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ical Consumption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3초

사회심리적 요인과 윤리적 소비교육 경험이 청소년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ocio-psychological factors and educational experience on adolescent consumers'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 최경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7-83
    • /
    • 2015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윤리적 소비행동을 정착시키기 위해 청소년들의 윤리적 소비행동 경향을 알아보고 사회심리적 요인과 윤리적 소비교육 경험이 청소년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지역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552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 행동에 대한 일반적 경향의 평균값이 2.61(SD=0.81)에서 3.08(SD=0.75)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인 변인에 따른 청소년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행동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공정무역제품 소비의 경우, 종교가 있는 집단, 계층인식이 중상층이상 집단, 부의 학력이 대학원이상 집단이, 기부와 나눔은 종교가 있는 집단, 계층인식이 중상층이상 집단, 부의 학력이 대학원이상 집단, 모의 학력이 대학이상 집단이, 환경친화적 소비에서도 종교가 있는 집단, 계층인식이 상층이상 집단, 모의 학력이 전문대졸이상 집단이 상대적으로 윤리적 소비행동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 계층인식, 부와 모의 학력이 청소년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청소년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행동에 미치는 사회심리적 요인과 윤리적 소비교육 경험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공정무역제품 소비는 윤리적 소비자교육, 환경친화적 가치, 물질주의, 절약성, 대중매체 순으로 상대적 영향력이 나타났다. 기부와 나눔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은 물질주의, 윤리적 소비자교육, 대중매체와 환경친화적 가치 순으로 나타났다. 로컬소비는 환경친화적 가치, 소비자교육, 물질주의, 대중매체, 절약성 순으로 상대적 영향력이 나타났다. 환경친화적 소비의 상대적 영향력은 환경친화적 가치, 물질주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청소년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행동의 정착과 함양을 위하여 가치 지향적 윤리적 소비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 PDF

비건 패션의 범주와 실천 방안 모색 (A Review of the Vegan Fashion Category and a Practical Plan for Ethical Consumption)

  • 배수정
    • 패션비즈니스
    • /
    • 제24권2호
    • /
    • pp.68-84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uggest a Practical Plan for ethical consumption by reviewing the category of Vegan Fashion and investigating its Social Value of vegan fashion. This will be achieved through investigating the papers and official home pages of 13 selected Vegan Fashion brands. It was found that in terms of use of materials such as leather, fur and organic fibers the brands can be divided into three sections: fur-free, cruelty-free and perfect vegan. A Practical Plan is suggested based on the aspects of production, consumption, distribution and education. Firstly, the provider should be required to understand vegan materials deeply, it is also desirable for them to get vegan certifications. Secondly, the seller should also understand about vegan materials, and be able to explain this to consumers. The education from the seller is vital and the meaning of logos and associated contents used by the label should be clearly explained to consumers. Thirdly, the association of consumers, and fashion brands should cooperate to enhance the level of general understanding in society further, this should influence new laws, that address ethical issues regarding the use of fur in fashion. Environmental problem of the future might be reduced if the stakeholders in Vegan Fashion are cooperatively and actively trying to educate the general population and make Vegan Fashion popular and ethical consumption popular.

공정무역커피 소비자의 가치, 태도 및 행동의도의 인과관계 - 윤리적 소비의식의 조절효과 - (Effect of Values on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s of Consumers towards Fair Trade Coffee - Moderating Effect of Ethical Consumption Consciousness -)

  • 박선우;윤혜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57-267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values towards Korea fair trade coffee consumers upon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s and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s of ethical consumption consciousness between relationships among values,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s. A total of 283 data were analyzed for consumers of fair trade coffee residing in Seoul. Structural equation models were us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chwartz (1994)'s 30 value items were factored into four areas: openness to change, self-enhancement, conservation, and self-transcendence. The value of 'self-transcendenc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attitudes toward fair trade coffee, whereas 'openness to change' ha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Positive attitude toward fair trade coffee showed a significant impact on intentions to buy fair trade coffee. In addition, a moderating effect of ethical consumption consciousness between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was found.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대학생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와 관련변인 : 교육경험변인과 사회심리적 변인의 효과를 중심으로 (The Ethical Consumptions and Related Variables of the Undergraduate)

  • 홍은실;신효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5호
    • /
    • pp.131-149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the levels of ethical consumptions and related factors on ethics of undergraduates as consumers. For statistical analysis, Cronbach' ${\alpha}$, factor analysis, t-test,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earson co-relationship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a total of 761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cores to measure ethical consumptions level of the undergraduates was ranged from 2.66 to 3.64, which were relatively low. 2. The ethical consumptions in the commercial transaction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college years, and religion. The ethical consumptions of current generation were found to hav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ir gender, college years, major, parents's education level, monthly allowance, and religion. The ethical consumptions of future generation were found be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their gender, college years, mother's education level, father's occupation,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monthly allowance. 3. The major variables affecting the level of the ethical consumptions in the commercial transaction were materialism, social responsibility, idealism and college years. The major variables affecting the level of the ethical consumptions of current generation resulted from social responsibility, frequency contact with the mass media about the ethical consumptions, religions, and materialism. Social responsibility, frequency contact with the mass media about the ethical consumptions, idealism, expenditure, experience about the consumption education and materialism were the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the ethical consumptions of future generation.

