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ort of Small and Medium Companies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5초

무역수출 라이브지수를 활용한 중소수출기업 발굴 연구 (A Study on Detection of Small Export Companies Utilizing Trade Exports Live Index)

  • 김희천;임춘성;성주원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15-126
    • /
    • 2019
  • 무역수출 분야에서 수출 지수에 관한 논의는 수차례 있었으나 객관적 지표로 설명할 수 있는 명확한 무역수출 지수는 없다. 한국무역협회(KITA),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등에서 지표를 만들고자 하는 시도를 하고 있으나 수출기업의 역량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현재 계속 고민 중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의 규모, 신용도와 같은 공시지표와 거래고객수, 거래횟수, 상품개수, 거래량, 거래기간 등의 활동지표를 feature로 설정하여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 셋을 구축하고, 딥러닝 알고리즘에서 Lightgbm을 이용하여 수출 가능 기업에 대한 분류 모델을 제시한다. 또한 기업이 속한 산업 군집 분류 모델로 Graph Neural Network을 사용하여 기업간, 품목간, 사업군에서의 수출 가능 역량을 표현하는 수출 Live지수를 산출하였으며 이는 지수를 산출하는 현재로부터 기업의 과거 활동을 포함함으로써 객관성을 확보하였다.

  • PDF

보건의료 분야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을 위한 정책사례연구: 독일을 중심으로 (A policy case study for cultivation of global small giant companies in Healthcare areas: Focusing on German case)

  • 김나형;한능호;박명섭
    • 무역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69-91
    • /
    • 2017
  •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주요 국가들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창업 활성화'와 '중소기업 육성'에 높은 우선순위를 두고 관련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일자리 창출' 실현에 있어 기술 경쟁력을 갖춘 중소기업의 역할이 대두됨에 따라 정책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보건의료 산업은 특성상 산업화까지 오랜 시간이 필요하며, 유통구조가 복잡하므로 관계부처 및 관계기관의 공동 전략이 필수적인데, 그에 따른 정책적 지원의 부재로 인해 대부분 영세한 중소기업에 머물러 있고, 글로벌 역량 또한 미흡한 것이 현실로, 이에 정부 차원의 혁신적인 지원방안과 전략이 절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독일의 사례를 통해 보건의료 분야의 중소기업이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정책적 지원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강소기업을 독일의 사례와 같이 세계적 수준의 기술경쟁력을 갖춘 글로벌 히든챔피언 기업으로 성장시켜 국제경쟁력을 갖추고, 우수 중소기업의 강소기업화를 촉진할 수 있는 환경 조성 및 기술 개발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글로벌 시장에서 보건의료 분야의 제품 및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고용창출 효과 및 매출액·부가가치 등이 높은 수출 중심의 글로벌 강소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 PDF

Trade Exhibition for Small & Medium Enterprises by Using of Special Conditions in Foreign Marketing Insurance

  • Kim, Jae-Seong;Lee, Gyu-Chang
    • 무역상무연구
    • /
    • 제52권
    • /
    • pp.119-135
    • /
    • 2011
  • Korea's trading volume is expected to surpass USD 1 trillion in 2011. Korean economy achieves this largely due to its dependence on export and enhanced technological capacity and product quality. Improved recognition of Korean enterprises in the global arena also helped. However, the largest reason behind theses could be found in exporters' ceaseless marketing endeavors and continued government supports. Today, more and more people become to rely on trade exhibitions to boost export effectively. Trade exhibitions are employed as a useful tool to attract buyers and enter a market. This is because such exhibitions' marketing effect and professional aspects. South Korean export relies on large conglomerates for most part. However, 95% of the country's entire industry are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This means that SMEs' export has a huge impact on the national economy. Therefore, as a way to improve SME export and minimize their losses, we need to use trade exhibitions more actively. The overseas policy insures only promotional activities regarding foreign exhibition and fair (including international events held in Korea), foreign distributor, shopping mall, home shopping, etc. and does not include air fare, traffic cost in the local place, accommodation cost and dining expenditures as costs to be excluded mentioned above. It is not easy for them to take part in events abroad if they have to pay for such expenses. If full financial support is difficult, the Korea trade insurance corporation still may give a certain level of aid for successful exporters to engage in marketing activities abroad more actively and further stimulate SMEs' export.

