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sential

검색결과 24,912건 처리시간 0.05초

서양측백나무 잎으로부터 식물정유 추출 및 생리활성 (Extrac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 from Thuja occidental Leaves)

  • 서원택;양재경;강병국;박우진;홍성철;강영민;정희영;김용덕;강승미;김선원;최명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364-370
    • /
    • 2003
  • 서양측백나무의 잎으로부터 정유를 steam distillation법으로 추출하고, GC-MS로 정유 조성성분을 분석하였으며, 28종의 미생물종을 대상으로 항균활성을, DPPH법으로 항산화 활성을, 집모기에 대한 살충효과를 검정하였다. 서양측백나무 정유 주성분은 monoterpene류였으며, d-isothujone, l-fenchone, ${\alpha}-thujone$, camphor, terpin-4-ol 순으로 나타났다. 정유의 박테리아에 대한 항균력은 박테리아 중 Streptococcus pyogenes에서, 그리고 효모 및 곰팡이 중 Candida albicans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서양측백나무 정유는 그램 양성균의 박테리아에 대해 가장 장한 항균력을 보였다. 정유는 DPPH radical 소거능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EC_{50}$ 값은 $36\;{\mu}{\ell}/m{\ell}$이었다. 집모기에 대한 살충 효과는 분무, 훈증, 자연증발 등 처리방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그 중 분무처리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환경 친화적인 항균 및 살충소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Medical Skin Care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Esthetic Essential Oils에 의한 Nitric Oxide 생성억제 효과 (Effects of Esthetic Essential Oils on LPS-Induced Nitric Oxide Generation in Murine Marcrophage RAW 264,7 Cells)

  • 홍진태;이화정;이충우;최명숙;손동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1-116
    • /
    • 2006
  • Essential oils은 식물의 2차 대사산물로서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해열 및 항염증작용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어 화장품 및 아로마테라피 소재를 비롯하여 식품, 항료, 의약품 원료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 에스테틱 분야에서도 염증성 피부트러블개선, 주름개선, 노화방지 등 다양한 효능의 피부미용 개선을 목적으로 한 피부관리요법이나 미용관련제품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체계적/객관적 효능 검증 및 작용기작 규명에 대한 과학적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피부염증과 연관지어 33종의 essential oils의 항염증 기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요 염증 매개인자의 일종인 nitric oxide (NO)를 탐색하였다. 그 중 NO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키는 essential oil을 선택하여 농도별로 NO 생성억제효과, 세포독성,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작용기작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medical skin care에서 주로 사용되는 33종의 essential oils(각 $100 {\mu}g/mL$)의 NO 생성억제효과를 탐색한 결과, 항염증 효과로 알려진 Rosemery (12.3%), Chamomile (37.8%), Lavender (14.2%), Cedar Wood (17.3%), Cypress (7.5%) 보다 Lemongrass (95.3%)의 NO 생성 억제율이 높았으며, iNOS발현에서도 억제 효과를 보여주었다. Lemongrass는 농도의존적으로 NO 생성을 억제시켰으며, $IC_{50}$값은 $22 {\mu}g/mL$이다. 결론적으로 Lemongrass oil은 체내 염증반응의 중요 매개인자인 NO의 생성을 억제하는 항염증 물질로서 염증성 피부질환인 여드름피부의 개선 및 예방 제품 개발에 좋은 소재로서의 가능성이 제시되어진다.

개망초꽃 에센셜 오일의 항산화, 항균 및 항염 활성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ssential Oil from Erigeron annuus L. Flower)

  • 이미란;전아림;강창희;부희정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17-725
    • /
    • 2016
  • 본 연구는 개망초꽃 에센셜 오일의 항산화, 항균 및 항염 효능에 관하여 조사한 것이다. 개망초꽃 에센셜 오일은 용매추출법으로 추출하였다. 개망초꽃 에센셜 오일의 항산화 효능은 ABTS 라디칼 소거능과 DPPH 라디칼 소거 효능 측정으로 확인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 효과는 $500{\mu}g/ml$ 농도에서 98.6%, DPPH 라디칼 소거는 48.3%로 좋은 효능을 나타내었다. 항균 활성은 S. aureus와 P. acnes, E. coli 균에 대하여 paper disc법과 최소저해농도(MIC)와 최소사멸농도(MBC)값을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S. aureus 균주에 대해서는 MIC 값과 MBC 값이 모두 0.31 mg/mL 농도에서 우수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P. acnes 균에 대해서는 disc법에서 14 mm의 clear zone 형성과 MIC, MBC에서 각각 0.31 mg/mL, 0.63 mg/mL로 좋은 억제 효과를 보였다. 항염 활성에 관련하여 NO 억제 측정에서도 농도 의존적으로 NO의 생성을 억제시킴을 확인하였고, pro-inflammatory cytokine인 TNF-${\alpha}$, IL-6 역시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개망초꽃 에센셜오일은 항산화, 항균 및 항염 효능을 갖는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산초 종자 정유의 항산화 및 항염 효능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Zanthoxylum schinifolium Essential Oil)

