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ergy census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9초

에너지총조사를 이용한 차량 선택 요인 분석 (Analysis of Vehicle Selection Factors Using Energy Census)

  • 신힘철;원두환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31권2호
    • /
    • pp.291-317
    • /
    • 2022
  • 본 연구는 에너지총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친환경 차량의 보급과 관련하여 소비자의 차량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기존의 차량 선택에 대한 소비자 선호의 연구는 대부분 단편적인 설문조사를 이용하였는데, 매번 설문조사표와 설문대상이 바뀌어서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는 분석이 불가능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에너지총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차량 선택에 대한 소비자 선호 분석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에너지총조사는 많은 표본의 유용한 정보를 수집함에도 불구하고 많은 경우 단순 통계를 작성하는 데 한정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017년 에너지총조사의 수송부문 마이크로데이터 2,771개 자료를 바탕으로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변화하는 대안 특성 변수인 차량 가격, 연료 효율, 차량모델 수를 수집하여 컨조인트 분석이 가능하도록 자료를 변환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료비 1만 원당 주행 거리가 1km(연료 효율 1단위) 증가할 때마다 해당 연료 차량의 선택 확률은 2.2% 증가하고, 대체 가능한 차량의 모델 수가 하나 증가할 때마다 해당 차량의 선택 확률은 20.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별도의 조사 없이 주기적으로 국가에서 시행되는 에너지총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자동차 선택에 대한 소비자 선호를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신재생에너지 산업 기술 정책의 투자효과 분석에 대한 기초 연구 (The Basic Study on the Ripple Effect of Industrial & Technological Policy for New & Renewable Energy)

  • 김정배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2권5호
    • /
    • pp.18-24
    • /
    • 2012
  •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quantitative methods instead of total results on New & Renewable energy R&D investments. To do that, this study used KETEP R&D investment profile, National R&D investment profile, and ISTANS industrial census results. From the analysis, this study firstly showed that the R&D investment on New&Renewable energy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industrial parts. And the investment increase ratio on New&Renewable energy is also very higher during past 10 years. And finally showed that the ripple effects(relatively the employee number, the amount of sales, and the amount of export) of the focus energy group including feul cell, photovoltaic, and wind power was higher than those of general manufacturing industry. This approach was firstly conducted using the poor census results, so other analysis methods will be developed and performed to exact;y show the investment ripple effect.

GIS와 농업통계자료를 활용한 바이오매스 가용부존량 분석 (Analysis of Feasible Biomass Potential Using GIS and Aggregating Agricultural Census Data)

  • 김한중;홍성구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82-94
    • /
    • 2010
  • Recently, biomass application for energy is getting more interests from many countries since biomass is widely available over the nation wide, whereas fossil fuels are produced in several limited regions. Recognizing the importance, government is promoting renewable energy use in Korea.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biomass potential directly can be used to decide scale of power plant for local agricultural facility. Although there are a few studies on feasible biomass potential in local areas, it is expected that both government and commercial sectors recognize the potential of biomass energy and the importance of reducing greenhouse gases. When planning biomass energy systems, biomass price is determined by the costs of collection, transportation, chipping, drying if required. In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conomic and spatial characteristic of biomass location by land use map. However typical area of each categories in local region is not correct to agricultural census data. Therefore we concerned about how to calculate feasible biomass potential which it can be describing total amount of plant scale, and to match both of data. Even though its spatial distribution, in rural area in Korea, to expand biomass energy programs in the area, government serve to find areas of higher biomass production with suitable locations for plants to convert to bio-energy in order to increase the usage of renewable energy.

  • PDF

모바일 스테레오 비전 시스템을 위한 다양한 스테레오 정합 기법의 오차율 비교 (Comparison of error rates of various stereo matching methods for mobile stereo vision systems)

  • 이주영;이광엽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686-692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스테레오 영상정합을 위하여 개선된 영역기반, 에너지 기반 알고리즘, 학습기반 구조의 정합 오류율을 비교하였다. 영역기반으로 census transform(CT), 에너지 기반으로 belief propagation(BP) 알고리즘을 선정하였다. 기존 알고리즘을 개선하고 모바일 시스템에서 스테레오 영상정합에 활용가능 하도록 임베디드 프로세서 환경에서 구현하였다. 비교 대상이 되는 학습기반의 경우에 도 적은 규모의 파라메터를 활용하는 신경망 구조를 채택하였다. 세 가지 정합방법의 오류율 비교를 위해 테스트 이미지로 Middlebury 데이터 세트 가운데 Tsukuba를 선정하고 정합 성능의 정확한 비교를 위해 비폐색, 불연속, 시차 오류율 등으로 세분화하였다. 실험 결과 CT 매칭의 오차율은 기존 알고리즘과 수정된 알고리즘으로 비교하였을 때 약 11% 성능 개선되었다. BP 매칭은 오류율에서 기존 CT 에 비하여 약 87% 우수하였다. 신경망을 이용한 학습기반과 비교 하였을 때 BP 매칭이 약 31% 우수함을 보였다.