  • PDF

중국 제조업 수출기업의 국제 기업가 지향성이 수출 성과에 미치는 영향: 흡수 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internation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f Chinese manufacturing export Company on export performance: the mediating effect of absorption capacity)

  • 진우이;유승훈
    • 중소기업연구
    • /
    • 제43권3호
    • /
    • pp.91-117
    • /
    • 2021
  • 본 연구의 주 목적은 중국 제조업 중소기업의 국제기업가 지향성이 수출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 하고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중국 제조업 수출 기업을 대상으로 총 183개의 기업 데이터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국제기업가 지향성은 수출 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국제기업가 지향성은 흡수역량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셋째, 흡수역량은 수출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넷째, 환경 역동성과 네트워크 역량이 강할수록 국제기업가지향성과 수출성과의 관계는 더욱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나며, 마지막으로 국제화기간이 길수록 흡수역량과 수출성과의 관계는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중국 중소기업은 혁신적이고 진취적이고 위험을 감수할수록 수출성과가 더욱 향상되고, 유사한 경쟁기업의 경영방식을 흡수하는 능력이 향상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중소기업 경영자는 국제기업가지향성을 통한 수출성과를 향상 시키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 시켜야 하고, 역동적인 환경에서 이러한 관계는 더욱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서 기업 경영자의 흡수 역량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기간이 지날수록 영향력이 약화됨을 보여주고 있다.

유통 물류 변화에 따른 친환경 정부지원이 중소제조업체의 수출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친환경 동적 역량과 Green SCM 관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Green Government Support According to Changes in Distribution and Logistics on Export Competitiveness of SME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Green Dynamic Capabilities and Green SCM)

  • 김창봉;양혜정
    • 무역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161-179
    • /
    • 2022
  •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role of government's support in facilitating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SMEs)' green dynamic capabilities and green SCM practices in a global market. It also investigates whether government support, green dynamic capabilities, and green SCM practices affect export competitiveness. To develop those hypotheses, prior studie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data was collected from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that export abroad and then develop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hypotheses test results revealed that green dynamic capabilities through government support positively affect export competitiveness and green SCM practices through green dynamic capabilities have positive effects on export competitiveness. Finally,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directly and indirectly confirmed the effect of eco-friendly government support on export competitiveness.

한국 중소기업수출지원정책의 효율화 방안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the Export Support Policy for the SME in Korea)

  • 최재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114-123
    • /
    • 2018
  • 한국의 수출지원정책은 1997년 IMF 외환위기를 계기로 중소기업 중심으로 전환한 이후 중소기업수출액이 2011년 최초로 1,000억 달러를 초과하는 양적 성장을 거두었으나 이후 정체 수준을 보여 왔다. 이와 같은 정체의 배경에는 수출지원정책이 수출경쟁력 제고에 크게 기여하지 못한 측면도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중소수출기업의 수출기반확충과 수출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2010년 이후의 주요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지원정책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문제점 개선을 위한 효율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수출지원정책의 효율화를 위해 첫째, 수출지원기관 간 기능조정과 통합, 수출단계별 지원주체의 조정, 중소기업청과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조정 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둘째, 기업 맞춤형 지원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지원기관의 인력확보 및 전문성 제고를 위해서는 무역회사 퇴직 인력 또는 청년인턴제도의 검토가 필요하다. 넷째, 일정규모 이상의 지원사업에 대하여는 외부평가의 비중을 높이고 정량평가와 정성평가 모두가 가능한 균형 잡힌 지표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기업의 대아세안 FTA 활용 전략에 관한 연구 -기업 규모별 FTA 활용 성공전략 사례분석을 통해서- (A Study on Application Strategies of Korea-ASEAN FTA for Export Companies in Korea -Taking successful cases involve companies of different sizes of application of FTA as Example-)

  • 도언정;배정한
    • 통상정보연구
    • /
    • 제14권4호
    • /
    • pp.459-490
    • /
    • 2012
  • FTA의 효과는 기업들의 FTA 활용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동안 FTA와 관련된 연구들은 FTA 체결에 대한 정책연구와 경제적 효과에 관한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이들 연구들은 모든 기업들이 FTA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는 점을 가정한 것으로 실제 현장에서의 FTA 활용도는 이러한 가정과 달리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업들의 FTA 전후 수출현황 등의 비교를 통해 FTA가 수출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우리 수출기업들의 한 아세안 FTA 활용 성공사례를 조사하여 이를 분석한 후 활용 전략들을 도출한다. 또한 이러한 활용 전략들을 FTA의 대(對)기업 영향분석방법의 7개 분야로 나누어 분류해 이를 필요역량과 이행수준을 고려하여 기업규모별로 평가해 성공전략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기업규모와 관계없이 공통적인 활용 전략으로는 CEO의 강력한 활용의지, FTA 적용여부 및 실익여부 사전조사와 FTA 전문가 활용 등이 있었고, 대기업은 다양한 전략들 중 가장 큰 혜택을 볼 수 있는 전략들을 선택하여 활용하고 있으며, 중소기업의 경우 협정세율 적용으로 인한 관세인하 또는 무관세 활용 전략이 사례기업들의 성공전략으로 도출되어, 이는 부족한 인력과 인프라로 인해 다양한 전략을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함의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벤처기업의 수출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Export Performance of Ventures)