전남지역 청소년기 여학생의 쇼핑유형과 의류제품의 윤리적 소비행동 연구 (The Ethical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of Female Adolescents in Jeollanamdo Area by their Shopping Orientation)

  • 위은하;박우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7-71
    • /
    • 2019
  • 본 연구는 청소년기 학생들의 소비행동을 분석하여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여학생들의 쇼핑성향에 따른 하위요인을 도출하고 이 하위요인에 따른 쇼핑유형을 분류하였다. 이 쇼핑유형의 집단에 따른 청소년 여학생의 의류제품의 윤리적 소비행동 즉 구매, 사용, 처분행동의 차이를 알아보았고, 쇼핑성향의 하위요인이 의류제품의 윤리적 구매, 사용, 처분행동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청소년기의 여학생 의류제품의 윤리적 구매, 사용, 처분행동의 경향이 보통보다 낮아 교육이 필요함이 시사되었다. 그리고 쇼핑성향의 하위요인인 충성적 성향, 향유적 성향, 충동적 성향, 모방적 성향, 독립적 성향에 따라 즐거움추구 유형, 중간 유형, 독립추구 유형의 세 쇼핑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즐거움추구 쇼핑유형은 상대적으로 의류제품의 윤리적 사용행동을 가장 많이 하였고, 독립추구 쇼핑유형은 윤리적 구매행동과 윤리적 처분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쇼핑자체를 즐기는 욕구만족의 성향이 낮을수록 혼자서 의사결정을 신중하게 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높을수록, 그리고 구매상표와 점포에 대한 신뢰가 강한 능동적인 성향이 높을수록 의류제품의 윤리적 구매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반면 욕구만족의 성향과 독립적인 성향을 모두 가진 경우 윤리적 사용행동은 더 많이 하였다. 그리고 혼자서 구매의사결정을 하는 독립적 성향만 높을수록 윤리적 처분행동은 높아졌다. 소비단계와 쇼핑성향에 적합한 세분화된 소비자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소비자의 소비성향과 패션제품 소비태도가 공정무역 패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nsumption propensity and fashion product consumption attitude on fair trade fashion product purchase intension)

  • 송예진;신상무
    • 복식문화연구
    • /
    • 제25권5호
    • /
    • pp.656-669
    • /
    • 2017
  • Fair trade implies honest wages and eco-friendly products in keeping with the demands of ethical consumerism. Although consumers are presently more interested in fair trade products, it is hard to find aggressive marketing strategies for fair trade fashion produc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consumption propensity on fast and slow fashion goods consumption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 on fair trade fashion products. For method of this study, 229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consumers residing in Seoul, South Korea. The data from the 219 returned usable questionnaires was analyzed by Cronbach's alpha,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2.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sumption propensities of spontaneity, histrionics, and imitative nature in descending order positively affect consumption attitude for fast fashion products. And green consumerism negatively affects consumption attitude for fast fashion products. Second, consumption propensity such as donation & sharing consumerism, ethical consumerism, green consumerism, histrionics, and imitative nature in descending order positively affect consumption attitude for slow fashion products. Third, slow and fast fashion products consumption attitude in descending order positively affect purchase intention on fair trade fashion products. Fourth, consumption propensities such as ethical consumerism, green consumerism, and donation & sharing consumerism in descending order positively affect purchase intention on fair trade fashion products. Therefore fair trade fashion products with various usages and sustainable high quality are promoted by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ies.

Who Buys Our Brand? The Influence of Consumption Values and the Congruity with Brand Benefits on Brand Identification, Trust and Loyalty

  • Namkung, Sol;Park, Seong-Yeon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22권4호
    • /
    • pp.1-25
    • /
    • 2021
  • This paper explores how the positive effect achieved when consumption value matches brand benefit can increase brand loyalty. Prior research on consumption value mainly focused on perceived value; these studies omit consumers' views of consumption valu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congruence between consumption values (functional, emotional, social, and ethical value) and perceived brand benefits (enabling, enticing, symbolic, and socially responsible benefits) on consumers' brand identification, trust, and loyalty. We find a positive effect on brand identification and brand trust when a consumer's value is similar to a brand benefit, particularly between functional value and enabling benefit, and ethical value and socially responsible benefit. However, congruence between consumption value and perceived brand benefit only had an indirect effect on brand loyalty by mediating brand identification and trust. This study provides a basis for implementing a marketing strategy to build brand assets and increase brand loyalty by providing consumers with the value they want in a diversified market.

