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Trade Review (무역학회지)
- Volume 42 Issue 4
- /
- Pages.69-91
- /
- 2017
- /
- 1226-2765(pISSN)
A policy case study for cultivation of global small giant companies in Healthcare areas: Focusing on German case
보건의료 분야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을 위한 정책사례연구: 독일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7.07.20
- Accepted : 2017.08.25
- Published : 2017.08.31
Abstract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major countries have been executing policies related to two top-priority goals to create more jobs: revitalization of entrepreneur activity and the cultiv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In South Korea, the interest of policy makers is increasingly focusing on the role of SMEs that have a technological competitive edge in the realization of a "job-centered creative economy." Due to the nature of the field, the health and medical industry requires a particularly long time until the achievement of industrialization, Also, because of the complex distribution structure, it is essential for related government ministries and institutions to jointly devise strategies. A lack of policy supports for the industry has thus far resulted in its development being relegated for the most part of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which consequently means low global competitiveness. Now is the time for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o provide the revolutionary supported options and strategies.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general policy direction and policy areas for the cultivation of Korea's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in the healthcare industry into global small giant companies through an exploration of the German case. It is crucial to first cultivat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n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as in the case of Germany) so that they can grow into global small giant companies. Another important task is the creation of an environment that expedites the qualitative growth of promising SMEs as well as technological development. After securing competitiveness in terms of both product quality and technology in the global health market, substantive policy supports will be necessary to cultivate global small giant companies that are export-based (e.g. job creation effect, sales value added).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주요 국가들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창업 활성화'와 '중소기업 육성'에 높은 우선순위를 두고 관련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일자리 창출' 실현에 있어 기술 경쟁력을 갖춘 중소기업의 역할이 대두됨에 따라 정책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보건의료 산업은 특성상 산업화까지 오랜 시간이 필요하며, 유통구조가 복잡하므로 관계부처 및 관계기관의 공동 전략이 필수적인데, 그에 따른 정책적 지원의 부재로 인해 대부분 영세한 중소기업에 머물러 있고, 글로벌 역량 또한 미흡한 것이 현실로, 이에 정부 차원의 혁신적인 지원방안과 전략이 절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독일의 사례를 통해 보건의료 분야의 중소기업이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정책적 지원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강소기업을 독일의 사례와 같이 세계적 수준의 기술경쟁력을 갖춘 글로벌 히든챔피언 기업으로 성장시켜 국제경쟁력을 갖추고, 우수 중소기업의 강소기업화를 촉진할 수 있는 환경 조성 및 기술 개발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글로벌 시장에서 보건의료 분야의 제품 및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고용창출 효과 및 매출액·부가가치 등이 높은 수출 중심의 글로벌 강소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