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SH-P

검색결과 302건 처리시간 0.027초

Luteal estradiol supplementation in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ntagonist cycles for infertile patients in vitro fertilization

  • Kwon, Su-Kyoung;Kim, Chung-Hoon;Lee, Kyung-Hee;Jeon, Il Kyung;Ahn, Jun-Woo;Kim, Sung-Hoon;Chae, Hee-Dong;Kang, Byung-Moo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0권3호
    • /
    • pp.131-134
    • /
    • 2013
  • Objective: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estradiol to luteal progesterone supplementation in GnRH antagonist cycles for infertile patients undergoing IVF/ICSI. Methods: One hundred and ten infertile patients, aged 28 to 39 years, were recruited for this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vaginal progesterone gel (Crinone) along with 4 mg estradiol valerate (group 1, n=55) or only Crinone (group 2, n=55) for luteal support. A GnRH antagonist multiple dose protocol using recombinant human FSH was used for controlled ovarian stimulation (COS) in all of the subjects. The COS results and pregnancy outcomes of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Results: Group 1 and 2 were comparable with respect to the patient characteristics. The COS and IVF results were also comparable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clinical pregnancy rate (PR) and multiple PR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the embryo implantation rat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1 than that in group 2 (22.2% vs. 13.3%, p=0.035). The incidence of luteal vaginal bleeding (LVB)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1 (7.4% vs. 27.8%, p=0.010). Conclusion: The addition of estradiol to luteal progesterone supplementation in GnRH antagonist cycles reduces the incidence of LVB and increases the embryo implantation rate in infertile patients undergoing IVF/ICSI.

불임 여성의 난소로부터 회수된 미성숙 난자의 체외 성숙과 배양에 관한 연구 (Study on In Vitro Maturation and Culture of Immature Oocytes Collected from Ovaries of Infertile Women)

  • 이석윤;손원영;윤산현;이원돈;박창식;임진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0권4호
    • /
    • pp.333-340
    • /
    • 2003
  •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maturation and the development to the blastocyst stage of immature oocytes collected from patients with high risk of 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 (OHSS). Materials and Methods: Cumulus-oocyte complexes (COCs) were collected following only HCGpriming for non stimulated IVF-ET cycles of the patients. At the time of oocyte collection, COC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in accordance with their appearance (Group I: oocytes with dispersed cumulus cells; Group II: oocytes with compacted cumulus cells; Group III: oocytes with sparse cumulus cells). The in vitro maturation and blastocyst development rates of the COCs were compared among these groups. From August 2001 to June 2002, 48 IVM/IVF-ET cycles from 42 patients (mean age: $32.4{\pm}3.8$ years) were perform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OHSS, the patients were primed with 10, 000 IU HCG alone 36 h before oocyte collection without gonadotropin stimulation. Oocytes were aspirated on cycle days from 7 to 13. The normal COC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appearance. The aspirated immature oocytes were cultured in YS maturation medium containing 30% (v/v) human follicular fluid (HFF), 1 IU/ml FSH, 10 IU/ml HCG and 10 ng/ml rhEGF. Fertilization was induced by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ICSI). All zygotes were co-cultured with cumulus cells in $10{\mu}l$ YS medium containing 10% HFF until day 7 after oocyte collection. Blastocyst transfer was performed on day 5 after ICSI. Results: Th e mean number of oocytes cultured in the IVM/IVF cycles was $24.7{\pm}10.6$. Of 1185 COCs, those assigned to Group I, II and III were 470 (39.7%), 414 (35.0%) and 301 (25.4%), respectively. The maturation rate (94.5%, 444/470, p<0.05) in Group I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roup II (62.8%, 260/414) and Group III (73.1%, 220/301). Especially, 30.9% of COCs in Group I (145/470) was matured on the day of oocyte aspira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rates of fertilization and cleavage among the three groups. The development rate to the blastocyst stage in Group I (54.6%, 206/377, p<0.05)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Group II (33.0%, 68/206) and Group III (30.1%, 52/173). Twenty-four clinical pregnancies (50.0%) was obtained and 22 pregnancies (45.8%) are ongoing. Implantation rate in the present study was 24.6%.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ppearance of COCs and the developmental competence of the immature oocytes in non stimulated IVM/IVF cycles.