소비자 불매운동에 대한 인식유형과 참여의도와의 관련성 (Relevance between Consumer Boycott Participation and Perception Types on the Consumer Boycotts)

  • 전향란;서정희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3권2호
    • /
    • pp.143-155
    • /
    • 2015
  • This study analyzed domestic consumers' perceptions of and participation in consumer boycotts and its relation to ethical consumerism by surveying 1,000 people aged 20 or more with an on-line questionnair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terms of frequency, factor analyses, cluster analysis, ${\chi}^2$,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he research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sumers had an average (or higher) perception level of consumer boycotts and were categorized into consumer boycott groups of pursuit of self-realization, achievement of results, and pursuit of rationality according to perception patterns of consumer boycotts. Second, the consumer boycott group of self-realization exhibited a high intention for participation in economic and ethical consumer boycotts and was active in all aspects compared to other groups; in addition, the consumer boycott group of results achievement was in the lowest level of ethical consumerism with a low intention for participation in consumer boycotts and ethical consumer boycotts along with the lowest perception level for consumer boycotts as ethical consumption. The consumer boycott group of rational pursuit was comparatively skeptical about the influence of consumer boycotts and with a low level of deontological ethical consumerism. They had additional doubts about the effectiveness of consumer boycotts despite being active participants. The study contributes to the establishment of an ethical consumer behavior theory by investigating connections between the perception patterns of and participation in consumer boycotts as well as ethical consumerism as consumer boycotts conceptually expand as a form of ethical consumption.

한국에서의 윤리적 패션 소비자 행동 - 윤리적 패션 소비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중심으로 - (Ethical Fashion Consumer Behavior in Korea - Factors Influencing Ethical Fashion Consumption -)

  • 고애란;노지연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12호
    • /
    • pp.1956-1964
    • /
    • 2009
  • 국내 윤리적 패션 상품 소비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그들의 윤리적 상품 구매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하였다. 윤리적 패션은 환경을 해치지 않는 소재와 생산과정, 공정무역 등을 기반으로한 의식 있는 패션으로, 최근 들어 세계 패션계의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이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관련 연구도 꾸준히 행해지고 있지만 대부분 서구 사회를 기반으로 한 것으로 한국 사회의 윤리적 패션 상품 소비 행동을 이해하는 데는 한계가 따른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윤리적 패션 상품을 한 번 이상 구매한 경험이 있는 윤리적 패션 상품 소비자와 윤리적 패션 상품 구매 경험이 없는 소비자 간의 차이를 규명하였다. 또한, 소비자 효과성 지각, 가치(Self-direction, Benevolence, Universalism), 사회적 책임감, 지각된 통제 요인, 체면 의식, 집단 동조 의식이 윤리적 패션 상품 소비자의 윤리적 상품구매 행동에 대한 태도와 향후 일반적인 윤리적 상품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자료수집을 위해 2009년 4월 20일부터 6월 7일까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한 양적 조사를 실시했고, 편의표본 추출법을 사용하였다. 윤리적 소비 혹은 윤리적 상품의 개념에 대해 알고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총 494명의 응답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구매한 경험이 있는 윤리적 패션 아이템은 액세서리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성인의류, 아동의류, 쥬얼리, 신발 순이었다. 윤리적 패션 상품을 구매하게 된 이유는 공정하게 거래된 제품이어서, 디자인, 기부할 수 있어서, 품질, 주변인의 권유로 등이 있었다. 독립표본 t-test를 통해 윤리적 패션 상품 소비자와 아닌 소비자 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윤리적 패션 상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는 아닌 소비자에 비해 윤리적 상품 구매 행동에 대한 태도와 향후 구매 의도, 체면 의식, 소비자 효과성 지각 요인, 사회적 책임감 요인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윤리적 패션 상품 소비자는 아닌 소비자보다 self-direction, universalism 가치를 자신의 삶에 있어 보다 중요한 가치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중회귀 분석을 통해 윤리적 패션 상품 소비자의 윤리적 상품 구매 행동에 대한 태도와 향후 일반적인 윤리적 상품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본 결과, 윤리적 패션 상품 소비자의 경우, 윤리적 상품 구매 행동에 대한 태도에 소비자 효과성 지각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그 다음으로 benevolence 가치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윤리적 상품의 향후 구매 의도에는 사회적 책임감, benevolence, 태도 순으로 영향을 받고, 집단 동조 의의 경우 오히려 윤리적 상품 구매 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의 관계적 지리와 윤리적 지리교육 (A Relational Geography of Consumption and Ethical Geography Education)

  • 김병연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39-254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일상적 소비의 맥락 속에서 인간-비인간, 장소에 대한 이해의 관계적 전환에 기반하여 윤리적 지리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해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학생들이 소비하는 상품 네트워크가 탈 국지화되면서 타자에 대한 책임과 배려의 윤리가 축소되는 상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어서 학생들이 소비와 윤리의 문제를 책임과 배려의 관계적 윤리라는 관점을 통하여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의 토대로서 장소와 인간-비인간의 관계적 이해라는 관점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휴대폰 커넥션을 사례로 소비, 관계적 지리, 책임과 배려의 윤리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윤리적 지리교육의 역할은 학생들이 자신들의 삶 속에서 부재하는 현존으로서 다양한 인간 및 비인간들과 연계감을 가지고 이들에 대하여 더 많은 책임과 배려를 제공할 수 있는 인식적, 실천적 능력을 가지도록 하는데 있다는 점을 주장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