노후 단독주택의 난방에너지 효율 개선을 위한 대안 선정 방법에 관한 연구 (Alternative Selection Method for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of Old Detached House)

  • 황석호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9권2호
    • /
    • pp.45-55
    • /
    • 2019
  • More than 76% of the detached houses in Korea are over 20 years old. These old detached houses have poor energy efficiency. According to the 2017 Housing Census (Statistics Korea), more than 50% of low-income families live in detached houses. Therefore, the improvement of energy efficiency in old detached houses is needed from the viewpoint of energy welfare. The general method of building energy modelling for the verification of energy efficiency is based on the construction year data of "Building Design Criteria for Energy Saving" due to the cost and time involved in collecting the thermal performance data of buildings. There is poor accuracy with the deterioration of long-term aging of building materials. Also, the selection of alternatives for energy performance improvement is based on the items to be applied, not a performance improvement goal. It is difficult to calculate energy performance that reflects variations in various parameters with dynamic energy simulations.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long-term aging is used to accurately predict the energy performance of old detached houses. The building energy modelling method is called ENERGY#, which is a static analysis method based on ISO13790. Energy performance is evaluated by a combination of input variables including building orientation, insulation of walls and roof, thermal performance of windows and window/wall ratio, and infiltration rate. Finally, this study provides a way to determine alternatives that meet energy performance improvement goals.

Performance Analysis of Cost Effective Portable Solar Photovoltaic Water Pumping System

  • Parmar, Richa;Banerjee, Chandan;Tripathi, Arun K.
    •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
    • 제9권2호
    • /
    • pp.51-58
    • /
    • 2021
  • Solar water pumping system (SWPS) is reliable and beneficial for Indian farmers in irrigation and crop production without accessing utility. The capability of easy installation and deployment, makes it an attractive option in remote areas without grid access. The selection of portable solar based pumps is pertaining to its longer life and economic viability due to lower running cost. The work presented in this manuscript intends to demonstrate performance analysis of portable systems. Consequent investigation reveals PSWS as the emerging option for rural household and marginal farmers.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a considerable portion (around 45.7%) of the country's land is farmland and irrigation options are yet to reach farmers who entirely rely on rain water at present for harvesting of the crops. According to census 2010-2011 tube wells are the main source for irrigation amongst all other sources followed by canals. Out of the total 64.57-million-hectare net irrigation area, 48.16% is accounted by small and marginal holdings, 43.77% by semi-medium and medium holdings, and 8.07% by large holdings. As per 2015-16 census data, nearly 100 million farming households would struggle to make ends meet. The work included in this manuscript, presents the performance of different commercial brands and different technologies of DC surface solar water micro pumping systems have been studied (specifically, the centrifugal and reciprocating type pumps have been considered for analysis). The performance of the pumping systems has been analyzed and data is evaluated in terms of quantity of water impelled for specific head. The reciprocating pump has been observed to deliver the best system efficiency.

김해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Emission Estimation of Air Pollutants in Kimhae Area)

  • 박종길;김종필;김지형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7권5호
    • /
    • pp.647-652
    • /
    • 1998
  •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mission estimation in Kimhae area. For this purpose, the Kimhae statistical yearbook and data of waste facilities issued by Kimhae city and the report on energy census issued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re used. Each item for the emission estimation is $SO_2$, CO, HC, Nox, TSP from point, line, area sour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air pollutants with the highest mont of emission from the emission sources is CO followed by Nox, $SO_2$, TSP, HC in descending order of magnitude. The emission consists of 66.15% of line, 24.65% of area and 9.20% of point sources at Kimhae.

