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eriential Device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31초

가상현실 기반 체험형 전기안전 교육 시스템의 개발 및 효과 분석 (Development and Effect Analysis of Experiential Electrical Safety Education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 전정채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5권10호
    • /
    • pp.1767-1773
    • /
    • 2016
  • Every year, lives are lost due to electrical safety accidents that could have been prevented with proper education and awareness of electrical safety. To prevent such accidents, experiential education is more effective than indoctrination education. This paper describes the electrical safety education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VR) and evaluates effect of the proposed system. Users operated the experiential electrical safety education system, and they were provided electrical stimulation in an electric shock experience using a haptic device. Appropriate stimulation values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age (children vs. adults) and gender through experiment. The scenario in which participants experience electrical safety in the home environment was structured, and related educational contents was produced. A total of 68 healthy elementary students evaluated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syste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ducational effect and the sustainability of effect of the proposed system are superior to those of existing multimedia learning methods. By implementing electrical safety education stimulating the senses of human, the learning effect was promoted and this experiential education would be able to prevent electrical accidents.

경험표집법을 이용한 고등학생들의 생활경험에 관한 연구: 주된 활동과, 활동 공간, 및 플로우를 중심으로 (An Experiential Study of a Week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on What They Do, Where They Go, and How They Feel Flow)

  • 최인수;김순옥;황선진;이수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8호
    • /
    • pp.213-22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weekly life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especially focused on their activities, locations, and flow.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16 high school students by the Experiential Sampling Method, employing a cellular-phone as a signaling device. Students reported, in response to the 6964 random signals, that 43.4% of their time was spent for social/leisure activities. An additional 31% percent of time was used for productive activities and the rest of times belonged to maintenance activities. When engaged in productive activities, they usually reported anxiety, while they felt bored for social/leisure activities and flow for maintenance activities. The most pervasive context of their lives was school (42.8%), followed by home (33.3%), public space (24.6%), and educational institutes (9.2%). In general, they experienced flow for the most of the locations, except educational settings in which they felt anxiety. The flow for productive activities varied by gender, pending on where they had productive activities, while other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tivity flow by locations.

현대건축의 공간구성에서 나타나는 현상학적 중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enomenological Centrality shown in Spatial Organization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since 1960s)

  • 서정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56-64
    • /
    • 2006
  • From ancient times to today the formation of centrality in architecture has taken very important role as an organizing device. However after 19th century modem architecture focused on the universal aspect and homogeneity of space, and developed its own vocabulary through de-centralization. Since 1960's the reflections on de-humanized space of modem space have been evloved. As those movement has been understood seriously, the centrality can be changed to phenomenological one. And The phenomenological centrality maintains organic balance with its surroundings not trying to form a hierarchic system. So it shows human-oriented tendency and facilitates experiential movements of human body. And it also gives a sense of being. The phenomenological centrality is comprised of center, boundary, and two types of axis. The characteristics of phenomenological centrality can be analyzed as practical and meaningful center, visible boundary, experiential movement, and unexpectable encounters with spaces and nature.

디지털 콘텐츠의 확산과 공감 기반 소비행동에서의 경험과 몰입의 의미 (The meaning of experience and immersion to the diffusion of digital contents and consumption behavior based on arousal)

  • 김연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387-392
    • /
    • 2013
  • 본 연구는 웹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콘텐츠 공유와 소비자들의 참여행동에 대한 소비심리, 소비문화의 감성적 요인을 소비자의 정보 콘텐츠 선택행동에 관한 경험론적 관점에서 재해석하고자 하였다. 네트워크상의 많은 소비자들은 도전감, 자기표현감, 인간적 유대감등 사회심리적 요인들에 의해 네트워크에 플로우 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플로우의 발생기저로서 소비자들의 소비문화 및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소비자역할의 변화를 중요 설명배경으로 제시하였고 소비자들의 경험적 가치관과 몰입하고자 하는 니즈를 소비행동의 중요 이론적 기저로 분석하여 명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환경 그리고 향후 변화의 중심에 있는 컨버전스 환경과 소비자들의 소비문화, 소비자선택행동이 어떠한 기저적 맥락에서 상호 연계되어 있는가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한 이론 연구를 수행하여 기업의 콘텐츠 상품 및 서비스 기획의 기초자료로서 정책응용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3D프린팅을 활용한 스토리 기반 성장형 콘텐츠 개발 (Development of story-based growth type content using 3D printing)

  • 이영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1호
    • /
    • pp.27-32
    • /
    • 2018
  • 최근 AR 기반 스토리텔링을 위한 체험학습 콘텐츠가 많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3D프린터를 활용하여 체험학습의 흥미와 재미를 더할 수 있는 스토리기반의 성장형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한다. 3D프린터를 활용하여 출력한 캐릭터는 개인 기념품으로 소장함으로써 그 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고, 성장형 콘텐츠를 통해 지역문화와 역사 그리고 관광 생태 체험을 함으로써 이해와 재미를 증진시킬 수 있어 교육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체험학습 할 지역의 문화와 생태에 대해 오브젝트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가상으로 생성시켜 성장과정을 거친 후 3D 프린터를 활용하여 결과물을 개인 기념품으로 출력함으로써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체험 학습용 콘텐츠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것이다. 개발된 체험 학습용 콘텐츠 어플리케이션은 학생 및 관광객을 대상으로 관광 정보 제공 및 학습용 콘텐츠로 활용 할 수 있으며, 3D프린팅 기술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 개발을 하기 위한 새로운 원동력이 될 수 있다.

