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e color

검색결과 711건 처리시간 0.023초

얼굴 인식을 위한 얼굴 특징점 추출 (Face Feature Extraction for Face Recognition)

  • 양룡;채덕재;이상범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3권12호
    • /
    • pp.1765-1774
    • /
    • 2002
  • 얼굴 인식은 현재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분야이다. 하지만, 이에 따른 많은 문제점들이 선결되어야 하는 실정이다. 우선, 영상 취득과정에서 생기는 다양한 조명 변화와 카메라의 위치 변화를 고려하여 대상 얼굴을 인식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PC 카메라 및 주민등록증에 있는 사진을 스캔하여 얼굴 특징점을 정확하고 빠른 계산 시간 안에 찾을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RGB 색공간을 YUV로 변환하여 Y성분을 히스토그램 균등화 시켜 휘도에 관계없이 얼굴 피부색을 추출한 후 YUV의 V성분을 변형한 V' 성분을 이용하여 얼굴의 특징점을 찾는 방법이다. 실험결과 주민등록증 사진과 PC카메라에서 입력받은 얼굴 영상이 오류 없이 추출됨이 관찰되었다.

  • PDF

Effects of Hair Colors on the Optical Illusion of Body Types

  • Li, Eun-Ji;Shim, Boo-Ja
    • 패션비즈니스
    • /
    • 제7권3호
    • /
    • pp.14-23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affects of hair colors on physical shapes and images through field survey and experimental research.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surveyed 230 female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Busan about their dyed hair colors, and selected the subjects for the study. Then the researcher an experimental research on the subjects by suing test stimuli. Results of the study can be described as follows: Experiment of the Optical Illusion of Physical Shapes. For all items measured for the experiment, except four ones, if was found that hair colors provided significant efforts of optical illusion factor analysis, included horizontality, outlines of the body and face, a horizontal line of the shoulder, the length, verticality and a horizontal line of the face. According to hair colors, black made the body look slimmer and the face look apparent. White made the body height look low, the outline of the face look clear and the neck or shoulder look fleshed. Female college students whose hair color was orange looked unclear in the body silhouette, bright in the face and broad in the hip and shoulder. Other students whose hair color was red, attracting the line of vision upward most strongly, looked fleshed in the upper body and broad in the face. Finally, blue made the face look dark.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정합필터 기반의 얼굴 검출 (Face Detection based on Matched Filtering with Mobile Device)

  • 염석원;이동수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76-79
    • /
    • 2014
  • 얼굴 인식은 표정과 포즈 또는 주변 조명변화 등 예기치 못한 영향으로 어려움이 크다. 또한 모바일 장치에서 실시간 처리를 위하여 모바일 환경의 한정된 제한이 필히 고려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 모바일 환경에서 주파수 영역의 정합 필터를 이용한 얼굴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얼굴 검출은 선형(Linear) 또는 위상(Phase-only) 정합 필터(Matched filter), 순차적인 검증 단계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먼저 얼굴 후보 윈도우 영역은 정합필터의 출력에 의하여 추출되고 그 다음에 피부색 테스트와 에지 마스크 필터링 테스트로 검출된 후보 영역 중 오경보(False alarm) 영역이 제거된다. 제안된 방법은 Android 플랫폼에서 JAVA를 이용하여 개발되었다. 실험 결과는 모바일 환경에서 얼굴 인식이 실시간으로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음을 보인다.

눈 윤곽선과 눈동자 영역 추출 기반 시선 추정 알고리즘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ye-Gaze Estimation Algorithm based on Extraction of Eye Contour and Pupil Region)

