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ial skeletal pattern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3초

10세에서 14세 사이 III급 부정교합자의 치아안면두개의 형태학적 특성에 대하여 (Dental and skeletal characteristics and growth in Class III malocclusion between skeletal ages of 10 and 14)

  • 민승기;이영준;박영국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19-435
    • /
    • 2003
  • 이 연구는 두부X선 규격사진을 이용하여 III급 부정교합자의 안모를 연령 성별로 분류하고,각 분류에 대한 두개 안면 형태의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정상교합자 60명과 III급 부정교합자 60명을 표본으로 하였으며 각 군은 10세, 12세, 14세 군 남녀로 구분되었다. 50개의 선 및 각계측치를 Krogman-Walker의 기준평면을 기준하여 측정하였다. 1. III급 부정교합군은 전방두개저의 길이와 안상각이 정상교합자군에 비하여 작고 하악골체와 하악수직고경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남녀 모두 10세부터 유의하게 나타났다. III급 부정교합군에서의 하악하연각의 유의한 증가는 남녀 모두 12세때 나타났다. 2. III급 부정교합자군에서의 상악골의 후방 위치와 상악골체 크기의 유의한 감소는 남녀 모두 10세부터 나타난다. 3. III급 부정교합자군에서 유의한 하안면부 수직고경의 증가는 주로 하악골체 크기의 변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하악골체의 경우 III급 부정교합자군에서 더 크고 전하방에 위치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III급 부정교합자군에서의 전체적인 수직고경의 유의한 증가는 12세군에서 유의하게 나타나기 시작한다. 4. 본 연구에서는 III급 부정교합자군에서의 두개저부각의 감소와 (Ba-S-N, 3A) 하악골체의 전방 위치는 남녀 모든 연령층에서 일관되게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Rothstein 등에 의해 주장된 II급 부정교합자군에서의 두개저부각의 변화가 하악골체의 전후방 위치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주장을 부정하며, 디벳 등에 의해 주장된 앵글씨의 부정교합분류와 두개안면형태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를 지지한다.

안골격형과 교합과의 상호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RELATONS BETWEEN FACIAL SKELETAL PATTERNS AND DENTAL OCCLUSION)

  • 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1-26
    • /
    • 1982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ocument relations between facial skeletal pattern and dental occlusion. The data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pretreatment cephalometric radiographs and study models of patients' records present in the files of Orthodontic Depart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Patients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a mandibular plane-sella nasion angle equal to or greater than $38^{\circ}$ (high SN-MP angle) or equal to or less than $26^{\circ}$ (low SN-MP angle). Patients in the mixed dentition and with missing permanent teeth were excluded for ease of assessing tooth size / arch circumference relationships and then 30 high SN-MP and 11 low SN-MP patients were selected among them. The mean age of these two groups of patients was high SN-MP, $12.8{\pm}1.23$ years and low SN-MP, $13.0{\pm}1.48$ year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In the maxilla and mandible the mean tooth size of high SN-MP patients was nearlly identical to the low SN-MP patients. 2. The mean maxillary arch circumference was increased in low SN-MP group compared with high SN-MP group and a smilar, but smaller, mean increase was present in mandible. 3.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n maxillary circumference required and the mean maillary circumference present ranged from -4.8mm in the high SN-MP group to -1.3mm in the low SN-MP group. A small range of means occurred in the mandible (high SN-MP: -4.0mm to low SN-MP: -1.8mm). 4. In the maxilla and mandible the mean arch length was nearly identical in the high and low SN-MP groups. 5. The mean incisor inclination was increased as the SN-MP angle decreased in the maxilla and mandible. 6. The men distance of the maxillary first molar from anterior border of the pterygomaxillary fissure was nearly similar between high and low groups. 7. The mean mandibular intermolar width was increased from high SN-MP to low SN-MP patients.