가상현실 체험형 디바이스를 활용한 스마트 헬스케어 콘텐츠 개발 (Development of Smart Healthcare Contents using Virtual Reality Experiential Devices)

  • 홍성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739-744
    • /
    • 2022
  • 최근 기술이 좋아지며 편리함을 충분히 누리고 있는 현대인들은 편리함 다음으로 건강을 추구함에 따라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기업에서 VR을 적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에 시장에 출시된 제품들은 가격이 비싸거나 전문적인 제품이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사용하기에는 힘든 부분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아두이노와 시중에서 판매되는 일반 자전거를 활용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언제 어디서든지 가상현실 체험과 운동을 통해 건강을 챙길 수 있는 스마트 헬스케어 콘텐츠를 제안한다.

LCD용 백라이트의 CCFL 구동을 위한 특성해석 (Characteristic Analysis for CCFL drive of LCD backlight)

  • 주경돈;윤신용;김철진;백수현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기기 및 에너지변환시스템부문
    • /
    • pp.199-202
    • /
    • 2004
  •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are used to backlight of LCD(Liquid Crystal Display). This paper presents analysis of half-bridge type resonant inverter of CCFL drive in order to stable characteristics, and fluorescent lamp operation frequency is higher than resonant frequency for safe operation. Besides, The Piezoelectric ceramic transformer (PZT) is electro-mechanical device that transfers electrical energy through a mechanical vibration. The modified equivalent circuit model of the PZT considering the operating current level is derived to design the CCFL. The validity of this study was confirmed from the simulation and experiential result.

  • PDF

데이터 글로브를 통한 체감형 인터페이스 구성 (Make experiential Interface using the Data glove device)

  • 고성학;김희철;박능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0-32
    • /
    • 2011
  • 본 연구는 보다 직관적이고 체감적인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의 데이터 글로브를 제시한다. 검지부터 소지까지 총 4개의 손가락 움직임을 감지하고 3-Axis Acceleration Sensor를 통하여 움직임을 감지, 전송하는 데이터 글로브 디바이스를 설계하고, 본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값을 처리하여 어플리케이션에 적용 가능한 데이터로 전환하는 방법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또한 이를 통한 실제 체감형 어플리케이션의 구현을 통하여 효율적인 인터페이싱 방안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수업분석 프로그램 설계 및 구현 -한국어 특성 반영과 교사활용도 증진을 위한 UI설계를 적용하여-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rt Device Application for Instructional Analysis)

  • 강두봉;정주훈;김영환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31-4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업 개선을 위한 수업분석 프로그램을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설계 및 구현한 데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간소화하고, 서술어가 뒤에 나오는 한국어 특성을 감안하였으며, 입체적 분석을 위해 Flanders의 '언어상호작용 분석법', Tuckman의 '수업분위기 분석법', Mcgraw의 '과업집중 분석법'의 3가지 방법을 통한 분석이 가능하게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과 달리 위 3가지 특징을 적용하여 교사들이 손쉽게 스스로 자신의 수업을 분석할 수 있는 앱을 개발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일선 교사들은 다른 교사의 도움이나 전문적 지식 없이도 수업을 분석하고 피드백 할 수 있어 자발적 수업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최근의 수업 환경에 맞는 수업분석 기법 및 음성인식 시스템 등의 연구와 연계하여 수업분석 원리의 정립과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에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UI 환경의 유저 사용 만족도 연구 (A study on user satisfaction in TUI environment)

  • 최흥렬;양승용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13-127
    • /
    • 2015
  • An interface in smart device environment is changing to TUI(touch user interface) environment where a system is being controlled by physical touch, differently from a system controlled through conventional mouse and keyboard. What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in this TUI environment is to implement interface in consideration of learn ability and cognitive constructivism according to user's experience. Therefore, now is the time when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various studies on smart content design process going a step farther together with discussing the details of user's experience factor. Hence, this study was intended to look into what effect a user's experiential traits had on the production of contents for the purpose of measures for improving TUI user satisfaction in order to effectively realize contents in smart environment. Results were yielded by using a statistical empirical analysis such as cross-tabulation analysis according to important variable and user, paired t-test, multiple response analysis, and preference frequency analysis of user preference on the basis of a survey. As a result, a system was presented for implementing DFSS(Design For Six Sigma) process. TUI experience factor can be divided into direct habitual experience, direct learning experience, indirect habitual experience, and indirect learning experience. And in the results of study, it was possible to find that the important variables of this stud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use satisfaction with contents on the whole according to the user convenience of smart conte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fficient smart device-based contents production by providing objective information according to empirical analysis to smart media-based developer and designer and presenting a model for improving the changed TUI us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