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e Design

검색결과 1,727건 처리시간 0.021초

공동주택 시공표준화를 위한 조립기준면 및 표준마무리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ndard Joint Material and Reference Plane for the Standard of Construction in the Apartment)

  • 임석호;박근수;이가경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9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30-235
    • /
    • 2009
  • In our country, the application of the design method of face to face dimension in wall-slab apartment has passed 10 years. So MC design method has fixed in the design step to some degree. In Design and Work Execution of House the exclusive area of the apartment was calculated by face to face dimension. And the term of face to face dimension was known broadly to clients, construction company, etc. But design method of face to face dimension is not to simply extend the room size so far as wall depth in design process but to ensure the actual space should be considered with efficient use and assembly of building components. That is to say, Design method of face to face dimension is not to be defined by design step but to be related with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However in construction process the point of face to face design method was not understood even now.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tract the effect and question of face to face design method in construction process by survey of actual condition of structure and construction quality, and compare this result with existing construction method. The following project of this study is to survey of actual condition of interior components such as gypsum board, windows & doors etc. Therefore this study is to induce architectural long-life through architectural standardization construction and component's exchange, and, by the subject of the study on Apartment to have design guideline and basis for joining part between Gypsumboard and windows.

  • PDF

공동주택 시공표준화를 위한 조립기준면 및 표준마무리재에 관한 연구 - 석고보드 마감재와 창호재의 접합부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andard Joint Material and Reference Plane for the Standard of Construction in the Apartment - Joining Part between Gypsumboard and Windows -)

  • 임석호;박근수;이가경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31-38
    • /
    • 2009
  • In our country, the application of the design method of face to face dimension in wall-slab apartment has passed 10 years. So MC(Modular Coordination) design method has fixed in the design step to some degree. In Design and Work Execution of House the exclusive area of the apartment was calculated by face to face dimension. And the term of face to face dimension was known broadly to clients, construction company, etc. But design method of face to face dimension is not to simply extend the room size so far as wall depth in design process but to ensure the actual space should be considered with efficient use and assembly of building components. That is to say, Design method of face to face dimension is not to be defined by design step but to be related with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However in construction process the point of face to face design method was not understood even now.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tract the effect and question of face to face design method in construction process by survey of actual condition of structure and construction quality, and compare this result with existing construction method. The following project of this study is to survey of actual condition of interior components such as gypsum board, windows & doors etc. Therefore this study is to induce architectural long-life through architectural standardization construction and component's exchange, and, by the subject of the study on Apartment to have design guideline and basis for joining part between Gypsumboard and windows.

디자인 과정 단계별 특성에 따라 활용되는 협업 방식 분석 (Analysis of Collaboration Method Us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ge of the Design Process)

  • 정영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300-308
    • /
    • 2021
  • 코로나19의 유행은 면대면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진행되어온 디자인 협업에 큰 변화를 일으켰다. 디자이너들은 대면 미팅이 어려운 상황에서 화상 회의 및 온라인 문서 도구 등을 적극 활용하게 되었고, 이는 특정 디자인 과정에서 오히려 비대면 협업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경험을 하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디자인 과정 중 어떤 활동에 비대면 협업이 혹은 대면 협업이 더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코로나19 유행 이후에 진행된 사용자 경험 디자인 프로젝트 3건을 회고적 인터뷰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디자인 과정, '발견, 정의, 개발, 전달'의 세부 활동 중 디자이너들의 긴밀한 의사소통을 통해 창의적 문제 해결이 필요한 부분에는 대면 협업이, 디자이너 각각이 자신만의 공간을 확보하며 작업을 진행할 때는 비대면 협업이 선호되며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비대면 협업을 진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디자인 도구의 특성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되고 논의된 내용들은 이후 디자인 과정에 관한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웃도어 라이프 활성화를 위안 페이스 커버 개발 연구 (The Development of Face Cover Designs to Activate Outdoor Life)