  • 염효섭;홍민;최유주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07-11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입력 얼굴 영상에서 눈의 윤곽선과 눈동자 영역을 추출하여 시선을 추정하는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눈 윤곽선과 눈동자 영역을 효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하여 먼저 입력 영상으로부터 얼굴 영역을 추출한다. 얼굴 영역 추출을 위하여 아시아인 얼굴 영상 셋을 확보하여 아시아인 피부색에 대한 YCbCr 범위를 사전에 정의하였고, 정의된 피부색 범위값에 따라 피부영역을 검출한다. 최대크기 피부 영역을 얼굴후보 영역으로 지정하고 검출된 얼굴 후보영역에 대한 상위 50%의 관심 영역 내에서 눈윤곽선과 색상 특성 분석을 이용한 눈 영역 검출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기존의 Haar-like feature 특성기반 눈 영역 검출방법에 비해 타이트한 눈 영역을 검출한다. 눈의 윤곽선을 포함하는 관심영역 전체를 기준으로 눈 영역을 3등분하고, 추출된 눈동자의 위치가 3등분된 영역에서 어느 영역에 중점적으로 위치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좌, 우, 정면 시선 방향을 추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20명의 실험자에 대한 5,616 장의 테스트 영상을 이용한 시선방향 추정 실험에서 약 91%의 정확도를 획득한다.

  • PDF

여대생의 미용 컬러렌즈 착용에 따른 이미지 변화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age Change Effect by Wearing Color Len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 방효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113-123
    • /
    • 2016
  • 경기도와 강원도 소재의 대학생 221명을 대상으로 컬러렌즈 착용 유무에 따른 이미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서 시각적으로 나타나는 평가요인을 살펴보았고, 평가요인에 따른 이미지 효과의 차이 및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컬러렌즈의 착용이 여성의 눈과 얼굴 이미지 변화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컬러렌즈 착용 이미지에 대한 감성평가는 화려함, 매력적, 세련됨, 호감도 등을 의미하는 항목이 높게 인지됐지만, 미착용 이미지는 편안함, 부드러움, 청순함 등을 의미하는 항목이 높게 인지되었다. 평가 항목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컬러렌즈 착용 이미지는 매력성, 청아함, 친숙성, 장식성 순으로 분류되었고, 컬러렌즈의 미착용 이미지는 친숙성, 매력성, 청아함, 장식성 순으로 분류되었다. 컬러렌즈를 착용한 눈의 장식적, 매력적, 청아한 요인은 눈과 얼굴 이미지를 변화된다고 인지하였다. 컬러렌즈 착용 유무의 각 요인과 이미지 효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착용 이미지에서는 장식적, 청아함, 매력적으로 인식할수록 눈과 얼굴 이미지를 변화시키는데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컬러렌즈의 착용은 눈과 얼굴의 이미지가 매력적, 청아함, 장식적으로 보이는 효과가 있었으며, 이러한 컬러렌즈 착용 효과는 자신의 개성에 맞도록 눈과 얼굴 이미지를 보완하기 위한 중요한 표현 수단임을 알 수 있었다.

3차원 개인 얼굴 모델 자동 생성 (Automatic Generation of the Personal 3D Face Model)

  • 함상진;김형곤
    • 전자공학회논문지S
    • /
    • 제36S권1호
    • /
    • pp.104-114
    • /
    • 1999
  • 본 논문에서능 2차원 칼라 동영상으로부터 3차원 개인 얼굴 모델을 자동 생성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다루었다. 복잡한 배경이 포함된 영상에서 얼굴 영역을 안정적으로 추출하기 위하여 피부 색상 분포에 근거한 색상 움직임 추출 방법을 이용하였다. 검출된 얼굴 영역 내에서 색상 정보과 경계선 정보를 활용하여, MPEG-4의 SNHC(Synthetic-Natural Hybrid Coding) 에서 제안하고 있는 개개인의 얼굴 특성을 표현하는 31개의 얼굴 특징점 파라메타(Facial Description Rarameter: FDP)를 자동 추출하였다. 추출된 2차원 얼굴 특징점을 1038개의 삼각형 메쉬로 이루어진 3차원 일반 얼굴 모델(Generic model)에 적용시켜 변형함으로써 개개인의 얼굴에 해당하는 모델을 자동 생성하였다. 제안하는 알고리듬은 컬러 동영상에서 배경의 복잡성, 얼굴 크기 등에 상관없이 정면상에 가까운 경우 안정적인 특징점을 추출하였으며, 펜티엄 PC에서 약 2초 이내에 개개인의 얼굴 모습에 유사한 얼굴 모델을 생성할 수 있었다.

