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Measure

검색결과 1,394건 처리시간 0.029초

Pressure Distribution in Stump/Socket Interface in Response to Socket Flexion Angle Changes in Trans-Tibial Prostheses With Silicone Liner

  • Kang, Pil;Kim, Jang-Hwan;Roh, Jung-Suk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71-78
    • /
    • 2006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ocket flexion angle in trans-tibial prosthesis on stump/socket interface pressure. Ten trans-tibial amputee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F-socket system was used to measure static and dynamic pressure in stump/socket interface. The pressure was measured at anterior area (proximal, middle, and distal) and posterior area (proximal, middle, and distal) in different socket flexion angles ($5^{\circ}$, $0^{\circ}$, and $10^{\circ}$). Paired t-test was used to compare pressure differences in conventional socket flexion angle of $5^{\circ}$ with pressures in socket flexion angles of $0^{\circ}$ and $10^{\circ}$ (${\alpha}$=.05). Mean pressure during standing in socket flexion angle of $10^{\circ}$ decreased significantly in anterior middle area (19.7%), posterior proximal area (10.4%), and posterior distal area (16.3%) compared with socket flexion angle of $5^{\circ}$. Mean pressure during stance phase in socket flexion angle of $0^{\circ}$ increased significantly in anterior proximal area (19.3%) and decreased significantly in anterior distal area (19.7%) compared with socket flexion angle of $5^{\circ}$. Mean pressure during stance phase in socket flexion angle of $10^{\circ}$ decreased significantly in anterior proximal area (19.6%) and increased significantly in anterior distal area (8.2%) compared with socket flexion angle of $5^{\circ}$. Peak pressure during gait in socket flexion angle of $0^{\circ}$ increased significantly in anterior proximal area (23.0%) compared with socket flexion angle of $5^{\circ}$ and peak pressure during gait in socket flexion angle of $10^{\circ}$ decreased significantly in anterior proximal area (22.7%) compared with socket flexion angle of $5^{\circ}$. Mean pressure over 80% of peak pressure ($MP_{80+}$) during gait in socket flexion angle of $0^{\circ}$ increased significantly in anterior proximal area (23.9%) and decreased significantly in anterior distal area (22.5%) compared with socket flexion angle of $5^{\circ}$. $MP_{80+}$ during gait in socket flexion angle of $10^{\circ}$ decreased significantly in anterior distal area (34.1%) compared with socket flexion angle of $5^{\circ}$. Asymmetrical pressure change patterns in socket flexion angle of $0^{\circ}$ and $10^{\circ}$ were revealed in anterior proximal and distal region compared with socket flexion angle of $5^{\circ}$. To provide comfortable and safe socket for trans-tibial amputee, socket flexion angle must be considered.

  • PDF

가사노동의 사회화 및 관련변인 고찰 -전문직 취업주부와 비취업주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ocialization of Household Work and it's Related Variables -Focusing on the Employed and Unemployed Wives-)

  • 이정우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9-198
    • /
    • 1992
  • The purspo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ocialization level of household work of the employed and unemployed housewives and it's related variables in order to provide som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the rational and effective performation of the household task.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700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the employed and unemployed wives who lived in Seoul. The data were analyed by the Frequency distribution, Percentile, t-test, F-test,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 (1) Socialization level of household work of the employed wives was a little below medium point. When the household work was devided into three subdomains, in the domain of food and shelter, the socialization level was far below medium point. In the domain of clothes, the socialization level was a little higher than medium point. Socialization level of household work of the unemployed wives far below average. When the household work was devided into three sudbomains, in the domain of food, clothes and shelter, the socialization level was far below average, too. Socialization level of household work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employment. (2) Among the background veriables, family income, household work helper, and frequency of leisure activitie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ocialization level of the employed wives. Duration of marriage, housewife's education level and house income have a important effect on the socialization level of the unemployed wives background. (3) Among the background variabels of household work, performing competence of household work is powerful effect on the socialization level of the employed wives. And as for the unemployed wives, performing competence of household task and recognition of the velue of household work are significant variables. (4) The psychological variable such as sex-role attitude gave no noticeable influence on the socialization level of employed and unemployed wives. (5) In conclusion, classifing the variances influencing on the socialization level of household work in a measure of respcetive effect, it appears to be performing competence of household task, frequency of leisure activities, house income, sex-role attitued and educational level in the order of their influences for the employed wives. And as for the unemployed wives, it seems to be house income, educational level, performing competence of household work and frequency of leisure activities. To the two sides, the rate of explanation is shown at 35%.