  • 김찬주;노미경
    • 복식
    • /
    • 제59권1호
    • /
    • pp.47-59
    • /
    • 2009
  • This paper aimed at the development of face covers which is face protection articles for blocking UV rays and yellow sands, with a view to assist the further activation of outdoor life. The four-stage design process of field study, design, design evaluation, final selection of designs was set up for the effective product development. Field study included on-line and off-line market survey on the products for sale in market and observation on those wearing face covers. Depth interviews were done to know consumer understandings and satisfaction levels for current face covers. The results of market survey showed that most of the face covers currently in the market were mask types, which were produced for the blocking of dust and yellow sands rather than UV ray protection. The major clients of the mask were the women in their 30's-50's and the designs for these clients were very limited. Since the number of younger women and men enjoy the outdoor sports has increased, the face covers for these people should be developed. For this purpose, the direction of new face cover design had 2 points: diversification of design in terms of color, material, shape and giving seasonal differences. 12 designs were designed on the first design stage, but after both wearing test by 16 testees and UV ray blocking test to evaluate these designs, 6 face cover designs were finally selected.

비대면 설계교과목의 학습성과(PO) 평가체계 개발 (A Development of Program Outcome(PO) Evaluation System of Non-face-to-face Capstone Design)

  • 이규녀;박기문;최지은;권영미
    • 공학교육연구
    • /
    • 제24권4호
    • /
    • pp.21-29
    • /
    • 2021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vise a BARS evaluation system as a performance evaluation plan for non-face-to-face capstone design and to verify the validity through the expert FGI as the remote education is highlighted as a new normal standard in the post corona epoch.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non-face-to-face capstone design is a competency centered subject that allows you to develop the engineering and majoring knowledge and its function and attitude, and the achievement of program outcome is the objective competency, and the researcher proposes the BARS method evaluation, one of competency evaluation method, as a new performance evaluation plan. Second, for the evaluation of PO achievement of non-face-to-face capstone design, the researcher deduced 20 behavior identification standard(anchor) of BARS evaluation system, and developed the achievement standard per 4 levels. Third, as the evaluation tool of non-face-to-face capstone design, the presentation data(PPT), presentation video, product such as trial product(model), non-face-to-face class participation video, discussion participating video, team activity report, and result report for the evidential data of BARS evaluation were appeared as proper. Finally, the BARS evaluation plan of non-face-to-face capstone design would be efficiently mad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evaluation plan, the establishment of grading standard of BARS evaluation scale, the determination of evaluation subject and online BARS evaluation site.

버추얼 클래스룸을 활용한 소프트웨어교육 온라인 대면 교수 설계 모형 (Online face-to-face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Software Education using Virtual Classroom)

  • 서성채;김철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75-84
    • /
    • 2022
  • 현재, 교육은 대면수업과 온라인의 특징을 활용한 온·오프라인 통합 모델인 블렌디드러닝을 이용하는 교수 설계를 통해 진행되고 있다. 코로나 19 이후 교육의 패러다임이 대면 수업에서 비대면 수업으로 변화되면서 교육 현장에서는 변화에 대응하는 교수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온라인을 활용한 교수 설계모형으로, 비실시간으로 온라인 수업을 진행한 후, 실시간으로 버추얼 클래스룸을 활용하여 온라인 대면 수업을 진행하는 교수 설계 모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제안한 버추얼 클래스룸을 활용한 온라인 대면 교수 설계 모형을 소프트웨어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 전략을 제시하였다. 제안한 교수 설계 모형은 대면 교육 특징을 온라인에서 수용할 수 있는 교수 설계로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에 대비할 수 있을 것이다.

