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trepreneurship School

검색결과 860건 처리시간 0.025초

창업교육 전문성 제고를 위한 창업전문대학원 설립방안 연구 (A study for Establishing Entrepreneurship Graduate School enhancing the Expertis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 황보윤;양영석
    • 벤처창업연구
    • /
    • 제7권1호
    • /
    • pp.113-123
    • /
    • 2012
  • 본 연구는 전문적인 창업교육을 담당해 온 창업대학원이 시대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창업교육 전문성제고를 위한 기관으로 대안을 제시하고 있는지 여부와 이를 위해 특수대학원 형태로 되어 있는 창업대학원을 전문대학원 형태로 전환하는 문제의 여부를 검토하는 것이 목표이다. 본 연구는 세 가지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창업대학원 관련 현황을 정리하고 관련 이론적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이 과정에서 해외 창업대학원의 설립 및 운영현황을 정리하였다. 둘째, 창업대학원의 교육적 성과와 사업적성과에 대한 사항을 조사하여 창업대학원이 창업교육 전문기관으로서의 위상이 어느 정도 확보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셋째 창업대학원이 전문대학원으로 전환되어야 하는 수요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창업대학원은 전국 5개 권역에 5곳이 설립되어 8년째 운영 중이며, 해외 특히 미국을 중심으로 창업학 박사과정을 독립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창업대학원의 외형적성과도 창업전문가인 창업자와 창업컨설턴트 육성에 있어 나타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창업대학원 교육프로그램과 교수진 등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창업대학원의 전문대학원 전환과 박사과정 설치에 대해서는 높은 수요가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창업교육프로그램의 현황 및 개선방안 - 창업대학원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 (The Present Conditions and Improvemen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 Focused on Educational Course In Graduate School of Entrepreneurship -)

  • 정종서;민경세
    • 벤처창업연구
    • /
    • 제3권2호
    • /
    • pp.1-29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창업교육프로그램의 모델을 도출하여 창업대학원의 사례에 적용시켜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먼저 국내학자들이 창업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외학자들의 창업교육에 대한 관점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였으며, 미국의 창업교육대학원과 일본의 창업교육대학원의 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새로운 창업교육프로그램의 모델을 도출하였다. 창업교육프로그램의 모델은 창업교육의 이론적 범위, 교육체계 및 실천적 모델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창업대학원의 사례에 적용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기관의 교육목적 및 교육대상에 따라 세부교과목은 변경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창업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에 대한 지침을 제공해 줄 수 있으며, 특정 목적에 합당하게 체계화된 교육의 교과과정을 개발하는데 적용시킬 수 있는 통찰력을 제공해 줄 수 있다.

  • PDF

창업 및 창업문화 확산을 위한 창업대학원 역할에 관한 탐색적 연구: 창업비지니스센터의 역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ole of graduate school of entrepreneurial management in the diffusion of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culture)

  • 황보윤;이일한
    • 벤처창업연구
    • /
    • 제7권2호
    • /
    • pp.45-53
    • /
    • 2012
  • 최근에 창업에 대한 관심과 정부의 창업지원정책이 증가하고 있다. 창업지원 정책의 목적은 인프라확충에서 직접지원 까지 다양하며, 지속적으로 양적규모는 확대되었으나 직절수준은 미흡하다. 이에 국내 창업관련과 관련하여 창업대학원 역할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창업 및 창업문화 확산을 위한 창업대학원 역할에 대하여 탐색적 연구를 하였으며, 첫째, 창업지원체제 현황에서 청년창업 관련현황, 국내창업지원 시스템, 국외창업지원시스템을 살펴보았으며, 둘째, 창업비지니스센터의 추진전략은 창업지원시스템의 총괄 업무 추진, 4세대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의 조직구조, 트랙/단계별로 특성화된 교육 콘텐츠 개발이다.