  • PDF

열자극발광 및 광자극발광 측정장치의 개발 (Development of Thermoluminescence and Optical Stimulated Luminescence Measurements System)

  • 박창영;정기수;이종덕;장인수;이정일;김장렬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0권1호
    • /
    • pp.46-54
    • /
    • 2015
  • 열이나 빛의 자극에 의한 물질의 발광현상, 즉 열자극발광(thermoluminescence, TL)과 광자극발광(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OSL)의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이 현상을 방사선량의 측정에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발광물질을 개발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측정장치를 개발하였다. 이는 열자극과 광자극을 동시에 가할 수 있는 장치로서, 열자극에 필요한 온도제어를 위하여 35 kHz의 정현파 전원으로 변환하여 스트립 형태의 발열부에 걸어주게 되며, 최대 $20K{\cdot}s^{-1}$의 온도상승률로 약 1K의 정밀도로 온도를 제어할 수 있었다. 광자극을 위한 광원으로 중심파장이 470 nm인 Luxeon V형 고휘도 LED 등 여러 파장영역의 LED나 레이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대표적으로 470 nm의 LED로 $Al_2O_3$:C의 OSL을 측정하는 경우, 시료의 발광에서 자극광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LED의 자극광은 단파장차단필터인 GG420을 통과시켜서 시료에 걸리게 하고, 시료의 발광은 대역통과필터인 UG11를 통과하여 광증배관에 걸리게 하였다. 아울러 시료에 따라 LED나 필터들을 다르게 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시료의 발광특성에 맞는 최적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PC로 측정장치의 전체적인 제어가 이루어지며 LabView로 개발한 제어프로그램은 그래픽사용자환경(GUI)으로 되어 있다. 이 연구를 통해서 개발한 장치로 LiF:Mg,Cu,Si와 $Al_2O_3$:C를 표준시료로 하여 TL과 OSL을 측정하였고, 이들의 발광특성이 기존에 알려진 특성을 재현하여 이 장치가 신뢰할 수 있는 성능을 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동성 복합레진의 물리적 성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HYSICAL PROPERTIES OF FLOWABLE COMPOSITE RESINS)

  • 김지영;정병초;양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23-429
    • /
    • 2002
  • 최근 유동성 복합레진은 조작시 빠르고 간편하며 우수한 접근성으로 임상에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나 각 제품간 그리고 혼합형 복합레진과의 물리적 성질이나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임상적으로 자주 쓰이는 4종의 유동성 복합레진(Filtek Flow, Tetric Flow, Revolution, Palfique Esthelite LV high flow)의 압축 강도, 상대적 유동성, 방사선 불투과성을 측정하여 그 특성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압축강도에 있어서 4종의 유동성 복합레진 각 제품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유동성 복합레진이 혼합형 복합레진(Z-100, 3M, USA)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낮은 압축강도를 나타내었다(p<0.001). 2. 각 제품간의 상대적 유동성은 Palfique Esthelite LV high flow, Revolution, Filtek Flow와 Tetric Flow 순으로 높았고(p<0.001), Filtek Flow와 Tetric Flow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모든 제품은 TeethmateF-1(Kuraray, Japan)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낮았다(p<0.001). 3. 유동성 복합레진 4종의 방사선 불투과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측정된 모든 유동성 복합레진은 상아질과 유사하거나 높은 방사선 불투과성을 나타내었고 각 제품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그 중 Tetric Flow와 Filtek Flow는 법랑질과 유사하거나 높은 방사선 불투과성을 나타내었다(p<0.001). 이상의 실험 결과는 4종의 유동성 복합레진은 혼합형 복합레진 보다 낮은 압축강도를 가지므로 임상에 적용 시 가해질 수 있는 응력을 고려하여야 하며, 각 제품간 유동정의 유의한 차이는 시술 시 재료의 선택에 고려사항이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또한 4종의 유동성 복합레진의 방사선 불투과성은 모두 국제 인증 규격에 합당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체외 충격파 치료술을 위한 솔레노이드 코일을 이용한 전자기식 충격파 발생기: 구성 및 음향학적 특성 (An Electromagnetic Shock Wave Generator Employing a Solenoid Coil for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Construction and Acoustical Properties)