  • 김보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40-445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RAW 264.7 세포에 산초 종자 정유 성분의 항염 및 항산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산초 종자로부터 정유를 추출하였으며,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 활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DPPH 라디칼 소거능과 SOD 유사 활성 평가법을 이용하였다. 또한 세포독성 평가를 위해 MTT를 이용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LPS로 염증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에 대하여 산초 정유가 NO생성과 $PGE_2$ 생성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산초 종자 정유는 농도 의존적으로 DPPH 라디칼 소거능과 SOD 유사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생존율 평가에서는 $40{\mu}g/mL^{-1}$ 이하의 농도에서 98% 이상의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냈으며, 항염 효능 평가에서는 LPS를 단독으로 처리한 양성대조군보다 산초 정유 성분을 처리한 군에서 NO와 $PGE_2$ 생성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산초 정유가 염증매개인자를 감소시키고 산화의 활성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성 식물소재로서의 가능성을 나타낸다.

자생 방향성 식물 꽃향유의 정유성분 분석 (Analysis of Essential Oil Components using Elsholtzia splendense Nakai, a Fragrant Plant Distributed in Korea)

  • 정재한;박노복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3권1호
    • /
    • pp.5-12
    • /
    • 2021
  • 꽃향유에 함유된 정유를 추출하기 위해 개화한 개체를 채집한 후 생체를 실험에 이용하였다. 재료는 꽃 0.7kg, 잎 + 줄기 1.5kg으로 나누어 부위별로 추출 후 향기패턴 분석에 사용하였고, 정유성분 분석을 위해 전초 5kg을 넣은 후 추출하였다. 정유추출은 Schultz등(1977)이 개량한 SDE 법으로 정유를 추출하였으며, 추출시간은 시료가 끓기 시작한 후부터 1시간으로 하였다. 이렇게 추출한 정유성분을 전자코를 이용하여 향기패턴 분석과 GC-MS로 정유성분의 물질을 분석하였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향기패턴 분석은 꽃에서 추출한 정유성분의 경우 10~20분에 나오는 향의 질이 가장 좋았고 줄기와 잎에서 추출한 향은 다소 향의 질은 좋지 못했지만 10~40분에 나오는 향이 좋았다. 향의 세기는 꽃만으로 추출한 것은 10~20분에서 가장 강한 향이 나왔고, 30~40분에서도 향의 세기는 높게 나타났다. 줄기와 잎에서 추출한 향은 대체로 향의 세기가 강하지 못하였지만 10~20분에서 높게 나타났다. 2. 꽃향유에 함유된 정유의 종류는 40종을 얻었다. 이중 Mequinol, Benzene, 1,2,3,4-tetramethyl, Elsholtziaketone, Dehydroelsholtziaketone을 확인하였다.

Antifung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from Six Conifers against Aspergillus fumigatus

  • Jang, Soo-Kyeong;Lee, Su-Yeon;Kim, Seon-Hong;Hong, Chang-Young;Park, Mi-Jin;Choi, In-Gyu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0권2호
    • /
    • pp.133-140
    • /
    • 2012
  • The antifungal activities of the essential oils from Pinus densiflora, Pinus koraiensis, Abies holophylla, Larix kaempferi, Cryptomeria japonica and Chamaecyparis obtusa against Aspergillus fumigatus were evaluated. Essential oils were extracted from each conifer leaves for 8 h using water distillation method. The essential oil from A. holophylla appeared the strongest antifungal activity among the six oils with MIC value 0.125 mg/$m{\ell}$. The composition of the A. holophylla oil was analysed by GC/MS and then MIC was determined for main constituents of the oil. As the results, borneol and ${\alpha}$-bisabolol, which have a hydroxyl group, showed effective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A. fumigatus (0.25 mg/$m{\ell}$). In addition, the synergistic antifungal effects were observed in the combination of borneol and ${\alpha}$-bisabolol.