  • PDF

농업부문 에너지 소비량 조사를 위한 표본설계 (A Review on the Sampling Design for Energy Consumption Survey in Agricultural Sector)

  • 김연중;김배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411-417
    • /
    • 2017
  • 농업부문의 에너지 관련 정책의 합리적인 수립을 위해서 농업부문의 에너지 수급을 예측하고, 농가 에너지 소비현황을 파악해야 한다. 특히 에너지원별 및 작물별 소비량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최근 기후 온난화에 대응하여 세계는 온실가스를 의무적으로 감축하고자 하며, 우리나라도 2020년 까지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의 30%를 감축하기로 하고, 관련법을 제정하였다.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해 농림어업부문은 5.2%의 감축목표를 설정하였다. 농업부문 온실가스 배출은 에너지 소비와 관련되어 있어 감축목표 이행을 위한 합리적인 정책 수립을 위해서 작물별 및 에너지원별 온실가스 배출량 수준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농업부문 탄소배출량 및 에너지 소비량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기반이 되는 표본설계에 중점을 두고, 조사 및 추정 오차를 줄이고,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설계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농업부문 에너지 소비실태 조사를 위한 모집단을 농업총조사 자료를 기준으로 설정하였고, 왜도(Skewness)가 높은 품목과 전국적으로 재배가 분산된 품목들에 대해서는 주산지를 대상으로 표본 추출틀을 설정하는 등 통계적으로 유의한 범위에서 규모를 절사하였다. 표본의 수는 품목별 각 층의 경계를 결정한 이후 95% 신뢰수준을 활용하여 네이만 할당방식에 의해 설정되었다. 또한 이 연구는 품목별로 추출된 표본을 이용하여 도출된 추정결과와 모수를 비교 검정하고, 오차를 관리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Trends in the Incidence of 15 Common Cancers in Hong Kong, 1983-2008

  • Xie, Wen-Chuan;Chan, Man-Him;Mak, Kei-Choi;Chan, Wai-Tin;He, Miao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8호
    • /
    • pp.3911-3916
    • /
    • 2012
  •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cancer incidence rates and trends among THE Hong Kong population for the period 1983-2008. Methods: Incident cases and population data from 1983 to 2008 were obtained from the Hong Kong Cancer Registry and the Census and Statistics Department, respectively. Agestandardized incidence rates (ASIR) were estimated and joinpoint regression was applied to detect significant changes in cancer morbidity. Results: For all cancers combined, the ASIR showed declining trends (1.37% in men, 0.94% in women), this also being the case for cancers of lung, liver, nasopharynx, stomach, bladder, oesophagus for both genders and cervix cancer for women. With cancer of thyroid, prostate, male colorectal, corpus uteri, ovary and female breast cancer an increase was evident throughout the period. The incidence for leukemia showed a stable trend since early 1990s, following an earlier decrease. Conclusion: Although overall cancer incidence rates and certain cancers showed declining trends, incidence trends for colorectal, thyroid and sex-related cancers continue to rise. These trends in cancer morbidity can be used as an important resource to plan and develop effective programs aimed at the control and prevention of the spread of cancer amongst the Hong Kong population. It is particularly useful in allowing projection of future burdens on the society with the increase in certain cancer incidences.

GIS 기반 노인인구 분포지역의 공간적 특성과 폭염의 관계 분석 - 창원시를 대상으로 -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Population Distribution and Heat Wave based on GIS - focused on Changwon City -)

  • 송봉근;박경훈;김경아;김성현;박건웅;문한솔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68-8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 창원시를 대상으로 노인인구 분포지역의 공간적 특성과 폭염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통계청의 인구센서스 자료와 환경부 토지피복도, Landsat 8 지표면온도, 기상청의 폭염일수 자료를 활용하였다. 노인인구 분포의 공간적 특성은 토지이용특성을 고려하여 K-mean 군집화 분석을 통해 총 5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공간유형별 노인인구 특성은 도시화된 유형(cluster-3)에서 노인인구의 수가 많았으나, 농촌지역과 산림지역에 분포하는 유형(cluster-1, cluster-2)에서는 노인인구의 구성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표면온도와 폭염일수 특성에서는 도시지역에서 지표면온도가 가장 높았으나 폭염일수는 농촌지역이 가장 많았다. 노인인구 분포지역의 공간유형에 따른 폭염 특성을 분석한 결과, 농촌지역 면적이 많은 cluster-2가 15.95일로 가장 높았고, 도시화된 유형인 cluster-3은 9.41일로 가장 낮았다. 즉,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인구보다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인구가 폭염에 더욱 노출되어 있으며, 피해가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여름철 폭염 취약지역의 효과적인 관리와 사전 예방을 위한 다양한 정책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