  • 최민주;이종수;강관석;팽동국;이윤준;조주현;임근희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271-281
    • /
    • 2005
  • 솔레노이드 코일을 이용하여 체외 충격파 치료술에 적합한 전자기식 충격파 발생기를 구성하였다. 충격파 발생기의 충격파의 특성은 바늘형 하이드로폰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충격파 발생기 방전 전압이 8에서 18 kV로 증가할 때 측정된 충격파의 최대 양압 (P+)은 $10\~77\;MPa$사이를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충격파 최대 음압 (P-)은 $-3.2\~-6.8\;MPa$ 에서 변화하고 있으며, 방전 전압이 14 kV에서 -6.9 MPa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동일한 설정에서 반복 측정된 충격파의 크기 P+는 평균값의 $5\;\%$ 이내에서 변화하며, 전기 수력학적 방식 충격파 발생기 경우의 $50\;\%$ 정도와 비교하여, 매우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 축에서 1 ms 동안 측정한 하이드로폰 신호로부터 충격파에 의해 야기된 음향 공동 현상, 즉, 기포의 파열 현상으로 발생된 다수의 순차적인 음향 임펄스를 관찰할 수 있었다. 웨이블렛 변환 기법을 이용하여, 충격파 강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첫 번째와 두 번째 기포 파열 시간 지연을 정확히 측정하였다. 충격파 크기 P+가 10 에서 77 MPa로 증가할 때 측정된 기포 파열 지연 시간은 120부터 $700\;{\mu}s$ 로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태성 고혈압환자를 위한 자기조절 프로그램 관련요인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elf-Regulation Program for Hypertensives)

  • 박영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34-249
    • /
    • 1995
  • Essential hypertension, one of the leading primary cause of death in Korea, is a typical chronic disease requiring adequate and continuous management. Though these hypertensives need to maintain desirable health practice by themselves for their life time, many previous studies indicated that most of the essential hypertensives have no specific symptoms and thus, reluctant to follow appropriate medical regimens causing the condition further aggravated and complicated. Thus the comprehensive self-regulation program was conducted as a nursing intervention on the promotion self-care 'performance and improvement in physical parameters of hypertensives. For this purpose, a one group quasi -experimental research with pre and post test design was used. And the whole program was carried out from October, 1993 to February, 1994. Self-regulation program was consisted with group education on hypertension and self-care, self-regulation including the blood pressure self-monitoring and recording, recording of daily self-care activities, and encouraging and reinforcing self-efficacy through verbal persuation and enactive attainment. The subjects were asked to measure their own blood pressure by themselves twice per day and to record blood pressure and the daily self-car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provided during the whole period of 9 weeks. The data was analyzed by experimental stages: the first week, the fifth week, and the ninth week since the experimental imput began.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PC+ program with paired t -test and F-test, and multiple correlation to determine the variables affecting the effect of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Subjects in J company were significantly lower diastolic blood pressure than K company after the program (t=2.39, p=.024). Level of cholesterol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position(t=2.23, p=.034), family history (t=-2.66, p=.013), diagnosis duration, and career(t=2.88, p=.055). Perceived self-efficacy was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among the group with family history(t=-3.00, p=.013). 2) Before the program,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internal-LOC and self-efficacy(r=.3952, p=.015), external-LOC and barriers (r=.6515, p=.000), chance-LOC and Barriers(r=.4133, p=.012).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internal-LOC and barriers (r=-.3236, p=.041, external-LOC and self -efficacy(r=-.3517, p=.028), self-efficacy and barriers(r=-.6654, p=.000). 3)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changes in self - care performance and self-efficacy at 5th week (r=.5313, p=.001) and changes in self-efficacy at 9th week(r=.4586, p=.005). 4) After the program,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and perceived benefit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r=.5673, p=.001, but perceived barriers was negative correlation with perceived self-efficacy (t=-4242, p=.01).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elf-regulation program is an effective nursing strategy through the change of variables to promote self-care performance of hypertensives and to increase the self-efficacy. Thus this program can be recommended in the management of the hypertensives in workplaces and community settings.

