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er-bearing strawberry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2초

연질 PE관을 이용한 여름딸기 부분냉방기술 개발 (Spot Cooling System Development for Ever-bearing Strawberry by Using Low Density Polyethylene Pipe)

  • 문종필;강금춘;권진경;이수장;이종남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6권6호
    • /
    • pp.149-158
    • /
    • 2014
  • The effects of spot cooling on growing ever-bearing strawberry in hydroponic cultivation during summer by spot cooling system was estimated in plastic greenhouse located in Pyeongchang. The temperature of cooling water was controlled by heat pump and maintained at the range of $15{\sim}20^{\circ}C$. Cooling pipes were installed in root zone and very close to crown. Spot cooling effect was estimated by applying system in three cases which were cooling root zone, crown plus root zone, and crown only. White low density polyethylene pipe in nominal diameter of 16 mm was installed on crown spot, and Stainless steel flexible pipe in nominal diameter of 15A was installed in root zone. Crown and root zone cooling water circulation was continuously performed at flowrates of 300 ~ 600 L/hr all day long. Strawberry yields by test beds were surveyed from Aug. 1 to Sep. 30. The accumulated yield growth rate compared with a control bed of crown cooling bed was 25 % and that of crown plus root zone cooling bed was 25 % and that of root zone cooling bed was 20 %. The temperatures of root spot in root zone cooling was maintained at $18{\sim}23.0^{\circ}C$ and that of crown spot in crown cooling was maintained at $19{\sim}24^{\circ}C$. Also, the temperatures of root spot in crown plus root zone cooling bed was maintained at $17.0{\sim}22.0^{\circ}C$ and that of crown spot was maintained at $19{\sim}25^{\circ}C$.

First report of anthracnose crown rot caused by Colletotrichum siamense on strawberry in Korea

  • Myeong Hyeon Nam;Myung Soo Park;Je hyeok Yoo;Byung Joo Lee;Jong Nam Lee
    • 한국균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35-241
    • /
    • 2022
  • Anthracnose crown rot (ACR) has been observed in greenhouses during the nursery and harvest seasons in Gangwon Province, Korea. Infected plants showed black leaf spot, dark sunken pink conidial masses on petioles, wilting, and eventually death. Five isolates were obtained from the lesions of strawberry plants and were identified as a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species complex based on their cultur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Multilocus sequence analysis of actin, calmodulin, chitin synthase, glyceraldehyde-3-phophate dehydrogenase genes, and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DNA regions showed that the isolates formed a monophyletic group with the type strain of C. siamense. Pathogenicity tests were performed on the isolate, and Koch's postulate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totrichum sp. and the strawberry plant variety Seolhyang. The isolate was pathogenic to strawberry plants, which exhibited typical ACR symptom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pathogenicity, and DNA sequence analyses, the fungus isolated in Korea was identified as C. siamense. This is first time C. siamense has been confirmed in ever-bearing strawberry varieties in Korea.

Breeding of New Ever-bearing Strawberry "Doha" Variety

  • Jong Nam Lee;Jong Taek Suh;Su Jeong Kim;Hwang Bae Sohn;Do Yeon Kim;Jung Hwan Nam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825-830
    • /
    • 2022
  • "Doha" is a new strawberry (Fragaria x ananassa Duch.) variety, which was released by the Highland Agriculture Research Institute in 2021. The "Doha" variety originates from a 2014 cross between "Saebong No. 3" and "Yeolha," both of which exhibited excellent ever-bearing characteristics, including continuous flowering and large fruits under long-day and high temperature conditions. This new cultivar was initially named "Saebong No. 13" after examining its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during summer cultivation between 2015 and 2018. After regional adaptability tests, "Doha" was selected from "Saebong No. 13" as an elite cultiva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Doha" include spreading, elliptic leaves, and strong growth. The fruits are long and conical and of a red color. The plant height of "Doha" was similar to that of "Goha," but the number of leaves was lower. The number of flower clusters of "Doha" was 8.6, which was 2.8 fewer than that of the control variety, "Goha," with 11.4. The average fruit weight of "Doha" was 13.9 g, which was 4.9 g heavier than that of "Goha." The fruit hardness of "Doha" was 35.5 g·mm-2, which was 9.4 g·mm-2 harder than that of "Goha." The marketable yield of "Doha" was 26,971 kg·ha-1, 125% more than that of "Goha" with 21,479 kg·ha-1.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Doha" is a hard fruit and high-yielding variety of ever-bearing strawberries that could increase farming income when distributing to farmers.