한우 체외수정란의 동결보존시 평형시간과 배 발달단계가 생존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quilibration Time and Cell Stage on the Survival of IVF Bovine Embryos Cryopreserved by Vitrification)

  • 공일근;주영국;이은봉;김용권;박충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14
    • /
    • 1994
  • The present experiments on cryopreservation were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olution toxicity, equilibration time and cell stages on the post-thaw survival of bovine IVF embryos. The oocytes were matured in vitro(IVM) for 24 hrs. in TCM-199 supplemented with 35 $\mu$g /ml FSH, 10 $\mu$g /ml LH, 1 $\mu$g /ml estradiol-17$\beta$ and granulosa cells at 39$^{\circ}C$ under 5% $CO_2$ in air. They were fertilized in vitro(IVF) by epididymal spermatozoa treated with heparin for 24 hrs., and then the zygotes were co-cultured in vitro(IVC) with bovine oviductal epithelial cells for 7 to 9 days. The bovine IVF embryos were exposed to the EFS solution in one step at room temperature, kept in the EFS solution during different period for toxicity test, vitrified in liquid nitrogen, and thawed rapidly. 1. after the bovine blastocysts were exposed to EFS solution for 2 min. at room temperature and then they were washed in 0.5 M sucrose solution and TCM-199, they were cultured to examined cryoprotectant induced injury during exposure, Most of the embryos(95.0%) developed to reexpanded blastocoels. However, when the exposure time was extended to 5 and 10 min, these development rates dropped dramatically in 5 min. (69.5%) and 10 min. (47.4%), respectively, 2. When the bovine IVF embryos were vitrified in EFS solution after the equilibration for 1 and 2 min. exposure, The embryos to have reexpanded blastocoels following thawing, washing and culture processes were found to he 82.6 and 73.9%, respectively. However, when the exposure time was extended to 3 min, this survival rate dropped to 18.2%. The optimal time for equilibration of bovine IVF blastocysts in EFS solution seemed to he 1~2 min. 3. When the bovine IVF embryos were equilibrated for 1 min. the significantly (P<0. 05) higher post-thaw survival rates were obtained from the embryos of blastocyst stage(81.3%) than morulae stage(5. 1%). The optimal cell stage for viterification with EFS solution proven to he blastocyst stage in bovine IVF embryos. 4. The number of blastomeres of blastocyst stage was examined with nuclear staining with Hoechst 33342 during 7 to 9 days post-insemination. The cell counts of frozen bovine IVF embryos were found significantly(P$\geq$7.5 and those of the fresh embryos 76.6$\geq$7. 1, which were cultured in the sarne period and conditions as frozen embryos.

  • PDF

용혈검체가 핵의학 검체검사 결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molysis sample on the Result of Nuclear Medicine Blood test)

  • 김진태;이종필;이수빈;김동민
    • 핵의학기술
    • /
    • 제25권1호
    • /
    • pp.41-43
    • /
    • 2021
  • 용혈 검체는 혈액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이다. 핵의학 분야 또한 용혈 검체를 부적합검체를 분류하고 채혈실에 재 채혈을 요구하기도 한다. 이는 신속한 검사를 진행해야 하는 검사실 입장에선 장애 요소이기도 하다. 그러나 진단검사의학에서는 용혈이 각 검사 종목에 미치는 영향이 많이 알려진 반면, 핵의학에서는 용혈이 얼마나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을 통해 알려진 바가 없어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19명의 환자에서 한 명당 각2개의 검체를 획득하고, 하나는 정상적인 혈청을 얻고, 다른 하나는 인위적으로 용혈 혈청을 획득했다. 그리고 각 종목별(AFP, CEA, PSA, CA-125, CA19-9, Thyroglobulin, Prolactin, E2, Insulin, T3, T4, TSH, FT4, TG-Ab, Anti-TPO, TBII, LH, FSH, Testosterone, PTH, DHEA-s, Cortisol, C-peptide)로 검사를 실시 한 후, 용혈검체와 정상 검체간의 결과값을 t-test를 통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확인해 보았다. 실험 결과 키트 내 매뉴얼에 용혈검체를 사용하지 않도록 한 검사 종목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종목에서 용혈이 핵의학 검사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인슐린과 C-peptide의 경우에는 용혈검체가 정상검체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검체의 수가 적어 모든 검사 결과에 일반화 시킬 수는 없으나, 모든 용혈 검체를 부적합 검체로 간주하여 재채혈을 요구할 필요가 없음 또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복잡한 핵의학 검사실의 접수 업무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The Effect of Oocyte Activation on Development of Porcine Cloned Embryos

