기요양 발생시 대처방안에 있어서도 가족이 전담하기보다는 장기요양보험제도나 사회적 고용지원제도와 연결시키려는 욕구가 높았다. 재가복지서비스 이용의사에 영양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해보면, 서비스를 이용할 의사여부는 연령, 부양자와 노인간의 우애관계, 노인부양 가치관과 같은 선행요인(predisposing factors)이나, 노인부양의 경제적 혹은 심리적 부담, 가족내 추가로 돌봐야 할 가족원 유무 등과 같은 서비스 이용의 직접적인 욕구와 연결된 요인(need factors)들이 주요한 영향력을 보이고 있다. 반면 서비스를 이용하겠다는 사람들 중 무료 옥은 유료 이용의사를 주요하게 구분하는 것은 가능태 요인(enabling factors)으로,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주부양자를 대체할 부부양자가 없을수록 유료라도 사용하겠다는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노인부양을 위한 사회적 서비스의 지원 방향성과 대책이 제시되었다.

  • PDF

다문화가정자녀에 대한 일반아동의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on Children's Social Distance towards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윤인성;박선영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91-202
    • /
    • 2016
  • 사회적 거리감(social distance)은 사회집단에 대한 태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개념으로서 취약층의 사회행동 연구에 유용하다. 일반 아동들이 보이는 사회적 거리감이 두드러질수록 다문화가정자녀들의 자신감과 사회적 유능성이 저해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자녀에 대한 일반아동들의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문화접촉경험, 긍정적 정서와 인지로 본 고정관념, 단일민족의 식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일반아동의 사회적 거리감에 관한 경험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주요결과는 첫째, 다문화접촉경험 중 높은 친밀도, 외국인 이웃의 인종(특히 백인과 흑인), 미디어와 다문화 교육을 받은 경우가 높은 수준의 사회적 거리감과 관련되었다. 둘째, 다문화가정자녀에 대해 긍정적으로 느끼고 인식할수록 사회적 거리감은 낮아졌다. 셋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다문화가정자녀에 대한 긍정적 정서, 긍정적 인지가 사회적 거리감을 유의하게 낮추는 효과가 나타났고. 친밀도와 다문화 교육은 사회적 거리감을 오히려 높이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다문화가정자녀를 대하는 일반아동의 행동에 관한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자기가치감과 대학생활적응 (Study on Self-worth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of Paramedicine Department Students)

  • 한송이;원효진
    • 디지털정책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7-24
    • /
    • 2023
  • 본 연구는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자기가치감과 대학생활적응의 정도를 파악하고, 종교의 유무와 가족구성원의 친밀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대학교에 재학 중인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을 18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대상자의 성별, 종교의 유무, 가족구성원과의 친밀도는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종교의 유무 및 가족구성원과의 친밀도에 따른 자기가치감과 대학생활적응은 평균, 표준편차와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종교의 유무 및 가족구성원과의 친밀도에 따라 자기가치감에 차이가 있었으며, 가족구성원과의 친밀도에 따라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 중 학업적응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개인의 자기가치감 향상과 대학생활적응 요인에 맞도록 상담전략을 세우는 데에 있어 종교의 유무와 가족구성원과의 친밀도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자기가치감 향상을 위한 다양한 대학생활적응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해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에게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할 것을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