  • PDF

Developing children's non-cognitive skills by early entrepreneurship education

  • Zhaojun Pang;Heng Zhang
    • Advances in nano research
    • /
    • 제14권1호
    • /
    • pp.93-101
    • /
    • 2023
  •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early entrepreneurial education on cognitive and non-cognitive abilities of male sixth-grade primary school pupils using a randomized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A total of 45 studen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experimental, active-control, and control groups using a multi-stage random selection procedure. The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entrepreneurship using the Bizworld entrepreneurship education package. The active control group did not get entrepreneurship education but was instructed on a non-entrepreneurship-related issue (hygiene).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instruction. The findings revealed that early entrepreneurial education skills impacted noncognitive abilities (such as risk-taking propensity, creativity, self-efficacy, persistence, and need for achievement). Early entrepreneurship education seems to be an effective technique for developing children's non-cognitive abilities in the late years of primary school. As a result, entrepreneurship education may be taught in primary schools, emphasizing the development of non-cognitive abilities, which will affect children's individual, educational, social, and vocational futures and can have long-term advantages for students, families, and society.

The Effect of the CEO's Entrepreneurship on Corporate Performance in the Restaurant Industry

  • Jun-Young Lee;Sung-Ho Bang;Ki-Hwan Ryu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2권3호
    • /
    • pp.168-174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entrepreneurship and to find out the impact of CEOs in the restaurant industry on corporate performance when they have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 need entrepreneurship to take risks and jump into the market to generate profits. Entrepreneurship is not limited to the abilities or resources held, but it is not limited to the ability or resources held, and entrepreneurship to act means the spirit to take uncertainty and preempt opportunities through innovative activities [1]. In this study, the CEO's entrepreneurship was set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corporate performance as a dependent variable. By applying and analyzing how the CEO's entrepreneurship affects corporate performance in the restaurant industry, the importance of entrepreneurship in the restaurant industry and the impact relationship on corporate performance are analyzed. To this end, 100 CEOs working in the restaurant industry will be surveyed using the Likert 5-point scale[2]. And an empirical analysis will be conducted through the SPSS program[3]. Entrepreneurship is a spirit that can take risks and seize opportunities through bold challenges to generate profits. Therefore, it has been confirmed that it affects corporate performance as a key factor for improving corporate performance, and from related studies, the entrepreneurship of the CEO of the restaurant industry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직업계고 창업교육 활성화 방안 탐색 (Exploring Activation Plan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

  • 강경균;백민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689-69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계고에서의 창업교육을 실천하고,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부기관의 직업계고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직업계고에서의 창업교육 우수 사례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전문가 초점 집단면담(FGI; Focus Group Interview)을 통해 직업계고에서의 창업교육 활성화 전략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에서의 창업교육 활성화를 위하여 교육과정 편성이 중요하다. 직업계고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직업계고의 비전과 학생의 역량으로서의 기업가정신을 교육과정에 근간으로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직업계고 창업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의 운영 측면이다. 먼저, 정규교과와 연계된 창업교육 운영이다. 창업 및 기업가정신 프로그램을 정규교과의 과목과 연계하여 다양한 활동을 통해 창업 체험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었다. 이러한 전문교과 교육과정과의 연계는 창업이론과 창업 실무에 대한 교육으로 창의적재량활동을 통하여 다양할 활동을 할 수 있다. 셋째, 직업계고 창업교육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학교 구성원의 역량이 중요하다. 넷째, 창업교육은 학교와 지역사회와의 연결을 통해 다양한 교육적 활동으로 운영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직업계고 창업교육을 운영함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실천적이고 역동적인 창업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학의 창업교육 교과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Babson College 사례 (Development on Education Course for Entrepreneurship;in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Case of Babson College))

  • 조권래;홍효석;윤병섭
    • 벤처창업연구
    • /
    • 제1권2호
    • /
    • pp.67-100
    • /
    • 2006
  • 본 연구는 Babson College의 직접연수와 연수자 인터뷰, Babson College 관계자 인터뷰, 재학생 인터뷰를 통하여 대학과 대학원에서 창업교육에 도움이 될 만한 교육과정 설계모형, 교과목 체제모형, 교과과정 체제모형을 각 하나씩 제시하여 선진 창업교육 기관의 사례를 통하여 교과과정의 기본 체제를 제시하였다. 제안한 창업교육과정 설계모형은 창업교육을 처음 실시하고자 하는 교육기관이 이론을 중심으로 창업교육을 실시할 경우 초기에 발생하게 되는 학습자들의 피해의 인지에서 설계되었다. 이모형은 우수한 창업교육기관을 벤치마킹하여 창업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이론의 적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행착오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모형은 우수 창업기관 뿐만 아니라, 창업교육을 새로이 실시하고자 하는 교육기관의 현재 수준 역시 중요도를 두고 고려함으로써 지나칠 수 있는 규모에 따른 적용이나, 강점에 따른 적용도 염두에 두었다.