  • PDF

여대생의 퍼스널 컬러 시스템 유형에 따른 얼굴색 분석 (Analysis of Facial Colo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Personal Color System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 이은영;박길순
    • 복식문화연구
    • /
    • 제20권2호
    • /
    • pp.144-153
    • /
    • 2012
  • This study performed a simultaneous sensory evaluation and color measurement, targeting 136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live in the Dae-Jeon region. the study measured participants'facial coloration under the condition of available light between 11 AM and 3 PM from Spring (May) to Autumn (October) in 2009. For statistic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 member variate analysis, and discriminant analysis were executed using SPSS version 18.0 of the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sensory evaluation, the blue undertone well matched to face type was dominantly distributed among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 participants. Second, the forehead showed a type of yellowish coloration and was relatively dark to cheeks. However the cheek displayed a reddish coloration and was relatively bright compared to the forehead from an evaluation of a cheek and forehead color measurement. Third, due to the investigation the of facial coloration variable, a yellowish and reddish chromaticity on the cheek were evident as a variable of facial coloration, which has an influence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types of facial color. As a result of the induced discriminant through these two color variables, the yellowish chromaticity appeared as a color variable to have a greater influence than the reddish chromaticity on the cheek.

서브블록 프로세싱을 이용한 정지영상에서의 얼굴 검출 기법 (Detecting Faces on Still Images using Sub-block Processing)

  • 유채곤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3B권4호
    • /
    • pp.417-420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임의의 배경을 가진 컬러 정지 영상 내에 존재하는 얼굴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영상의 배경, 얼굴의 수, 크기, 각도, 피부색상, 그리고 조명에 대하여 불변적인 특정을 가지며, 컬러 클러스터링, 컬러 스캐닝, 서브 블록 프로세싱, 얼굴 영역 검출, 그리고 얼굴 검증과정으로 구성된다. 제안 방법은 사전 트레이닝 단계나 추가적인 데이터베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논문의 제안방법은 보안 분야, 동영상과 정지영상의 색인, 그리고 기타 자동화된 컴퓨터비전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모바일 디스플레이에서 TS 알고리즘을 이용한 실시간 얼굴영역 검출 (Real Time Face Detection with TS Algorithm in Mobile Display)

  • 이용환;김영섭;이상범;강정원;박진양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1-64
    • /
    • 2005
  • This study presents a new algorithm to detect the facial feature in a color image entered from the mobile device with complex backgrounds and undefined distance between camera's location and the face. Since skin color model with Hough transformation spent approximately 90$\%$ of running time to extract the fitting ellipse for detection of the facial feature, we have changed the approach to the simple geometric vector operation, called a TS(Triangle-Square) transformation. As the experimental results, this gives benefit of reduced run time. We have similar ratio of face detection to other methods with fast speed enough to be used on real-time identification system in mobile environments.

  • PDF

안면 색윤(色潤) 분석을 통한 신장 기능 측정 방법 제안 (A Novel Method of Measuring the state of Kidney by Analysing the Color and Gloss of the Patient's Face)

  • 이세환;조동욱;강응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7C호
    • /
    • pp.634-641
    • /
    • 2010
  • 말기신부전의 경우 당뇨병, 고혈압 등의 4대 사망 요인의 합병증으로 이로 인한 의료비 지출과 삶의 질의 저하가 큰 사회적 문제로 작용하고 있다. 신장의 경우 이상이 생겨도 자각증상이 거의 없기 때문에 진단이 어렵고 질환 발병시 완치 및 기능회복이 어렵기 때문에 예방 및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은 신장 기능의 이상 여부를 측정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한의학의 망진법에서 진단의 지표가 되는 색윤을 활용하고자 한다. 안면 영상에서의 반사도 즉 색윤의 변화와 신장 기능과의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편광필터를 사용하여 색윤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통한 실험을 진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