  • Kim, Y.S.;Lee, S. L.;Park, G. J.;S. Y. Choe
    • 한국발생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발생생물학회 2003년도 제3회 국제심포지움 및 학술대회
    • /
    • pp.124-124
    • /
    • 2003
  •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embryos cloned by nuclear transfer (NT)have been dependent on a wide range of known factors including cell cycle of donor and recipient ooplast, oocyte quality, NT procedure and oocyte activation.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development of cloned porcine embryos following different activation treatments. Cumulus-oocyte complexes (COCs) were aspirated from 26 mm follicles of slaughterhouse ovaries and cultured for 22 h in NCSU #23 medium supplemented with 10% porcine follicular fluid, 0.57 mM cysteine, 0.5 g/mL LH, 0.5 g/mL FSH and 10 ng/mL EGF. The COCs were further cultured for an additional 22 h in the same medium at $39{\cird}C$ in an atmosphere of 5% $CO_2$ in air, without hormonal supplements. Primary cultures of fibroblasts isolated from a female fetus on day 40 of gestation were established in DMEM + 15% FCS. For nuclear donation, cells at the 5th-6th passage were cultured in DMEM +0.5% FCS for 5 days in order to arrest the cells in G0/Gl. After enucleation, oocytes were reconstructed by transfer of donor cells and fusion with three DC pulses (1.4 KV/cm, 30 sec) in 0.28 M mannitol containing 0.01 mM $CaCl_2$ and 0.01 mM $MgCl_2$. Eggs were then divided into three treatment groups, control (without further treatment, Group 1), eggs cultured in 10 g/ml cycloheximide (CHX) for 5 h (Group 2), and eggs cultured in 1.9 mM 6-dimethylaminopurine (6-DMAP) for 5 h (Group 3). The eggs were then cultured in sets of 30 in 60 I drops of NCSU#23 supplemented with 4mg/ml BSA (essentially fatty acid free) until day 7 at $39{\circ}C$ in a humidified atmosphere of 5% $CO_2$. On day 4 the culture were fed by adding 20 I NCSU #23 supplemented with 10% FBS. Development rates into blastocysts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Group 3 embryos compared to Group 1 controls ($27.6 \mu 2.7% vs. 20.1 \mu 4.1%$, respectively), but rates did not differ in Group 2 compared to control ($23.8 \mu 5.7%$). Total cell number in Group 3 blastocysts was however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in Groups 1 and 2 ($44.6 \mu 2.4 vs. 19.9 \mu 1.9 and 21.9 \mu 2.1$,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6-DMAP is more efficient than cycloheximide in the activation of electrically fused NT oocytes during in vitro production of cloned porcine embryos.

  • PDF

Amino Acids Supplemented with Culture Medium Stimulated On Development of Porcine Embryos

  • Lee, Y.S.;S.H. Song;Lee, S.N.;K.H. Chung;Park, C.S.
    • 한국수정란이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정란이식학회 2002년도 국제심포지엄
    • /
    • pp.80-80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a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mino acids supplemented with culture medium on development of porcine embryos cultured in vitro. Cumulus oocyte complexes (COCs) were cultured in the maturation medium containing hormones (0.5$\mu\textrm{g}$/$m\ell$ LH, 0.5$\mu\textrm{g}$/$m\ell$ FSH and 1$\mu\textrm{g}$/$m\ell$ estradiol-17${\beta}$) for 20-22 h at 39$^{\circ}C$ in an atmosphere of 5% CO$_2$in air. Subsequently, COCs were cultured in hormone-free maturation medium for 20-22 h. After maturation for 40-44h, oocytes were removed cumulus cells by pipetting and cultured with epididymal sperm for 5 h in the mTBM. Embryos obtained were divided in 4 groups (1) cultured in NCSU 23 containing 0.4% BSA to blastocyst stage(Control), (2) essential amino acids (EA), (3) non-essential amino acids (NA), (4) mixture of essential and non essential amino acid (EA+NA). All treated groups(2-4) were used a glucose free NCSU 23 medium supplemented with pyruvate (0.33 mM), lactate (4.5 mM) to morula stage. From morula to blastocyst stage embryos of all treated groups were cultured in NCSU 23 containing 0.4% BSA. The rates of cleaved oocytes at 48 h after IVF were from 82% to 88% in the groups of control, EA, NA and EA+NA, respectively. The in vitro developmental rates into blastocysts in the groups of EA and EA+NA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of group of control (35.1, 35.4 vs. 19.4%, respectively), however, no significant (P<0.05) between control and NA. In conclusion, supplemented with essential amino acid or mixture of essential and non essential amino acid in the culture medium at morula stage increased the rate of development to blastocyst on in vitro produced porcine embryos.

