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C

검색결과 9,789건 처리시간 0.041초

Tetrakis(pentafluorophenyl)indium(Ⅲ) 음이온 착물의 합성과 특성 (Synthesis and Properties of Anionic Tetrakis(pentafluorophenyl)indium(Ⅲ) Complexes)

  • 최철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52-57
    • /
    • 1999
  • In($C_6F_5)_3{\cdot}D(D=CH_3CN$, O($C_2H_5)_2$)와 ($CH_3)_3SiC_6F_5$/CsF, $C_6F_5$MgBr 또는 Cd($C_6F_5)_2$을 반응시켜 [In($C_6F_5)_4$]- 음이온 화합물을 합성하였으나, 이들 indium(III) 음이온 화합물들은 온도에 민감하고 습기에 대해 불안정하다. 안정한 indium(III) 음이온 착물은 PNPCl(PNP=bis(triphenylphosphino)ammonium)과의 양이온 치환반응시켜 얻었으며, 관 크로마토 그래피를 이용하여 분리 정제하였다. 합성된 화합물의 특성은 핵자기 공명 분석법, 적외선 분광분석법, 분자량 측정, DTA/TG 그리고 원소분석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 PDF

PFOS 대체물질의 환경유해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Environmental Hazards of Alternatives for PFOS)

  • 최봉인;정선용;나숙현;신동수;유병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317-322
    • /
    • 2016
  • PFOS sodium salt ($C_8F_{17}SO_3Na$)는 28일 동안 미생물에 의한 분해가 이루어지지 않은 반면 4종의 대체물질($C_{25}F_{17}H_{32}S_3O_{13}Na_3$, $C_{15}F_9H_{21}S_2O_8Na_2$, $C_{23}F_{18}H_{28}S_2O_8Na_2$, $C_{17}F_9H_{25}S_2O_8Na_2$)은 각각 21.6%, 20.5%, 15.8% 그리고 6.4% 분해가 이루어졌다. Daphnia magna를 이용하여 48시간 동안 수행한 물벼룩급성독성시험에서 sodium salt ($C_8F_{17}SO_3Na$)의 반수영향농도($EC_{50}$)는 54.5 mg/L 인 것으로 확인된 반면 4종의 대체물질은 500.0 mg/L에서 아무런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500.0 mg/L에서 PFOS sodium salt($C_8F_{17}SO_3Na$)의 표면장력은 46.2 mN/m이었으며 대체물질 4종의 표면장력은 모두 PFOS sodium salt 보다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C_{23}F_{18}H_{28}S_2O_8Na_2$ (20.9 mN/m)는 가장 낮은 표면장력을 갖고 있었다. 그 다음은 $C_{15}F_9H_{21}S_2O_8Na_2$ (23.4 mN/m), $C_{17}F_9H_{25}S_2O_8Na_2$ (27.3 mN/m) 그리고 $C_{25}F_{17}H_{32}S_3O_{13}Na_3$ (28.2 mN/m) 순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생물분해시험, 물벼룩급성독성시험 그리고 표면장력측정 결과를 종합해 보면 4종의 PFOS 대체물질($C_{25}F_{17}H_{32}S_3O_{13}Na_3$, $C_{15}F_9H_{21}S_2O_8Na_2$, $C_{23}F_{18}H_{28}S_2O_8Na_2$, $C_{17}F_9H_{25}S_2O_8Na_2$)은 모두 PFOS sodium salt ($C_8F_{17}SO_3Na$) 보다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3종의 대체물질($C_{15}F_9H_{21}S_2O_8Na_2$, $C_{23}F_{18}H_{28}S_2O_8Na_2$, $C_{25}F_{17}H_{32}S_3O_{13}Na_3$)은 미생물분해율이 15.8~21.6%로 상대적으로 높고, 물벼룩급성독성과 표면장력측정이 PFOS sodium salt 보다 상당히 우수하다. 그러므로 이들 4종의 대체물질은 PFOS 대체물질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UNIQUENESS THEOREM FOR A MEROMORPHIC FUNCTION AND ITS EXACT DIFFERENCE

  • Chen, Shengjiang;Xu, Aizhu
    • 대한수학회보
    • /
    • 제57권5호
    • /
    • pp.1307-1317
    • /
    • 2020
  • Let f be a nonconstant meromorphic function of hyper order strictly less than 1, and let c be a nonzero finite complex number such that f(z + c) ≢ f(z). We prove that if ∆cf = f(z + c) - f(z) and f share 0, ∞ CM and 1 IM, then ∆cf = f. Our result generalizes and greatly improves the related results.