신품종 사계성 딸기 '고하'의 고랭지 여름재배 시 관부수와 화방제거에 따른 생육 및 수량 (Growth and Yield as Affected by Controlled Crowns of the New Ever-bearing Strawberry 'Goha' in Highlands)

  • 이종남;김혜진;김기덕;유동림;임주성;용영록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1호
    • /
    • pp.41-45
    • /
    • 2014
  • 본 실험은 고랭지에서 신품종 사계성 딸기 '고하' 품종의 생육 및 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관부수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정식은 4월 29일에 재식거리를 $55{\times}30cm$로 실시하였으며, 시험구 처리는 관부수를 1, 3, 5개로 하고 대조구로 방임을 두었다. 생육초기에 관부수가 적을수록 잎은 커졌고, 화방경은 굵어졌다. 최종수확 시 초장은 크라운수가 많을수록 길어졌다. 생체중은 관부수 방임구가 118g으로 관부수 1개구의 40.8g보다 77.2g이 더 무거웠다. 발생된 화방수는 관부수 5개구와 방임구가 20.1개로 관부수 1개구의 6.8개에 비해 13.3개가 더 많았다. 그러나 관부수에 따른 과실품질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관부수가 많을수록 평균과중은 가벼웠으며, 상품과율은 감소하였다. 상품수량은 관부수 방임구가 $17,372kg{\cdot}ha^{-1}$로 가장 많았으며, 관부수 1개구에 비해 68% 증수되었다. 따라서 고랭지 사계성 딸기 '고하'의 여름재배 시 안정생산을 위해서는 관부는 방임하며, 화방굵기가 3mm 이하인 화방은 제거하는 것이 가장 적당하였다.

사계성 신품종 딸기 '고하'의 기내배양을 위한 배지의 적정 조건 (Appropriate in Vitro Culture Conditions of Growing Medium for New Ever-bearing Strawberry 'Goha')

  • 이종남;김혜진;김기덕;권영석;임주성;용영록;임학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6호
    • /
    • pp.1051-1056
    • /
    • 2010
  • 본 실험은 신품종 사계성 딸기 '고하'의 무병주 생산을 위해 기내배양 시 적정조건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식물 재료로는 생장점 배양 후 4주된 유식물체를 이용하였다. 배지 종류는 MS배지, Gamborg B5배지 및 White배지 등 3종류를 사용하였다. MS배지 농도는 1/3배, 1/2배, 1배, 2배, 3배 농도 등 5처리, sucrose 농도는 1, 3, 5 및 8% (w/v) 등 4처리를 두었다. 배지 종류별 실험 결과, MS배지의 관부직경이 2.1mm로 가장 굵었다. 생체중은 MS배지가 482mg으로 Gamborg B5배지의 394mg과 White배지의 222mg에 비해 88g, 260g 각각 더 무거웠다. MS배지 1/2배 처리가 생체 중, 건물중, D/F율 등의 생육량이 다른 농도에 비해 높았다. 초장은 sucrose 1%에서 3.6cm로 가장 길었으며, 농도가 높아질수록 점점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생체중은 sucrose 3% 농도까지 증가하다가 5%이상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사계성 딸기 '고하'의 기내배양 시 1/2 MS 배지에 sucrose 1%을 첨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고랭지 사계성 딸기의 양액재배시 묘 생산 및 저장방법 (Production and Storage Technique of Ever-bearing Strawberry Transplant for Hydroponic Culture on Highlands in Summer Season)

  • 이종남;이응호;이준구;류승열;용영록;박한영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80-283
    • /
    • 2005
  • 본 실험은 고랭지에서 사계성딸기의 고설벤치식 양액재배시 묘의 생산 및 저장방법에 따른 생육 및 수량을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처리는 주냉장묘, 노지월동묘, 폿트냉장묘와 1년생묘였다. 정식시 묘의 생육량은 폿트냉장이 가장 많았다. C/N율은 1년생이 19.5로 가장 낮았고, 폿트냉장은 39.2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첫 수확기의 생육량은 처리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년생의 첫 수확시기는 다른 처리에 비해 $5\~9$일 늦었다. 1년생의 평균과중은 12.6g으로 가장 무거웠다. 상품수량은 폿트냉장이 가장 많았고, 1년생, 주냉장, 노지월동 순으로 많았다. 따라서 고랭지에서 단경기생산을 위한 사계성 딸기의 정식묘는 폿트냉장이 가장 좋았다.

Bioreactor를 이용한 사계성 딸기 기내대량증식과 경제성 (In Vitro Mass Propagation and Economic Effects of Bioreactor Culture in Ever-bearing Strawberry 'Goha')

  • 이종남;김혜진;김기덕;권영석;임주성;임학태;용영록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5호
    • /
    • pp.845-849
    • /
    • 2010
  • 본 실험은 여름딸기 무병묘 대량증식을 위해 bioreactor배양의 증식 및 경제성 효과를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배양 방법은 반고체, 고체, 현탁배양 및 bioreactor 배양 등 4가지 방법을 이용하였다. 배양 6주 후, 식물체의 초장은 고체배양이 3.6cm로 가장 짧았으며, bioreactor 배양이 8.3cm로 가장 길었다. 생체중과 건물중은 bioreactor 배양이 2,261mg과 525mg으로 다른 배양방법에 비하여 가장 무거웠다. 액아는 반고체, 고체 및 현탁배양은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나, bioreactor 배양은 주당 7개의 액아가 발생하였다. 경제성 분석 결과 기본식물 생산 시 bioreactor배양이 303원/주으로 고체배양의 845원/주보다 542원/주 적었다. 따라서 딸기 무병묘 생산 시 bioreactor배양이 대량증식 및 경제적인 면에서 효율적이었다.

