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losive Material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22초

화약기술발전의 사적고찰에 관한 연구 (한국의 고대 화약기술) (A Study of the Korean Historical Development of Explosives Technology(Korean Traditional Explosive Technology))

  • 나윤호;손선관
    • 기술사
    • /
    • 제12권1호
    • /
    • pp.12-20
    • /
    • 1979
  • 화약(흑색화약)의 최초로 발명된 사실은 초석 의 제법 및 그 정제법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중국인들은 이미 11세기초부터 초석의 제법을 알고 있었으며, 그들이야말로 화약원료인 초석의 제법을 세계에서 가장 최초로 발명해 낸 사람들이다. 에지프트인들은 그것을 중국의 눈이라고 불럿으며, 초석이 유럽에 전파된 시기는 성길은오이 1218년 서정작업중 패르시아의 성첩를 공격하기 위하여 화약을 사용한데서부터 시작된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에 화약 및 초석의 제조기술이 중국으로부터 도입된 시기는 1374년이며 화약을 최초로 한국에서 만들어낸 사람은 최무선이였다. 이조시대에 접어 들면서 초석, 화약 및 화포의 제조기술은 최해신에 의해서 매우 발전해 나갔다. 그러나 1597년 일본의 왜군이 한국을 침공해 왔을때(임진란) 왜군은 성능좋은 조총으로 한국군을 괴롭혔으며 이에 맞서서 이순신장군이 이끄는 한국의 수군은 거북선에 장비한 성능좋은 화포로서 일본수군을 전멸시킬 수 있었다. 한국의 근대화약기술은 1930년부터 1945년 사이에 4개의 화약공장이 건설됨으로서 매우 발전했다. 본 연구는 한국에 화약기술이 전래된 경위를 조사하였으며 차후화약기술에 대해서 연구하고져 하는 연구자에게 연구 자료를 제공 하고져 시도했다.

  • PDF

알루미나-실리카계 세라믹복합체 제조 연구(II) (Synthesis of Alumina-Silica ceramic material(II))

  • 김철수;이형복
    • Composites Research
    • /
    • 제18권6호
    • /
    • pp.48-5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방탄물성이 매우 우수한 알루미나-실리카계 방탄재료(PL-8)의 방탄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성형압력 및 소결온도를 변화시켰다. 물리/기계적 물성을 측정 한 후 성형작약(HEAT)/운동에너지(KE)탄에 대한 방탄물성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결온도 $1235^{\circ}C$에서 성형작약탄에 대한 방탄물성이 가장 높았으며 기 개발된 알루미나-실리카계 방탄재료 (PL-8)에 비해 $22\%$ 방탄물성이 향상되었다.

고에너지 물질 연소를 기반으로 한 Multi Physics Modeling (How to Prepare the Manuscript for Submission to the Proceedings of KSPE Conference)

  • 김기홍;여재익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7년도 제28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38-241
    • /
    • 2007
  • We present an innovative method of multi-physics application involving energetic materials. Energetic materials are related to reacting flows in extreme environments such as fires and explosions. They typically involve high pressure, hish temperature, strong non-linear shock waves, and high strain rate deformation of metals. We use an Eulerian methodology to address these problems. Our approach is naturally free from large deformation of materials that makes it suitable for high strain-rate multi-material interaction problems. Furthermore we eliminate the possible interface smearing by using the level sets. We have devised a new level set based tracking framework that can elegantly handle large gradients typically found in reacting gases and metals. We show several work-in-progress applications of our algorithm including the Taylor impact test, explosive venting and additional confined explosion problems of modem interest.

  • PDF

총열 및 포신의 팽창 변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ansive Deformation of Rifle Barrel and Gun Barrel)

  • 김동욱;이재영;강영철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7-14
    • /
    • 2000
  • In this paper, the possibility of plastic deformation of rifle and gun barrels is studied through the numerical methods. When a rifle or tank gun is fired, the expansive deformation of the barrel can occur by the explosive pressure and the thermal effect. Using the ABAQUS program, the stresses and displacements are computed for the elastic and elastic-plastic material property, and the possibility of plasticity deformation is investigated. In conclusion, rifle and tank gun barrel the plastic deformation occurred in some parts of the barrel

  • PDF

한국표준형원전 증기발생기 전열관 확관부위의 응력해석 (Stress Analysis of Expansion Transition Area in Steam Generator Tube of Optimized Power Reactor-1000)

  • 김용규;송명호;유완
    • 에너지공학
    • /
    • 제22권2호
    • /
    • pp.148-155
    • /
    • 2013
  • 한국표준형원전(OPR-1000)의 증기발생기 전열관은 관재료로 Alloy 600과 Alloy 690이 사용되고 있으며 전열관 확관방법은 폭발확관법이 적용되었다. 원전 운전경험에 따르면 전열관 확관법으로 폭발확관법이 사용된 증기발생기의 전열관들은 원주방향 균열이 잘 발생하였으며 그 위치는 전열관의 확관천이부위 외면이었고 슬러지에 의해 둘러싸인 지역이었다. 그러나 같은 조건의 전열관이라도 수압확관법이 적용된 경우는 원주방향 균열보다는 축방향 균열이 우세한 경향을 보여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기와 같은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전열관과 관판의 형상을 모델링하였으며 확관법에 따라 운전중 조건에서 전열관의 확관천이 부위에 작용하는 응력의 크기를 전산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계산하였고, 균열의 방향성과 우세성을 평가하였다.