  • PDF

옻나무 유래 Flavonoid 처리가 흰쥐 Leydig 세포의 체외배양에서 Testosterone 분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lavonoid from Rhus verniciflua on Testosterone Secretion by Rat Leydig Cells In Vitro)

  • 성환후;최선호;장유민;민관식;우제현;장원경;정남철;나천수;정일정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5-130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옻나무 유래 F가 성숙 수컷 흰쥐의 생식 기능에 직접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횐쥐 Leydig 세포를 분리, 회수하여 체외배양에서 F 단독 혹은 LH와의 공배양하여 배양액의 testosterone 농도를 조사하였다. 1. Leydig 세포를 36시간까지 체외 배양하여 testosterone의 농도를 조사한 결과, 6시간 배양구에 비해 24시간 배양구가 가장 높은 농도(P<0.05)를 나타내었으며 36시간 배양에는 감소되었다. 2. F를 단독 첨가하여 12시간 배양한 실험에서 F 80ng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P<0.05) 높은 testosterone 분비를 보였다. 3. LH 10ng 및 100ng 첨가구의 시간별 testosterone 분비의 변화로는, LH 10ng 첨가구에서는 6∼12시간 이후, LH 100ng 첨가구에서는 3∼6시간 사이에서 증가를 보였으며, 6시간에는 두 처리구 모두 유의차를 보였다. 4. LH 10ng 첨가 실험에서는 LH 10ng+F 40ng에서 12시간 배양 시, 유의적으로 높은 testosterone 분비를 확인하였다. 5. LH 100ng과 F의 공배양실험에서 3시간 배양한 결과, F20ng 및 F40ng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높은 testosterone의 분비를 보였다. 6. Leydig 세포에 LH+IGF-I 첨가효과를 비교 검토한 결과, IGF-I 50ng과 100ng 첨가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LH 100ng 단독처리와 유의차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옻나무 유래 Flavonoid는 횐쥐 정소 Leydig 세포의 testosterone 분비를 촉진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LH+F구에서 testosterone 분비를 더욱 향상시킴으로써 옻나무 유래 F는 포유동물의 생식기능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난소당 난자회수율 (22.6개/63.8%)은 비발정기의 것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5). 발정기의 난소에서 110 $\mu\textrm{m}$ 이상의 난자의 MI까지의 핵발달율 (24.3%)은 110 Um이하의 것 또는 비발정기의 110 $\mu\textrm{m}$ 이상 및 이하의 난자의 것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2.5, 6.8 및 0.0%; P <0.05). 발정기의 110 $\mu\textrm{m}$ 이상 난자의 AT 또는 MII까지의 핵 발달율은 다른 처리군보다 높게 발달하였다. TCM199에서 MI까지의 핵발달율 (21.8%)은 $\alpha$-MEM (10.0%)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 0.05). 그러나 AT까지의 핵 발달율은 TCM199 (7.3%)과 (-MEM (1.1%) 간에는 유의적 차이가 있었으나 (P<0.05), MII까지는 TCM199 (0.9%)과 (-MEM (1.1%)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는 110 $\mu\textrm{m}$ 이상의 난자는 발정기의 난소로부터 더 많은 난자를 회수할 수 있었고, 110 $\mu\textrm{m}$ 이상의 난자들이 MI, AT까지의 핵발달 능력이 높았다. 또한 체외성숙배양액 시 TCM199이 $\alpha$-MEM보다 Mi과AI까지 높은 발달율을 보였다.U/$m\ell$ FSH+10 $m\ell$U/$m\ell$ LH 의 첨가가 생쥐 preantral follicles의 체외배양을 위한 적정조건임을 제시하고 있다., 30, 40 $\mu\textrm{g}$/kg을 각각 2일간 투여했을 때 신장, 비장 및 간의 중량은 정상대조군과

  • PDF

재래산양의 체세포 핵이식에 의한 복제수정란의 체외발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In Vitro Development of Cloned Embryos by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in Korean Native Goats)