  • PDF

상악 전방견인시 악안면골의 초기반응에 관한 Laser Holography연구 (A LASER HOLOGRAPHIC STUDY ON THE INITIAL REACTION OF MAXILLOFACIAL COMPLEX TO MAXILLARY PROTRACTION)

  • 강흥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67-385
    • /
    • 1988
  • In case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ith underdeveloped maxilla, the extraoral orthopedic force for the stimulation of maxillary growth or anterior reposition of the maxilla has been used clinically for the improvement of facial skeletal relationship.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examine the initial reaction of maxillofacial complex to the maxillary protraction by using extraoral orthopedic force. The dried human skull was used and this investigation was done by means of double exposure holographic interferometry. The protraction forces placed on the canine or the first molar were parallel, $10^{\circ}$ downward, $20^{\circ}$ downward to the occlusal plane. Fringe pattern of each protraction condition was compared and anali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Each maxillofacial bone displaced saparately. 2. More displacement was shown at the area of the teeth and the alveolar bone. 3. A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maxilla wa decreased by downward protraction and especially 20 degree downward protraction from the canine showed least rotation. 4. On the zygomatic arch, outward bend was observed and this effect was decreased by downward protraction. 5. On the zygomatic bone, the counter clockwise rotation was increased by the downward protraction. 6. When maxillary expansion was applied at the same time, outward and upward displacement with counterclockwise rotation was observed on the maxilla. 7. The lateral pterygoid plate of sphenoid bone was affected by maxillary protraction.

  • PDF

수직적 안모유헝에 따른 치료 후 교합평면 안정성에 관한 연구 (Post-treatment stability of the occlusal plane according to different vertical facial patterns)

  • 박정은;이진우;정동화;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69-379
    • /
    • 2006
  • 본 연구는 수직적 안모유형에 따른 치료 후 교합평면 변화양상을 조사하여 향후 적절한 치료계획과 기전의 설정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하였다. 골격성 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되어 비발치로 치료받은 성민 60명(남자 28명, 여자 3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Ricketts법의 facial axis, facial depth, mandibular plane angle, lower face height, mandibular arc의 5개 항목을 이용하여 한국 성인의 정상교합자 통계치의 기준에 따라 short face type (1군), average face type (2군), long face type (3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의 치료 전, 치료 종료, 종료 후 1년의 측모두부 방사선사진 계측치를 비교 분석하였다. 1군은 치료 종료 시와 비교하여 유지기간에 일반적 교합평면각, 기능적 교합 평면각, L6/L1, MP-L6 항목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 < 0.01) L1-FOP 항목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 0.001). 2군은 유지기간에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3군은 유지기간에 기능적 교합평면각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 0.05). 기능적 교합평면각의 치료 후 변화량은 각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1군과 3군 간에 매우 큰 유의성을 보였다. 따라서 치아의 압하, 정출 및 치료 후 전치부 피개 등에 있어 유지기간 중 교합평면각 변화의 고려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청소년기의 정상교합자에 대한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ROENTGENOCEPHALOMETRIC STUDY OF CRANIOFACIAL SKELETON ON THE AGE OF PUBERTY WITH NORMAL OCCLUSION)

  • 백일수;유영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77-191
    • /
    • 1982
  • The study was performed to establish the cephalometric standards of Hellman dental age III B, IV A, IV C groups of the age of puberty and to aid for the case analysis and diagnosis of malocclusion. A roentgenocephalometric study was made from 365 subjects, that consist of 162 males, 203 females with normal occlusion, acceptable profile and no history of orthodontic and prosthodontic trea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obtained as follows: 1. The tables of standards from the measurements by age, sex group were made. 2. All linear measurements of skeletal pattern in male were greater than in females. 3. The Bjork's sum was reduced gradually by aging in group I $396^{\circ}$, group II $395^{\circ}$, and group III $393^{\circ}$. 4. Posterior facial height to anterior facial height was 63% in group I, 64% group II, and 67% in group III. 5. The angulation of SNA and SNB were $81^{\circ}$ & $78^{\circ}$ in group I, $81^{\circ}$ & $78^{\circ}$ in group II, and $82^{\circ}$ & $79^{\circ}$ in group III.