반도체 가스 센서 어레이의 제작 및 폭발성가스 감응 특성 (Fabrication of Semiconductor Gas Sensor Array and Explosive Gas-Sensing Characteristics)

  • 이대식;정호용;반상우;이민호;허증수;이덕동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7권11호
    • /
    • pp.9-17
    • /
    • 2000
  • 폭발성 가스의 종류 및 그 양을 검지하기 위한 10개의 개별 센서가 한 기판위에 집적된 센서어레이를 개발했다. 이 센서어레이는 각종 가스에 대해 다양한 감도 패턴을 가지며, $SnO_2$를 모물질로 하는 10개의 산화물 반도체 가스센서로 구성하였다. 나노사이즈이며 큰 비표면적을 가진 모물질에 서로 다른 첨가물을 첨가하여 감지물질를 제작함으로써 저농도에 대한 감도 및 재현성을 높였고, 센서어레이 전반에서 균일한 온도 분포가 되도록 설계하였다. $400^{\circ}C$에서 동작하는 센서어레이로부터 얻은 감도를 이용하여 주성분 분석 기법을 통해 폭발 하한값의 범위에서 부탄, 프로판 그리고 메탄 등과 같은 폭발성 가스의 종류 및 양을 신뢰성 있게 식별할 수 있었다.

  • PDF

트라우즐 연주시험과 수치해석에 의한 전색 매질별 발파효과 영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Blast Effects of Stemming Materials by Trauzl Lead Block Test and Numerical Analysis)

  • 고영훈;김승준;;양형식
    • 화약ㆍ발파
    • /
    • 제35권4호
    • /
    • pp.19-26
    • /
    • 2017
  • 트라우즐 연주시험은 폭발물의 영향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이다. 일정크기 연주기둥 중앙의 발파공 내부에서 폭발에 의한 용적 확대량을 측정하여 폭발력을 측정하는데 이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발파공 내부 폭약주변의 채움재에 따른 폭발영향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트라우즐 연주시험 및 AUTODYN 수치해석을 하였다. 사용폭약은 일반 에멀젼 폭약을 적용하였고, 디커플링 조건과 모래, 물, 젤라틴의 충전재를 선정하였다. 시험 및 수치해석 결과 연주블록 발파공의 확대 정도는 물과 젤라틴이 유사하였고, 모래, 디커플링 조건 순으로 확대치를 나타냈다. 또한 연주기둥 외곽에서 측정한 동적 변형률 및 수치해석 전달압력의 경우 시험결과와 상응하였고, 같은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민대피시설의 성능개선을 위한 실태조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atus Survey for the Improvement of Shelter Facilities for Residents)

  • Park, Namkwun;Kang, Shinwook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91-97
    • /
    • 2014
  • 본 연구는 기존 설치된 주민대피시설의 실태조사를 통해 주민대피시설의 계획 및 설계에 필요한 기초자료로서의 활용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첫째, 주민대피시설이 고폭탄 위주의 방호만을 고려하여 설계된 것으로 판단되나, 시설물의 출구방향, 주출입구 방호능력 등을 살펴보았을 때 실제 고폭탄에 대한 방호능력은 상당히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전체 7개 시설은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대한 공기여과청정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외부에 설치된 흡 배기구의 높이도 지상과 근접하게 위치하고 있어 공기보다 무거운 오염공기의 내부 유입을 발생 시킬 수 있다. 셋째, 일부시설은 방폭문이 설치되어 있으나 개구부, 방폭밸브의 역방향 등의 적절하지 못한 설치와 배관 배선의 관통부 마감상태로 인해 정상적인 방폭문의 기능유지 및 기밀성 확보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혼입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폭렬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lling Properties of Polymer Modified Cement Mortar Using Polypropylene Fiber)

  • 김민성;심상락;류동우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05-311
    • /
    • 2020
  • 기존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PCM)는 일반적인 시멘트 모르타르에 비해 부착강도, 휨강도, 내약품성 등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철근콘크리트(RC)구조물의 보수·보강 시 폭넓게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PCM은 화재와 같은 고온 환경에서 폭렬발생 가능성이 높아 구조안전성에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폭렬저감 PCM 개발을 목적으로 폴리머 혼입률(2%, 4%, 6%), PP 섬유길이(6mm, 12mm, 6+12mm), PP 섬유혼입률(0.05 Vol%, 0.1 Vol%)을 실험인자로 선정하여 전기로 가열실험(600℃, 800℃)을 진행하였다. 폭렬특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폴리머 혼입률이 6% 이상인 경우에는 섬유혼입에 따른 폭렬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Dynamic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damage prediction of RC columns subjected to severe impulsive loading

  • Abedini, Masoud;Zhang, Chunwei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77권4호
    • /
    • pp.441-461
    • /
    • 2021
  • Reinforced concrete (RC) columns are crucial in building structures and they are of higher vulnerability to terrorist threat than any other structural elements. Thus it is of great interest and necessity to achiev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possible responses of RC columns when exposed to high intensive blast loads.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nalytical formulas to assess vulnerability of RC columns using an advanced numerical modelling approach. This investigation is necessary as the effect of blast loads would be minimal to the RC structure if the explosive charge is located at the safe standoff distance from the main columns in the building and therefore minimizes the chance of disastrous collapse of the RC columns. In the current research, finite element model is developed for RC columns using LS-DYNA program that includes a comprehensive discussion of the material models, element formulation, boundary condition and loading methods. Numerical model is validated to aid in the study of RC column testing against the explosion field test results. Residual capacity of RC column is selected as damage criteria. Intensive investigations using Arbitrary Lagrangian Eulerian (ALE) methodology are then implement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scaled distance, column dimension, concrete and steel reinforcement properties and axial load index on the vulnerability of RC columns. The generated empirical formulae can be used by the designers to predict a damage degree of new column design when consider explosive loads. With an extensive knowledge on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of RC structures under blast explosion, advancement to the convention design of structural elements can be achieved to improve the column survivability, while reducing the lethality of explosive attack and in turn providing a safer environment for the 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