관상용 사계성 딸기 '관하' 육성 (Characteristics of New Ever-bearing Strawberry 'Gwanha' Cultivar for Ornamental Horticulture)

  • 이종남;김혜진;김기덕;유동림;서종택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6호
    • /
    • pp.784-787
    • /
    • 2012
  • '관하(Gwanha)'는 2007년 '수캄보디아베리(Sucambodiaberry)' 품종을 모본으로 하고 '셀바(Selva)' 품종을 부본으로 교배하여 고온장일조건에서 분홍꽃이 피고 화방이 계속 출현되는 우수한 사계성 개체를 선발한 것이다. 고랭지의 여름재배 작형에서 2009-2011년 생산력 검정, 특성검정을 거쳐 '새봉 4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였고, '관하'로 명명하였다. '관하'의 초형은 개장형이며, 엽형은 타원형이며, 초세는 중 정도이다. 과실모양은 쐐기형으로 길지 않으며, 과색은 홍색으로 관상용 딸기품종 중 유일하게 식용이 가능하다. '관하'의 화색은 분홍색으로 화방이 많이 발생한다. '관하'의 평균 과중은 7.8g이고, 상품수량은 낮은 상품률 때문에 비교적 낮다. 병해저항성은 시듦병에 저항성이다. '관하'는 고온장일 조건에서도 화방이 연속으로 출뢰하여 관상용으로 적당한 사계성딸기 품종이다.

버섯재배시설의 냉공기 이용이 사계성딸기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duction of Ever-bearing Strawberries Using Cool Air from Mushroom Cultivation House)

  • 정윤경;박주현;하태문;이영석;서명훈;김인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8-37
    • /
    • 2019
  • 버섯재배사에서 방출되는 $CO_2$를 함유한 $15^{\circ}C-20^{\circ}C$의 공기를 딸기재배 하우스에 자동적으로 포집하고 전달하는 자동제어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2017년 6월부터 다양한 위치에서 온도변화를 수집한 결과, 고설베드 딸기하우스의 평균온도는 주간과 야간 온도가 각각 $33^{\circ}C$$26^{\circ}C$인 반면 3단 이동식베드는 $26^{\circ}C$$21^{\circ}C$ 수준이 유지되어 있었다. 버섯재배사의 $CO_2$함유 농도는 800-1,600 ppm 수준이었다. 3단 이동식베드에 처리한 딸기의 생육특성중 엽수와 관부직경은 무처리구인 고설베드에 비해 유의성 있는 차이가 있었으며, 고온기 정상과와 기형과의 착과특성 또한 3단이동식베드가 고설베드에 비해 유의성 있게 양호한 상태유지가 되어 과실특성인 과장과 수량이 2배이상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에, 고온기에 버섯재배사에서 방출되는 시원한 공기 활용으로 딸기의 관부주변과 엽온의 온도가 정상생육 수준으로 유지가 되어 사계성 딸기품종을 국내에서도 재배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사계성 딸기 '고하' 조직배양묘의 대량증식 시 생물반응기 내 공기주입량에 따른 생육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in Vitro Mass Propagated Plantlets of Ever-bearing Strawberry 'Goha' according to Aeration Rate in Bioreactor)

  • 김혜진;이종남;김기덕;임주성;임학태;용영록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4호
    • /
    • pp.432-436
    • /
    • 2012
  • 본 실험은 사계성 딸기의 무병묘 생산을 위한 생물반응기 배양 시 공기주입량에 따른 생육특성을 비교하고, 적정 공기주입량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생물반응기 내 공기주입량은 0.1vvm, 0.2vvm, 0.3vvm 및 0.4vvm 등 4 수준으로 처리하였다. 공기주입량 0.2vvm에서 초장이 9.03cm로 가장 길었으며, 엽수는 40.4개, 생체중은 6,106mg으로 타처리구에 비해 생육이 왕성하였다. 생물반응기 배양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잎, 뿌리 등이 점진적으로 많이 발생하였으며, 유식물체의 생체중도 급격히 늘어났으며, 배양 6주째에는 신초수가 주당 10.4개 발생하였으며 완전한 하나의 독립된 식물체로 발달되었다. 그리고 생물반응기 내의 공기는 0.2vvm으로 지속적으로 공급해주며, 최소 6주간 배양해야 완전한 식물체로 성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