  • 박우식;김대호
    • 벤처창업연구
    • /
    • 제2권1호
    • /
    • pp.15-36
    • /
    • 2007
  • 본 연구는 수출을 기반으로 성장을 하는 우리나라 벤처 기업의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분석의 틀을 마련하기 위하여 관련기관이 연구보고서, 논문, 그리고 발표 자료에 대한 문헌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연구 분석의 틀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관련 전문가들과 관계자의 자문을 통하여 설문을 작성하였으며, 2005년 12월 현재 수출 실적이 있는 700개 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2006.5.10${\sim}$5.31), 전화면담으로 269부, 직접방문으로 162부, 우편조사로 87부 등 총 518부가 회수되어(회수율 74%), 이 중에서 자료로써의 신뢰성이 낮거나 분석의 편의성을 따져 19부를 제외한 500부를 실제분석 자료로 사용 하였다. 설문지의 분석은 SPSS로 이루어졌으며, 측정항목들의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신뢰성 분석과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각 특정범주에서 추출된 요인들이 중소벤처수출 기업의 수출무역의 수출전략 및 성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 PDF

제조업 외국인투자기업의 매출 경로에 근거한 한국 투자 결정 요인 분석 (An Study on FDI Determinants by Foreign-Invested Companie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Based on Their Sales Path)

  • 이영선;신호상
    • 무역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51-65
    • /
    • 2020
  • According to an analysis of 560 foreign-invested companies investing in South Korea's manufacturing industry, the following three facts were found. First, the proportion of sales by manufacturing foreign-invested companies is divided into 68.5 percent of domestic sales and 31.5 percent of exports. From 68.5 percent of domestic sales, sales to Korean companies are 60.5 percent, including 37.1 percent for large companies and 23.4 percent for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while only 8.0 percent for domestic consumers. Second, the investment sectors of manufacturing foreign-invested enterprises are 'machine and equipment manufacturing', 'chemical and chemical-chemical material manufacturing-excluding pharmaceuticals', 'electronic components, computers, video, sound and communication equipment manufacturing' and 'vehicle and trailer manufacturing'. It overlaps with electric·electronics, petro-chemicals and automobiles, which are Korea's main industries and areas of Korean global companies. Third, 31.5 percent of the sales of foreign-invested companie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are exported. Foreign-invested companies export their products to use them for their parents or affiliates or to the third countries. The analysis shows that foreign-invested companies invested in Korea for B2B transactions with Korean companies. The implications are that Korea can attract foreign investments by utilizing Korean companies' demand for intermediate goods. Foreign-invested companies can invest in Korea in order to use Korea, which has signed free trade agreements with the US, the EU and ASEAN, as an export platform.

중국 산동성의 FTA 활용현황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FTA of Shandong Province in China)

  • 션즈펑;김태인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6권1호
    • /
    • pp.59-82
    • /
    • 2015
  • According to the survey on the state of practical usage and present situation of FTAs, conducted among trade companies operating in Shandong province in 2014, more than 90% of companies are believed to be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test what impact the awareness and utilization of an FTA have on its outcome among trade companies operating in Shandong province as well as partner countries and other trade compani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1) a company's global orientation (as measured in export density as a percentage of profit) and 2) its competitiveness (as measured in annual sales), and a company's degree of utilization of FTA provisions. Second, One of the findings is that the more aware of the (exporting) HS code, conventional tariffs and the process of issuing C/O the companies from Shandong province are the more they actually use (utilize) an FTA inpractice. Another interesting finding is that the more aware of the (exporting) HS code and conventional tariffs the enterprises are the higher is their practical usage level of an FTA. Third, however, at the time of this study's completion, FTA utilization was not yet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performance results. Therefore, to increase the utilization and performance of FTA, the China government have to make a efficient business models for each industry and support the small and mid-size businesses including Shandong province's SM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