제주산 배초향 지상부에서 얻은 정유의 조성과 항산화 효과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Composition of Essential Oil from the Herbs of Jeju Agastache rugosa)

  • 문영건;홍준석;송민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56-160
    • /
    • 2012
  • 수증기증류법으로 얻은 제주산 배초향의 정유는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현저하게 뛰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제주산 배초향의 유효성분을 확인하기 위해 정유성분을 GC-MS로 분석한 결과 각 성분의 retention time및 mass spectral data의 표준 물질과의 비교에 의해서 Pulegone, L-menthone, DL-limonene, Isopulegone, beta-caryophyllene, beta-myrcene, estragole. 등의 정유성분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여러 성분들은 천연유기합성물로 항산화 활성이 잘 알려져 있어 이들이 그 유효성분으로 추측된다. 연구결과 제주산 배초향 정유는 식품 보존제 및 항산화 대체 물질로 개발이 적합하다.

정유를 이용한 구강자가간호가 재가노인의 구강건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n Essential Oil Mouthrinse on Oral Health in the Community Indwelling Elderly)

  • 정승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84-93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essential oil mouthrinse with gingival massage on oral health in community indwelling elderly. Method: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61 healthy elderly at a Senior Welfare Center in J city. Thirty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given toothbrushing education ongingival massage toothbrushing with an essential oil mouthrinse for 2 weeks(4 times per day, 3 minutes per session). The 31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were given toothbrushing education ongingival massage toothbrushing. The effects of the treatment were measured by salivary pH, salivary IgA level, halitosis, oral subjective symptoms, and oral self care behavior scores before, right after and 2 weeks after the experiment. Results: Salivary pH was significantly increased(p=0.018) in the experimental group. Salivary IgA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however, IgA level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p=0.006) after time had passed. Halitosis was significantly decreased(p=0.002) in the experimental group. Oral subjective symptom scor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p=0.000) and oral self care behavior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p=0.000)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Regular gingival massage toothbrushing with an essential oil mouthrinse could be an effective oral health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elderly.

A Comparison of the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and the Retention Rate by Chicken Part according to Different Cooking Methods

  • Kim, Honggyun;Do, Hyun Wook;Chung, Heaju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626-634
    • /
    • 2017
  • This study set out to identify the changes in the nutrient contents during the chicken cooking process as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 health nutrition policy. Samples were produced using 3 chicken parts (wing, breast, and leg) and 7 cooking methods (boiling, pan-cooking, pan-frying, deep-frying, steaming, roasting, and microwaving), and the essential amino acid contents, principal components, and retention rates were analyzed. Weight loss was observed in all chicken parts with all cooking methods. The protein and essential amino acid contents of the chicken samples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part and the cooking method (p<0.01). The protein and essential amino acid contents (g/100 g) of raw and cooked chicken parts showed ranges of 16.81-32.36 and 0.44-2.45, respectively.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clearly demonstrated that the cooking methods and chicken parts produced similar trends for the essential amino acid contents. The retention rates of the chicken parts varied with the cooking methods, yielding a minimum value of 83% for isoleucine in a roasted wing, 91% for protein in a steamed breast, and 77% for isoleucine and lysine in a roasted leg. Therefore, the protein and amino acid contents of the roasted breast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cooked chicken parts.

The Association between Codon 192 Polymorphism of Paraoxonase/arylesterase Gene and Plasma HDL-cholesterol level in Korean Population

  • Kang, Byung-Yong;Kim, Ki-Tae;Shin, Jung-Hee;Om, Ae-Son;Lee, Chung-Choo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13
    • /
    • 2001
  • Essential hypertension is considered to be a multifactorial disease that is influenced not only by environmental factors but also by genetic factors. Genes involved in lipoprotein synthesis, modification and metabolism are candidates for essential hyperten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gene frequencies of paraoxonase/arylesterase (PON1) gene in Korean population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otypes of this gene and essential hypertension or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order to estimate the genotype frequencies, Alw I RFLP of PON1 gene was used as genetic mark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ele and genotype frequencies between normotensives and essential hypertensives, respectively. However, Alw I RELP of PON1 gen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lasma HDL-cholesterol level in Korean population (one-way ANOVA test, p=0.008). Therefore, our result suggest that this RFLP of PON1 gene may be protective marker on cardiovascular disease in Korean popul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