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ectation Regarding Aging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건강검진 수검자의 노화에 대한 기대, 우울이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pression, Expectations Regarding Aging on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among Health Checkup Examinee)

  • 양수정;박수인;김현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509-519
    • /
    • 2018
  • 본 연구는 건강검진 수검자를 대상으로 노화에 대한 기대, 우울, 건강증진 생활양식을 조사하고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편의표집에 의해 선정된 G 광역시 M건강검진센터를 내원한 건강검진 수검자인 143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6년 7월 5일부터 21일까지 자기기입 방식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으로 분석되었다. 그 결과, 건강증진 생활양식은 노화에 대한 기대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우울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영향요인은 학력, 지각된 건강상태, 건강관리시설 이동시간, 노화에 대한 기대, 우울이었다. 일반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노화에 대한 기대, 우울의 독립변인을 추가할수록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수행 수준을 보다 잘 설명하였으며, 최종 모델의 설명력은 27.0%로 산출 되었다. 따라서 건강증진 생활양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신체적인 접근 외에, 인지적(지식, 노화에 대한 기대), 심리적 요인(우울)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노화기대가 성인의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xpectations regarding aging on health-promoting behaviors)

  • 배혜영;김아란별;남수진;윤지아;윤해주;김가영;장다혜;김수현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5권1호
    • /
    • pp.77-85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성인층을 대상으로 연령대별 노화에 대한 기대수준과 건강증진행위 정도를 파악하고, 노화기대가 개인의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대구 경북지역의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 20~50대 성인 233명으로, 직접 접촉을 통한 설문 조사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노화기대 점수는 연령대가 높을수록 낮게 나타나, 노화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노화기대 점수는 신체건강 영역에서 가장 낮았고 정신건강 영역에서 가장 높았다. 각 연령대별로 건강증진행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0~30대 대상자에서는 노화기대가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40~50대 집단에서는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따라서 노화를 긍정적이며 능동적이고, 자연스러운 자기선택적인 변화로 바라볼 수 있도록 인식의 전환을 유도 할 필요가 있겠으며, 특히 20~30대의 건강증진행위를 증진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긍정적인 노화기대를 가지도록 지지할 필요가 있겠다.

보행자의 선호 보행방향에 관한 조사 및 분석 (Survey and Analysis of Pedestrians' Preferences on Walking Directions)

  • 정인주;정화식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75-83
    • /
    • 2007
  • Why do some countries walk on the right and others on the left? People have a dominant hand which leads to a natural tendency to favor one side of the road or another depending on the means of transportation being used.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ereotype of Korean regarding preferred walking direction in encountering various facilities and provide the appropriate information to traffic policy makers. Six hundred Korean male and female subjects aging from 12 to 83 were selected to investigate the various statistics about their preferred walking direction and their employment characteristics on walking diverse facilities. The walking directions of eleven different facilities were asked along with other relative subjects' characteristics(e.g., age, gender, hand and foot dominance)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obtained data. The descriptive statistics showed that 73.7% and 26.3% were preferred walking right and left direction respectively. Moreover, various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that general tendency of walking direction was varied by hand and foot dominances. There were strong tendency that right-handed people prefer walking right side of the road and vise versa, hence this should be considered in setting up traffic policies. As a concluding remark, it is better to design traffic policies and regulations in the way that peoples' preference and expec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