  • PDF

청소년 창업교육 프로그램 특성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창업인식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n Effect of You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Characteristics to Entrepreneurial Inten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Recognition)

  • 이혜진;김진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13-2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창업인식 형성에 기반하여 분석함으로써, 실제 창업으로 이어지는 창업의도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모형과 가설을 도출하였으며 청소년 비즈쿨 캠프 참여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559부의 설문지를 수집하고, SPSS 21.0과 Amos 22.0를 활용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창업교육 프로그램 특성(창업교육 전문성, 창업교육 차별성)이 인지된 실현가능성과 기업가정신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인지된 실현가능성과 기업가정신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매개하여 창업의도를 높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 창업교육이 창업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창업인식(인지된 실현가능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기업가정신)이 형성이 되어야 함을 제시하고 증명한 것에 의미를 가진다.

대학의 창업교육 교과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Babson College 사례 (Development on Education Course for Entrepreneurship;in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Case of Babson College))

  • 조권래;홍효석;윤병섭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79-311
    • /
    • 2007
  • 본 연구는 Babson College의 직접연수와 연수자 인터뷰, Babson College 관계자 인터뷰, 재학생 인터뷰를 통하여 대학과 대학원에서 창업교육에 도움이 될 만한 교육과정 설계모형, 교과목 체제모형, 교과과정 체제모형을 각 하나썩 제시하여 선진 창업교육 기관의 사례를 통하여 교과과정의 기본 체제를 제시하였다. 제안한 창업교육과정 설계모형은 창업교육을 처음 실시하고자 하는 교육기관이 이론을 중심으로 창업교육을 실시할 경우 초기에 발생하게 되는 학습자들의 피해의 인지에서 설계되었다. 이모형은 우수한 창업교육기관을 벤치마킹하여 창업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이론의 적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행착오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모형은 우수 창업기관 뿐만 아니라, 창업교육을 새로이 실시하고자 하는 교육기관의 현재 수준 역시 중요도를 두고 고려함으로써 지나칠 수 있는 규모에 따른 적용이나, 강점에 따른 적용도 염두에 두었다.

  • PDF

AHP를 활용한 창업대학원 교과목 선호도 평가요인별 중요도에 관한 연구: 창업대학원 재학생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Entrepreneurship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to Systemize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Entrepreneurial Graduate School)

  • 이일한;김현숙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6호
    • /
    • pp.131-142
    • /
    • 2016
  • 글로벌 경쟁시대에 돌입하면서 창업에 필요한 실무지식 및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창업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어 정부는 2004년에 창업대학원을 설치하여 운영해 오고 있다. 국내 창업대학원의 운영을 시작으로 창업에 대한 학문적 인식이 높아지고 있지만 아직은 시작단계에 불과하기 때문에 창업교육현황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외 문헌을 고찰하여 창업교육의 발전과정과 이론적 모형을 검토하고, 국내 대학 및 대학원의 창업교육의 현황을 분석한 후, 국내의 10개 창업대학원의 창업학과 교과목을 6개로 모듈화한 후 계층화 분석과정(AHP)을 이용하여 창업 교과목에 대한 중요도를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창업교육의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교육과정을 설계하는데 필요한 교과목 프레임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관성 비율이 0.1이하에서 상위요인의 경우,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Entrepreneurial Issues for Fund"(.242)로 나타났으며, "Entrepreneurship Plan"(.195), "Entrepreneurship & Entrepreneurship mindset"(.161), "Entrepreneurial Issues for Growth & Development"(.160), "Management Skill & Strategy"(.150), "Special Entrepreneurship"(.093)순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별로도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창업교육대학원의 현 교과목 체계의 근간을 검토하고 사회적 변화에 따른 교과목 체계를 제시함과 동시에 교육의 적극적 참여자인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창업교육대학원의 교과목편성에 있어서 교육내용의 체계화와 통합적 교과과정의 설계에 일관성을 제공, 현실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