  • PDF

다중 특징을 지원하는 학습 기반의 saliency map에 관한 연구 (Estimate Saliency map based on Multi Feature Assistance of Learning Algorithm)

  • 한현호;이강성;박영수;이상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29-3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시각인지 형태와 유사한 결과를 갖는 Saliency map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습한 다중 특징을 기반으로 개선된 saliency map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Saliency map 생성에서 색상 기반의 돌출 영역 추정 시 발생하는 역 선택이나 부분손실 등의 부정확한 결과가 나오는 것을 보완하기 위해 제안하는 방법은 학습 기반의 다중 특징 데이터를 생성하였다. 원 영상에서의 색상 패턴과 특이성을 갖는 영역의 구별과정을 거쳐 영상에서 고려될 특성들을 분석하고, LAB 색 공간 기반의 색상 분석을 이용한 유사 돌출 영역 정의와 특이성 영역의 조합으로 학습 데이터를 구성한다. 구성된 학습 데이터와 주파수, 색상, 초점정보 등의 low level feature로 구한 돌출 정보를 결합한 뒤 최종 saliency map을 구하기 위해 재구성 과정을 거쳐 부정확한 saliency 영역을 최소화하도록 하였다. 실험을 위해 Ground truth 이미지를 각 실험 결과와 비교하여 precision-recall 및 F-Measure 값을 구한 결과 기존 알고리즘에 비해 7%, 29%의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수삼의 초음파 전달속도 계측 자동화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utomatic System to Measure Transmitted Ultrasonic Speed of Raw Ginseng)

  • 서동현;김기대;강호양;김찬수;이현동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2년도 동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592-59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수삼의 가공전 선별을 위해 현장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초음파 전달 속도 계측 자동화 시스템을 개발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발된 시스템은 제어용 컴퓨터, 시스템 구동 및 탐촉자 이동 장치, 하중 변환장치, 초음파 발생 및 송수신 장치 등으로 구성되었다. 2. 제어 및 계측용 프로그램은 압축력, 측정 대상물의 크기, 초음파 전달 시간을 순차적으로 계측하여 초음파 전달 속도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Visual Basic 6.0으로 작성되었다. 모터의 작동, A/D 변환, RS232C 통신 등과 관련된 부분은 각각의 모듈화된 함수로서 구동하고자 하였다. 3. 개발된 시스템의 속도와 거리별 이동 거리별 오차를 측정한 결과 0∼0.04mm 범위를 나타내었다. 이 값은 시스템의 허용오차인 0.17mm 오차보다는 현저히 작은 값이었고 15mm/s와 30mm/s의 이동 속도에서 모두 비슷한 크기의 오차값을 나타내었다. 4. 개발된 시스템의 속도별 반복정밀도 실험 결과 측정위치에서의 반복에 의한 정지 위치 오차는 전 구간에서 0.02mm 이내로 나타났고, 이동 평판의 이동속도가 15mm/s였을 경우에는 이동 회수 30회, 이동 거리 60mm일 때 최대 편차 0.019mm를 나타냈으며 이동속도가 30mm/s일 경우에는 이동 회수 40회, 이동거리 20mm에서 0.02mm의 최대 편차를 나타내었다. 5. 5개의 알루미늄 조각의 크기를 시스템으로 측정한 결과 측정값의 최대 편차는 0.08mm였다. 이 값은 시스템의 허용오차인 0.17mm의 50% 수준으로 시스템은 대상물의 크기 측정에 적당하다고 사료되었다. 6. 절단된 수삼의 초음파 전달속도는 평균 396.4m/s였다.를 축열재로 사용할 경우 재생기를 반으로 나누어서 가열부 쪽에 철선을, 냉각부 쪽에 철망을 삽입한 것이 반대로 삽입한 것보다 재생기 양단의 온도차는 높게 나타났고, 재생기 양단의 압력 차는 낮게 나타났다. 재생기 축열재로서 철망-철선을 사용할 경우 철선-철망 ø1.2-150이 전열 표면적은 작으나 재생기 양단의 온도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생기 양단의 압력 차는 가장 낮게 나타나 공시 철망- 철선 혼합 축열재중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4. 철망사이에 철선을 삽입한 축열재의 경우, 철망사이에 삽입한 철선의 직경이 큰 것이 철선의 직경이 작은 것보다 재생기의 양단의 온도차가 높게 나타났고 재생기 양단의 압력차는 작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철망사이에 철선을 삽입한 것 중 성능이 우수한 것은 150-ø2. 0-150으로 나타났다. 5. 실험한 재생기 축열재들 중에서 성능이 우수한 것들을 비교한 결과, 복합 철선 ø1.2-1 50이 가장 성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적외선.열풍 복합건조방법이 높게 나타나 이것은 곡물 표면에 원적외선 방사에의한 복사열이 전달되어 열장해를 받았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금후 더 연구하여 적정 열풍온도 및 방사체 크기를 구명해야 할 것이다.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옻나무 유래 F는 포유동물의 생식기능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된다.정량 분석한 결과이다. 시편의 조성은 33.6 at% U, 66.4 at% O의 결과를 얻었다. 산화물 핵연료의 표면 관찰 및 정량 분석 시험시 시편 표면을 전도성 물질로 증착시키지 않고, Silver Paint 에 시편을 접착하는 방법으로도 만족한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째, 회복기 중에 일어나는 입자들의 유입은 자기폭풍의 지속시간을 연장시키는 경향을 보이며 큰 자기폭풍일수