Aspergillus niger가 생산(生産)하는 섬유소(纖維素) 분해효소(分解酵素)의 정제(精製) 및 특성(特性)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ellulolytic Enzymes from Aspergillus niger)

  • 박관화;오태광;신재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3호
    • /
    • pp.186-193
    • /
    • 1981
  • Aspergillus niger가 분비하는 섬유소분해효소(纖維素分解酵素)를 Sephadex G-150 column을 통과시켜서 ${\beta}-glucosidase$와 CM-cellulase을 분리(分離)하고 CM-cellulase는 다시 DEAE-Sephadex A-50 column을 통과시켜서 세개의 CM-cellulase F I, F II , F III를 분리하여 그 특성(特性)을 각기 조사 하였다. F I의 최적조건(最適條件)은 pH 4.0 및 $50^{\circ}C$였고 열불활성화특성(熱不活性化特性)은 Arrhenius plot에서 2개의 기울기가 다른 직선을 나타냈다. 즉 $60{\sim}70^{\circ}C$ 사이에서는 Z값이 $4^{\circ}C$ 이고 $70{\sim}98^{\circ}C$ 사이에서는 $383^{\circ}C$였다. F II는 pH 4.7 및 $50^{\circ}C$에서 최적조건(最適條件)을 보였고 Z값은 $8^{\circ}C$, F III는 pH 4.3 및 $60^{\circ}C$에서 높은 활성(活性)을 가졌고 Z값은 $10^{\circ}C$였다. 조(粗) CM-cellulase의 경우는 최적조건(最適條件)이 pH 4.3 및 $60^{\circ}C$로 F I , F II 및 F III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Z값은 $21.5^{\circ}C$로 큰 차이(差異)를 보였다. 한펀 ${\beta}-glucosidase$는 정제효소(精製酵素) 및 조효소(粗酵素)가 다 같이 pH 4.7 및 $60^{\circ}C$에서 가장 높은 활성(活性)을 나타냈으며 Z값은 $7^{\circ}C$였다.

  • PDF

고배대지진에 기인한 정형거래조건의 문제점 (A Study on the Limitations of Trade Terms in the Situtations of Kobe Earthquake -with a Special Reference to Marine Insurance-)

  • 강진욱
    • 정보학연구
    • /
    • 제1권2호
    • /
    • pp.15-24
    • /
    • 1998
  • 본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컨테이너 운송의 경우 보험단보의 공백구간에서 발생하는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운송인 책임의 개시와 위험의 이전시기가 일치되어 있는 컨테이너 정형무역거래조건을 이용해야 한다고 사료되어진다.

  • PDF

전자빔여기 XeF$(C\rightarrowA$ 엑시머 레이저의 출력특성에 대한 시뮬레이션 해석 (Simulation Anaysis on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XeF$(C\rightarrowA$ Excimer Laser Pumped by Electron-Beam)

  • 류한용;이주희
    • 한국광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01-213
    • /
    • 1995
  • 전자빔여기 XeF$(C\rightarrowA$ 엑시며 레이저의 상준위 B-와 C-상태에 대하여 충동혼합 운동과정을 포함하는 모델을 컴퓨터 시뮬레이션하여 이의 출력특성을 해석하였다 $XeF^*(B)$ 의 수밀도에 관련되는 $XeF^*(C)$의 형성에 대하여 레이저 에너지를 실험치와 비교하였다. 이 결과는 70ns[FWHM]의 전자빔(800kV, 21kA)을 사용한 대기압 매질에서 매우 좋은 일치$(28.5 mJ\pm5%)$를 보였고, $Xe/F_2/Ar=5.26/0.49/94.28%$의 최적화된 가스혼합비를 확인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으로 $XeF^*(C)$의 형성경로, $XeF^*(C)$의 완화경로, 청록색 파장대역의 흡수경로에 대한 $F_2$ 할로겐 도우너 및 Xe 압력의 함수관계를 조사하였다.

  • PDF

C1-STABLE INVERSE SHADOWING CHAIN COMPONENTS FOR GENERIC DIFFEOMORPHISMS

  • Lee, Man-Seob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127-144
    • /
    • 2009
  • Let f be a diffeomorphism of a compact $C^{\infty}$ manifold, and let p be a hyperbolic periodic point of f.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notion of $C^1$-stable inverse shadowing for a closed f-invariant set, and prove that (i) the chain recurrent set $\cal{R}(f)$ of f has $C^1$-stable inverse shadowing property if and only if f satisfies both Axiom A and no-cycle condition, (ii) $C^1$-generically, the chain component $C_f(p)$ of f associated to p is hyperbolic if and only if $C_f(p)$ has the $C^1$-stable inverse shadowing property.