  • PDF

교정치료시기에 관한 연구 (ORTHODONTIC TREATMENT TIMING)

  • 장영일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22권12호통권187호
    • /
    • pp.1067-1073
    • /
    • 1984
  • In the treatment of functional orthodontic problems, timing is not an issue. All orthodontists start as soon as the condition is recognized. However, there is an active dialogue concerning treatment timing for structure problems. The major points in contention center around the operator's ability is to control the growth of the facial bones and to maintain post-treatment tooth position through the maturation period (especially when this position was gained by techniques involving arch expansion or distal driving of posterior segments). Factors taken into account to determine the best time of orthodontic treatment include diagnosis, interception, growth rate, patient cooperation, eruptive state and treatment period. With those exceptions of all functional problems, mild dental discrepancies and skeletal deficiencies with a predictably excellent growth potential (early treatment), the period immediately following the eruption of the permanent second molars is the period during which most orthodontic treatment should be initiated. At this time the full volume of tooth substances is present, the individual growth pattern in well established, there are sufficient teeth to receive nearly any type of appliances and the patient can easily tolerate the wearing of appliances.

  • PDF

Miniscrew insertion sites of infrazygomatic crest and mandibular buccal shelf in different vertical craniofacial patterns: A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study

  • Matias, Murilo;Flores-Mir, Carlos;de Almeida, Marcio Rodrigues;da Silva Vieira, Bruno;de Freitas, Karina Maria Salvatore;Nunes, Daniela Calabrese;Ferreira, Marcos Cezar;Ursi, Weber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387-396
    • /
    • 2021
  • Objective: To identify optimal areas for the insertion of extra-alveolar miniscrews into the infrazygomatic crest (IZC) and mandibular buccal shelf (MBS), using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imaging in patients with different craniofacial patterns. Methods: CBCT reconstructions of untreated individuals were used to evaluate the IZC and MBS areas.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craniofacial pattern, namely, brachyfacial (n = 15; mean age, 23.3 years), mesofacial (n = 15; mean age, 19.24 years), and dolichofacial (n = 15; mean age, 17.79 years). In the IZC, the evaluated areas were at 11, 13, and 15 mm above the buccal cusp tips of the right and left first molars. In the MBS, the evaluated areas were at the projections of the first molars' distal roots and second molars' mesial and distal roots, at a 4- and 8-mm distance from the cementoenamel junction. Intergroup comparisons were performed with analysis of variance and the Tukey test.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ZC bone thickness among the groups. For MBS bone availability, some comparisons revealed no difference; meanwhile, other comparisons revealed increased MBS bone thickness in the brachyfacial (first molars distal roots) and dolichofacial (second molars mesial and distal roots) patterns. Conclus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ZC bone thickness among the groups. The facial skeletal pattern may affect the availability of ideal bone thickness for the insertion of extra-alveolar miniscrews in the MBS region; however, this variability is unlikely to be clinically meaningful.

수직적으로 긴 안모의 두부방사선계측학적 특징 (Characteristics of Skeletodental Pattern in High Angle Cases)

  • 김상철;강경화;이경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937-946
    • /
    • 1998
  • 전치부 개교를 동반하는 수직적으로 긴 안모는 임상교정에서 치료하기 어려운 증례중 하나이다. 이런 증례의 특징을 찾기 위한 많은 시도가 있었으나 골격 및 치성 요소에 대한 개별 파악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일관된 설명 없이 혼돈 만 초래하게 되었을 뿐이다. .수직적으로 긴 안모의 두부방사선계측학적 륵징을 확인하기 위하여 Sn-GoGn 각에 따라 구분된 109개의 치료 전 두부방사선사진 (35 수직군, 37 평균군, 37 수평군)을 분석하여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발견하였다. 수직적으로 긴 안모일수록 전안모고경, 특히 하전안모고경이 증가하며 후안모고경은 짧아지고, 모든 치조골, 특히 상악에서 의 두께가 깊어진다. 또한 모든 골격적 각계측항목이 커지는데 특히 lower genial angle의 상관성이 컸다. 한편 상악 전치는 점점 설측경사되었고 하악 전치는 순측경사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에서 수직적 안모형태에 따른 혀와 설골의 위치 비교 (A study on the position of tongue and hyoid bone in relation to vertical facial patterns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우광수;윤정현;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79-589
    • /
    • 2000
  • 혀와 설골의 위치가 안모형태와 어떤 양태로 상관성을 갖는지 비교평가하기 위해 69명의 성인군과 63명의 성장군에서 두부방사선계측사진을 얻었다. 성인군과 성장군에서 SN평면에 대해 큰 하악평면각을 갖는 군과 작은 하악평면각을 갖는 군으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혀의 높이는, 큰 하악평면각을 갖는 군보다는 작은 하악평면각을 갖는 군에서, 성인군보다는 성장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2. 설골의 수직적 높이는 큰 하악평면각을 갖는 군보다는 작은 하악평면각을 갖는 군에서, 성인군보다는 성장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3. 연령과 안모형태의 수직적 분류에 따른 설골의 전후방적인 위치는 차이가 없었다. 4. 두개저에 대한 설골의 기울기에 있어, 성인군보다 성장군에서 좀 더 가파른 경사도를 갖고 있었다.