  • PDF

초협대역 전송 시스템상에서 H.265/HEVC 부호화 저해상도 비디오에 대한 주관적 화질 평가 (Subjective Video Quality Evaluation of H.265/HEVC Encoded Low Resolution Videos for Ultra-Low Band Transmission System)

  • 에이. 에프. 엠. 샤합 우딘;엠에스티. 시라잠 모니라;정태충;김동현;최증원;전기남;배성호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1085-1095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저해상도 감시(surveillance) 비디오에 대한 주관적 화질 평가를 수행한다. 본 논문은 저해상도 영상에 맞는 초협대역 전송 환경을 고려하여 비디오 압축을 수행한 다음, 압축된 비디오의 주관적 화질 성능을 측정하였다. 데이터의 일반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시/공간 복잡도를 가지는 감시 비디오를 수집하였다. 저해상도 감시 비디오 압축은 H.265/HEVC로 수행되었으며 3개의 목표 비트(20, 45, 65 kbps)에 대해 압축을 수행했다. 주관적 화질 평가 결과, 수집한 대부분의 저해상도 감시 비디오는 45 kbps이상으로 압축될 경우 주관적 화질 열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기존 개발된 객관적 영상 화질 측정 방법을 이용해 예측된 화질과의 상관관계를 비교하는 실험을 진행했고, 실험 결과 현존하는 대부분의 객관적 화질 측정 방법이 초협대역 전송 조건에서 저해상도 감시 비디오의 화질을 제대로 예측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초협대역 전송 기반 저해상도 감시 비디오에 대한 새로운 객관적 영상 화질측정 기법이 개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Na$\ddot{i}$ve Bayes 방법론을 이용한 개인정보 분류 (Personal Information Detection by Using Na$\ddot{i}$ve Bayes Methodology)

  • 김남원;박진수
    • 지능정보연구
    • /
    • 제18권1호
    • /
    • pp.91-107
    • /
    • 2012
  • 인터넷의 성장과 개인의 참여는 사생활 정보 보호에 관련된 비효율적 관리 방안에 대한 문제의식을 불러일으키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존재하는 문서 분류 방법론을 이용하여 개인의 사적 공간을 나타내는 프라이버시의 항목 중 개인을 식별할 수 있거나 개인이 민감해 할 수 있는 사생활 정보를 담고 있는 문서를 탐지 혹은 분류하는 방법에 대해서 다룬다. 논문의 실험에서 기존의 학습데이터에 추가적으로 개인정보의 유형에 관련된 하위 학습 데이터를 추가함으로써 자동 문서 분류 알고리즘의 성능 측정치를 높이는 것을 시도하였다. 또한 개인정보의 유형에 따라 알고리즘에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기존 논문에서 나타난 개인정보의 유형들을 분석하였다. 개인정보 관련 문서로 분류된 학습 대상과 함께 개인정보에 영향력이 있는 개인정보 유형들을 추가 학습시켜 알고리즘이 학습하는 문서 자질(feature)의 질(quality)을 높였다. 높아진 학습 자질의 질로 인하여 기존의 Na$\ddot{i}$ve Bayes 방법론을 이용한 평가 측정치가 높아질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