가스 조성이 저유전상수 a-C:F 층간절연막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s composi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a-C:F thin films for use as low dielectric constant ILD)

  • 박정원;양성훈;이석형;손세일;오경희;박종완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68-373
    • /
    • 1998
  • 초고집적 회로의 미세화에 따라 다층배선에서 기생저항(parasitic resistance)과 정전 용량의 증가는 RC시정수(time constant)의 증가로 인하여 소자의 동작속도를 제한하고 있 다. 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배선지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매우 낮은 유전상수를 갖는 층간 절연물질이 필요하다. 이러한 저유전상수 층간절연물질로서 현재 유기계 물질중의 하 나인 a-C:F이 주목받고 있는 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ECRCVD를 이용하여 a-C:F박막과 Si기판사이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a-C:H박막을 500$\AA$증착한 후 a-C:F을 증착전력 500W에서 원료가스의 유량비($C_2F_6, CH_4/(C_2F_6+CH_4)$))를 0~1.0까지 변화시키면서 상온에서 증착하 였다. a-C:F박막의 특성은 SEM, FT0IR, XPS, C-V meter와 AFM등을 이용하여 두께, 결 합상태, 유전상수, 표면형상 및 표면 거칠기를 관찰하였다. a-C:F박막에서 불소함량은 가스 유량비가 1.0일 경우에는 최대 약31at.%정도 검출되었으며, 가스 유량비가 증가됨에 따라 증 가하였다. 또한 유전상수는 a-C:H의 유전상수 $\varepsilon$=3.8에서 $\varepsilon$=2.35까지 감소하였다. 이는 영 구 쌍극자 모멘트가 1.5인 C-H결합은 감소하고 영구 쌍극자 모멘트가 0.6, 0.5인 CF, CF2결 합이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400^{\circ}C$에서 질소분위기로 1시간 동안 furnace열처리 후에 가스유량비가 1.0인 a-C:F박막에서 불소의 함량이 감소하여 C-F결합이 줄어들었다. 이로 인하여 유전상수가 열처리전의 2.7에서 열처리후 3.2까지 상승하였다.

  • PDF

깻잎에 있어 Ca, Mg의 존재형태와 수확후의 변화 (Chemical Forms of Ca, Mg Compounds Occuring in Perilla Leaves and Their Changes after Harvest)

  • 최영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74-280
    • /
    • 2001
  • 깻잎에 있어 칼슘의 생리작용을 밝히기 위하여 조직 중의 칼슘의 존재형태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즉 조직 중의 칼슘을 물(F-I), IN 소금(F-II), 2% 초산(F-III), 그리고 5% 염산(F-IV)의 각 용매를 이용하여 차례로 추출하여 각 분획의 칼슘과 마그네슘 함량을 측정하였다. 아울러 이 중 칼슘 분획이 저장기간과 저장온도에 따라 어떻게 변동하는가를 검토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엽령에 따른 칼슘의 존재형태를 분석한 결과 모든 엽령에서 F-I (28.41~39.52%)과 F-II(34.44~47.39%) 비율이 높았으며 F-IV는 15.6~21.57%로 수산칼슘으로의 존재가 많지 않았다. 마그네슘의 존재형태는 F-I과 F-II가 90%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F-IV는 4%에 불과하였다. 2. 깻잎의 F-IV 칼슘비율을 시금치 및 차조기의 그것과 비교한 결과 깻잎은 16.75, 시금치는 42.4, 자소는 22.26%가 수산칼슘 형태로 존재하여 깻잎에서의 비율이 가장 낮음이 확인되었다. 마그네슘의 존재형태는 칼슘과는 다르게 시금치에서 수산과 결합한 비율이 가장 낮았으며 수용성 분획인 F-I칼슘이 90.6%를 차지하였으며 깻잎과 자소는 각각 62.89, 16.8%로 조사되었다. 3. 수확 후 7일간 5$^{\circ}C$와 2$0^{\circ}C$에서 저장하면서 비타민 C와 F-IV 칼슘의 변화추이를 분석한 결과 비타민 C는 저장 1일 째는 감소가 완만하나 4일째에 급격히 감소를 보였다. F-IV 칼슘의 경우는 저장 1일 째 완만한 증가를 보이다가 역시 4일째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이로써 비타민 C가 감소할수록 수산칼슘의 비율이 증가한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5$^{\circ}C$보다는 2$0^{\circ}C$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 PDF

불순물 $MgCl_2$를 첨가한 LiF 분말의 열형광 (Thermoluminescence of $MgCl_2$-Activated LiF Powder)

  • 이계철;이상수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권4호
    • /
    • pp.269-272
    • /
    • 1970
  • 순도 99.98%의 LiF 분말에서 열형광을 검출하였으며 이 때 glow curve의 Peak는 12$0^{\circ}C$, 22$0^{\circ}C$ 및 30$0^{\circ}C$에 있다. 이 LiF 분말에 중량비로 2%(mol 비로 4%)의 MgC1$_2$를 첨가하여 소결시킨 LiF 분말은 비약적으로 강한 열형광을 발휘하였으며 그 flow curve의 특성이 상세하게 조사되었다. 열형광선량계로서 이용되고 있는 LiF는 Mg, Mn 등의 불순물에 의한 전자 trap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이 실험결과는 이들 불순물중의 하나인 Mg가 확실히 LiF의 결정내에 확신된 것을 시사한다. 소결시간의 효과를 glow curve에서 명확하게 검출하였고 또한 원료인 MgC1$_2$도 열형광을 발휘한다는 것이 이 glow curve를 얻음으로써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