  • 박희성;김태숙;정수영;이윤희;정장용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5-112
    • /
    • 2005
  • 본 연구는 재래산양에서 복제 수정란의 생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체세포 핵이식을 실시하여 공핵세포의 종류, 핵이식란의 활성화 처리 방법 및 수핵난자의 조건이 체외발달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검토하여 핵이식란 생산을 위한 최적의 조건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공핵세포의 종류에 따른 핵이식란의 체외발달율은 융합이 이루어진 핵이식란의 활성화 처리 후 분할율은 귀 유래 섬유아세포를 공핵세포로 사용하였을 때가 $40.5\%$로서 태아 유래 섬유아세포를 공핵세포로 사용하였을 때의 $55.5\%$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상실배 또는 배반포기로의 발달율도 각각 $6.7\%$$16.0\%$로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핵이식란의 활성화 방법에 따른 체외발달율은 ionomycin+6-DMAP 처리를 하였을 때 분할율은 $79.0\%$로서 전기자극을 주었을 때의 $9.5\%$보다는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상실배 또는 배반 포기로의 발달율도 ionomycin+6-DMAP 처리를 하였을 때는 $15.6\%$가 발달하였으나, 전기 자극을 주었을 때는 4-세포기 이후로의 발달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체세포 핵이식란은 단위발생란에 비하여 분할율$(66.1\%\;vs\;59.18\%)$ 및 상실배 또는 배반포배로의 발달율$(19.0\%\;vs\;0.0\%)$이 유의적 (P<0.05)으로 낮았다. 단위발생란의 분할율은 체내 성숙난자에서 $86.8\%$로서 난포란의 $69.0\%$보다는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단위발생란의 상실배 또는 배반포기로의 발달율에 있어서도 체내 성숙난자$(50.0\%)$가 난포란$(23.6\%)$보다 유의적 (p.<0.05)으로 발달율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재래산양의 체세포를 이용한 복제수정란의 생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수의 난자 확보를 위한 과배란처리 방법의 개선, 난포란의 이용효율 개선 및 활성화 처리방법 등이 확립되어야 하며, 후기배로의 발달율 향상을 위해서는 최적의 체외 배양조건 확립이 시급한 것으로 생각된다.

재래산양의 체내 및 체외유래 난자의 활성화 처리방법 및 배양조건이 단위발생란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tivation Treatments and Culture Condition on In Vitro Development of Caprine In Vivo and In Vitro Oocytes)

  • 박희성;김태숙;이윤희;정수영;이명열;진종인;박준규;이지삼;김충희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28권3호
    • /
    • pp.181-185
    • /
    • 2004
  • 본 연구는 동물복제 및 형질전환 동물생산 등의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재래산양의 oocyte를 단위발생을 유도하여 회수난자의 조건, 활성화방법, 배양조건 등이 단위발생란의 체외발달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재래산 양의 최적의 배양조건을 확립하고자 실시하였다. 난자의 회수는 체중 15~25 Kg 전 ㆍ 후의 성숙한 미경산 재래산양에 FSH와 PMSG 를 사용하여 과배란을 유기하여 hCG 투여 후 제 35시간째에 외과적인 방법으로 in vivo (체내성숙) 난자는 난관을 관류하는 방법으로 회수하였고, in vitro (체외성숙) 난자는 난포로부터 흡입하여 난포란을 채취하여 약 22시간 체외성숙을 실시하였다. 활성화 처리는 전기자극법과 Ionomycin + 6-DMAP를 처리하여 단위발생을 유도하였다. 복제수정란의 배양은 M16, TCM-199 및 mSOF 배양액으로 6~7일 동안 체외배양을 실시하였다.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전기자극 및 ionomycin + 6-DMAP 처리를 하였을 때 분할율은 각각 64.1 및 76.5%로서 이들간에 차이는 없었다. 배반포기로의 발달율은 전기자극방법으로는 전혀 발달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ionomycin +6-DMAP 처리방법에서는 15.6%가 배반포로 발달하였다. In vivo 난자와 in vitro 난자를 활성화를 유도하였을 때 분할율은 86.8 및 69.0%로서 이들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4-세포기(93.9% vs 66.1%), 8-세포기(90.9% vs 37.0%) 및 상실배기(89.4% vs 23.6%)는 이들간에 유의적(P<0.05)인 차이가 있었으며, 배반포기로의 발달율은 체내성숙난자가 50.0%로서 체외성숙난자의 0.8%보다는 유의적으로 높았다. 활성화를 유도한 난자를 mSOF 배양액으로 체외배양을 실시하였을 때 분할율은 81.0%로서 TCM-199 +oviduct cell 의 64.3% 및 Ml6 배양액의 51.6%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배반포기로의 발달율은 mSOF 배양액에서는 3.4%가 발달하였으나, TCM-199+ oviduct cell 배양액과 M16 배양액에서는 전혀 발달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포유동물 난자의 단위발생의 유도 및 체외배양시 난자의 공급원, 난자의 활성화 방법 및 배양조건 등이 차후 단위발생란의 체외발생율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해 준다.