  • PDF

최대 교합력과 안면 골격 형태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maximum bite force and facial skeletal pattern)

  •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서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37-451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최대 교합력을 측정하여 전후방적, 수직적 및 횡적인 안면 골격 요소들과의 관련성을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으로 남녀 대학생들을 각각 26명과 14명씩 총 40명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개발된 strain gauge를 이용한 장치로 좌우 제1대구치와 전치부에서 최대 교합력을 측정하였다. 두부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여러 계측 항목들을 측정하고, 통계분석을 시행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제 1대구치 최대 교합력은 남자는 $68.0\pm13.9kg$, 여자는 $55.6\pm10.5kg$ 이었고 (p<0.05), 전치에서 남자는 $8.4\pm4.9kg$, 여자는 $5.1\pm3.4kg$이었다(p<0.05). 2. 저작을 선호하는 쪽의 교합력이 더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3. 최대교합력이 강한 군과 약한군 간에 여러 항목들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제1대구치 최대 교합력에 대해서는 N-S-Ar, S-Ar-Go, FH-H1, IMPA 그리고 MMO 항목들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전치부 최대 교합력에 대해서는 N-S-Ar 과 FH-H1 항목들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4. 최대 교합력과 유의성 있는 상관 관계를 보인 항목들은 제1대구치 최대 교합력에 대해서는 N-S-Ar, S-Ar-Go, UGA, FH-H6, FH-H1, body weight 그리고 MMO, 전치부 최대 교합력에 대해서는 Go-Me, P-1 그리고 IMPA등 이었다(p<0.05).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제1대구치의 최대 교합력은 수직 전안면 고경이 짧을수록 증가하였다. 전치의 최대 교합력은 하악체 길이가 길수록, 상악 전방 치조부 고경이 클수록, 그리고 하악 절치들이 설측으로 경사져 있을수록 증가하였다(P<0.05).9\%$ 수준이었으며, 인장결합강토(TBS)에 대해서는 $52\%$ 수준이었고, Chessboard base에서 최저 Peel bond strength$(_{60}PBS)$는 전단결합강도(SBS)의 $34\%$ 수준이었으며, 인장결합강도(TBS)에 대해서는 $61\%$ 수준이었으며, Non-etched Foil-Mesh base에서 최저 Peel 결합 강도$(_{60}PBS)$는 전단결합강도(SBS)의 $34\%$ 수준이었으며, 인장결합강도(TBS)에 대해서는 $55\%$ 수준이었다. 4. 단위 면적 당 결합강도에 있어서 전단결합강도(SBS)와 인장결합강도(TBS) 및 $75^{\circ}\;와\;90^{\circ}$ peel 결합강도는 Micro-Loc base와 Chessboard base에서 차이 가 없었으며 Non-etched Foil-Mesh base에서 가장 작았고(p<0.05), $0^{\circ},\;15^{\circ},\;30^{\circ},\;60^{\circ}$ peel응력을 적용한 결과 Chessboard base에서 가장 큰 Peel결합강도를, Non-etched Foil-Mesh base에서 가장 작은 결합강도를 보였다(p<0.05).았다. 6.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본 표면은 모든 제품에서 생산과정 중에 보이는 압흔과 pitting이 관찰되는데, 진성기업의 Stainless Steel은 가늘고 긴 압흔이 있으며 비교적 매끄러운 표면을 보이고, Unitek사의 경우 압흔과 함께 pitting 이 관찰되며, Ormco Stainless Steel의 경우 불규칙한 pitting이 다수 존재했다.수술 시행 시기별의 차이를 보이지 않고 고른 분포를 보였다. 10. 내원한 환자를 순구개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