현대패션의 관점에서 본 디지털 페이스디자인 (Digital Face Design with Reference to Contemporary Fashion)

  • 이세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9호
    • /
    • pp.363-371
    • /
    • 2020
  • 패션산업의 디지털 혁신을 배경으로 한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이미 전 세계 많은 사용자들을 확보하며 패션산업에까지 영향을 미친 디지털 기반의 페이스디자인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에 증강현실 기반의 디지털 페이스디자인의 대표적 사례들을 유형화하고 이를 관통하는 지향 가치를 도출함으로써 향후 패션산업의 전개 방향에 대한 미래 비전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을 통해 대중에게 디지털 필터 기반의 페이스디자인을 제공하는 3D 디자이너 작품들을 연구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사례 탐색을 통해 현대패션의 관점에서 디지털 페이스디자인의 지향 가치를 관찰한 결과 실험적 조형 지향, 유희적 경험 지향, 미래적 기술 지향 등의 세 가지 경향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반의 페이스디자인으로 범위를 한정한 것이나, 이를 통해 나타난 결론들은 패션의 전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사항들이다. 이에 앞으로 페이스디자인의 범위를 넘어선 디지털 증강현실 기반의 패션디자인과 패션커뮤니케이션 관련의 새로운 현상에 대한 연구를 기대할 수 있다.

국가공무원을 위한 디지털 기반 비대면 교수설계모델 개발 (The Development of a Non-Face-to-Face Instructional Design Model based on Digital Technology for Public Servants)

  • 위영은;이성일;이지영;김우철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557-57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공무원을 위한 디지털 기반 비대면 교수설계모델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비대면 교수설계 방향을 검토하였고, 비대면 교육 경험이 있는 교수자 및 학습자 총 1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여 국가 공무원 비대면 교수설계의 성공요인을 파악하였다. 또한 교수설계 모델의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교수설계 및 교육운영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국가공무원을 위한 디지털 기반 교수설계 모델은 학습동기를 강화하고 교육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학습목표와 내용 설계의 중요성이 반영되었으며, 비대면 교육상황에서 교수자가 구체적이고 명확한 수행활동을 지원할 수 있도록 상세수행방안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교수설계모델은 공공 인적자원개발의 교육품질 제고를 위한 기준으로 확장이 가능하며, 학습자 유형과 특징에 맞게 교수학습가이드로 활용될 수 있다.

UX 디자인 워크숍 비대면 전환 프레임워크 연구 (The Framework of the Transition of UX Design Workshops into the non-Face-to-Face)

  • 성다인;하광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309-321
    • /
    • 2022
  •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의 확산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대면으로 이루어지던 일상에 대한 변화가 요구되면서 빠른속도로 다양한 활동이 비대면 방식으로 전환되거나 새로운 비대면 활동 방법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대면 방식의 활동을 단순히 디지털 기술을 이용해 비대면화하는데 한계가 존재하며 이는 역설적으로 그간 디지털을 중심으로 해결책을 제시해온 UX 디자인 분야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으며 협업을 강조하는 UX 디자인 특성에 기인한다. 특히 UX 디자인 분야에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집하고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등 생산적 활동 방법인 워크숍 활동에서 소통과 협업 측면에서 원활한 진행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UX 디자인 분야에서 워크숍 활동을 특징을 파악하고 워크숍 활동의 주요 행동에 대해 효과적으로 비대면 전환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 과정에서 닐슨노먼그룹이 정의한 UX 디자인 분야의 워크숍 활동 유형 중 아이디어 생산 및 발산과 수렴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디자인 워크숍 유형을 대상으로 하여 표준 프로세스를 도출하였다. 표준 프로세스에 워크숍 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방법론과 소통 및 디자인 활동 협업을 위한 비대면 서비스를 조합하여 비대면 워크숍 활동을 구성하는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다양한 워크숍 유형에 대응하여 비대면화를 위한 적용 가능성과 효용성을 확인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UX 디자인 워크숍 활동에 대해 효율적인 비대면 전환과 워크숍 활동을 통한 이해관계자들의 협업 측면에서 활용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