격심한 운동후 남성 혈청 내 부신 및 정소 Androgen 변화 (Adrenal and Testicular Androgens in Serum of Men after Physical Endurance Training)

  • 윤용달;이창주;이준영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5권1호
    • /
    • pp.73-79
    • /
    • 2001
  • 최근 격심한 운동은 시상하부-뇌하수체-생식소 (HPG)축의 교란을 일으켜 여성과 남성의 생식기능에 장애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격심한 운동을 하는 여성 운동선수의 경우는 과소월경, 무배란, 황체기 단축, 성성숙 지연등에 따른 생식호르몬의 변화가 유발된다. 남성 운동선수의 경우는 과도한 운동, 정신적 장애와 긴장, 군 훈련 등 격심한 운동으로 생식호르몬의 분비에 이상이 생긴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임상적인 증상은 미약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격심한 운동이 생식이상을 초래하는 원인을 밝히는 연구의 일환으로, 정상 남자가 장기적 운동 (3개월 이상), 단기간의 격심한 운동 (1주일),그리고 1${\sim}$2시간의 집약된 심한 운동 후 혈청내 호르몬의 변화를 방사면역측정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세 가지 운동 형태의 경우 모두가 부신 및 고환에서 분비되는 총 testosterone (TT), 유리형 T (fT), DHEA, A의분비 변화를 일으켰다. 특히 단기간과 1${\sim}$2시간의 격한 운동 후 일시적으로 증가되었다가, 이어 정상치 이하로 감소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Cortisol, DHEAS, ACTH 등은 운동 후 지속적인 증가를 초래하였다. 장기간의 운동 후에서는 생식소자극 호르몬의 분비가 큰 변동이 없었으나, 단기간 운동 후에는 FSH의 감소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부신 및 고환의androgen이 격한 운동에 의해 감소되며, 장기간의 지속적인 남성호르몬의 변화는 생식기능의 이상을 초래하는 원인이 된다고 가정된다. 또한 단기간의 격한 운동이 HPG축 호르몬의 변화를 유발하나, 장기간의 운동으로 일어나는 androgen의 감소는 HPG축 이외의 요인(들)에 의해 남성호르몬의 분비이상이 생긴다고 가정된다.후 80%, 95%층에서 X 정자가 많이 회수되고, 활동성이 증가하는 것뿐만 아니라 정자의 질도 개선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1kDa과 GA110 만이 항원-항체 반응을 나타내었다. 이 같은 결과로 미루어 사람의 난포액과 혈청에는 gelatinase A의 독특한 isoform인 GA110이 있으며 특히 난포액내의 GA110은 수란관액성분에 의해 선택적으로 분해되는 것으로 여겨진다.두냔 tsuchigae, S. nigripinni morii, M. jeoni, C. splendidus, P. koreanus, C. lutheri, I. koreensis, C. herzi, R. brunneus 등으로 본 종들의 서식 상태는 하천의 오염 정도 및 하천개수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으므로 어류서식 환경을 유지시키기 위해서 보다 적극적인 하천 수질관리의 대책과 방안이 수립되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와 운동, H-R도상에서의 별의 특성과 진화 등이다. 탐구 과정에 대한 학생의 성취도는 비교적 높으므로 이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에 대해 학생의 오답 유형을 참고하여 기본 개념 지도에 보다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Cr은 FW에서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SW에서는 실험 초기에 감소하다 24시간 이후에는 증가 후 일정한 양상을 보였다. Pb은 FW에서 전반적으로 감소했지만 SW에서는 초기에 급격히 증가 후 다시 급격히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Pb 또한 Cu, Cd, As와 마찬가지로 SW1&2에서 제거속도가 가장 빠르게 나타났다. FW 상층수 중 Hg는 시간에 따라 급격히 감소했고, 제거속도는 Fw5&6에서 가장 느렸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할 때 벼가 자라고 있고 이분해성 유기물이 풍부한 FW1&2, FW3&4 토양과 상층수에서는 유기물의 분해 활동이 활발하였지만, 벼가 경작되지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