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angered flora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25초

태안반도의 담수식물상(수생 및 수변식물을 중심으로) (Floristic Study of the Freshwater Plants in Taean Peninsula - Focusing on Aquatic and Wetland Plants -)

  • 홍정기;최경수;강희혁;박내규;황용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69-489
    • /
    • 2023
  • 충청남도 태안반도의 담수식물상을 파악하기 위해 2020년 4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총 6회에 걸쳐29지점의 담수식물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총 94과 248속 362종 5아종 24변종의 39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태안의 담수권역에 확인된 수생 및 수변식물은 104분류군으로 그중 수생식물은 45분류군으로 확인되었고, 수변식물은 59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들을 생활사별로 분류하면 일년생이 33분류군, 월년생이 5분류군, 이년생이 6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다년생이 60분류군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멸종위기식물은 2분류군이 확인되었고, 고유식물은 3분류군, 적색목록종은 5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급2분류군, IV급4분류군, III급6분류군, II급 20분류군, I급 1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국외반출승 인종은 38분류군, 유용식물은 약용, 식용, 사료/퇴비용, 관상용, 산업용 식물이 높은 비율로 구성되었다. 외래식물은 19과 39속 55분류군이 확인되었고, 귀화율은 14.1%, 도시화지수는 13.3%로 확인되었다. 이중 생태계교란식물은 7분류군이 출현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태안지역 담수환경 및 수생 및 수변식물 분포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제주도 사계 해안사구의 식생과 식물상 (Vegetation and Flora of Sagye Coastal Sand Dunes on Jeju Island)

  • 강선탁;오홍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21
    • /
    • 202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최남단에 위치한 제주특별자치도 사계 해안사구의 식생에 따른 군락분포와 식물상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는 2020년 4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총 20회에 걸쳐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상관식생형은 해안 염습지식생, 해안정선 일이 년생 초본식생, 해안사구 초본식생, 해안사구 관목식생, 임연식생, 인공조림식생 6개의 상관식생형으로 분류되었다. 군락은 43개 군락이 분포하며, 전체 출현 식물은 62과 166속 191종 15변종 3아종 3품종으로 총 212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II급 식물인 대홍란을 포함하여 희귀식물 5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 식물종은 V등급 2분류군, IV등급 5분류군, III등급 15분류군, II등급 14분류군, I등급이 19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기후변화 생물 지표종은 지표종 11종 후보종 2종이 분포하여 전체 지표종의 33.3%, 후보종은 15.4%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귀화식물은 16과 43속 52분류군으로 귀화율 21.1%이며, 도시화지수는 24.5%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해안사구의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데 필요한 자료로 널리 활용될 것이 기대된다.

담양군 치재산(가마골) 일원 관속식물상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Mt. Chijae(Gamagol) and Its Adjacent Areas (in Damyang-gun, Jeonnam-do, Korea))

  • 신순호;윤경배;김상미;김현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2-47
    • /
    • 2024
  • 본 연구는 담양군 치재산(가마골) 일원 관속식물상 조사를 통해 자생식물, 희귀식물과 특산식물의 분포를 밝히고 효율적인 생태계 관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현장조사는 2022년 3월부터 2023년 6월까지 총 21차례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101과 304속 444종 10아종 35변종 3품종 총 492 분류군의 식물표본을 채집하여 목록화하였다. 제작된 표본목록을 분석한 결과, 산림청 지정 특산식물 14 분류군, 희귀식물 9 분류군이 확인되었고, 환경부 지정 국가적색식물 7 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68 분류군으로 등급별로 보면 I등급 45 분류군, II 등급 5 분류군, III 등급 16 분류군, IV 등급 2 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은 155 분류군이 목록에 포함되어 있으며, 외래식물은 38 분류군으로 7.7%의 귀화율과 6.1%의 도시화지수를 나타냈다. 외국으로부터 인위적 또는 자연적으로 유입된 생태계교란식물은 4 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이번 조사를 통해 치재산의 특이식물에 대한 자생지 보전과 증식을 통해 정원식물로 활용한다면 담양만의 특색있는 경관을 연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오대산 물이끼 이탄습지의 생태적 특성: II. 질뫼늪 보호구역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hagnum Fens in Mt. Odae : 2. Conservation Area of Jilmoe-neup)

  • 박지현;김재근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01-120
    • /
    • 2012
  • 람사르 습지로 지정된 오대산 습지 중 하나인 질뫼늪 보호구역에서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조사 결과, 유출수는 연평균 0.80 $m^3/min$이었다. 질뫼늪 보호구역 수질 중 pH는 평균 6.1, EC는 19 ${\mu}S/cm$, 칼륨, 칼슘, 암모늄 등의 양이온과 질산, 그리고 유효 인산 분석 결과 모두 평균 2.0 mg/L 이하였다. 퇴적층은 다른 산지 습지인 용늪이나 왕등재늪에 비하여 덜 발달되었다. 식물상으로는 49과 118속 163종 3아종, 29변종, 6품종으로 163종류가 조사되었으며, 물이끼가 우점하는 장소와 사초기둥에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II급인 기생꽃이 서식하고 있었다. 식생 조사 결과 질뫼늪 보호구역에 서식하는 식물종은 시기에 따라 분포의 확장과 감소를 반복하면서 우점도의 변화가 나타났다. 질뫼늪은 물이끼를 기반으로 한 이탄습지로서 식물종 다양성 등 그 보존 가치가 뛰어난 것으로 판단되나 보호지역 주변에 위치한 목장 등 잠재적 위험 요소들이 존재하므로 지속적인 관심과 관리가 필요하다.

속리산국립공원 특별보호구인 망개나무 자생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the Berchemia berchemiaefolia of Special Protection Zones of Songnisan National Park)

  • 오현경;김영하;윤상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3-44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in the vascular plants of special protection zones (the native land of Berchemia berchemiaefolia in Sadam-ri and Gallon valley) of Songnisan National Park and identified the whole vascular plants.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273 taxa including 82 families, 182 genera, 236 species, 3 subspecies, 28 varieties and 6 forms. Woody plants were identified as 124 taxa (45.4%) and herbaceous plants as 149 taxa (54.6%). A total of 107 taxa were identified in the area of Sadam-ri, and 246 taxa were found in the Gallon valley. A total of 8 taxa of rare plants were identified, each of which was divided into 1 taxa of endangered (EN; Daphne pseudomezereum var. koreana), 3 taxa of vulnerable (VU; Paeonia japonica, Berchemia berchemiaefolia and Iris minutiaurea), 3 taxa of least concern (LC; Aristolochia contorta, Syringa patula var. kamibayshii and Goodyera schlechtendaliana) and 1 taxa of data deficient (DD; Alangium platanifolium).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9 taxa (Clematis trichotoma, Thalictrum actaefolium var. brevistylum, Aster koraiensis, Cirsium setidens, etc.). In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34 taxa, a degree I were 17 taxa (Chloranthus japonicus, Celastrus stephanotifolius, etc.), 9 taxa of a degree II (Euonymus pauciflorus, Acer triflorum, etc.), 4 taxa of a degree III (Aconitum longecassidatum, Angelica gigas, etc.), 2 taxa of a degree IV (Ulmus macrocarpa and Daphne pseudomezereum var. koreana), 2 taxa of a degree V (Berchemia berchemiaefolia and Alangium platanifolium). The naturalized plants were 5 taxa including Fallopia dumetorum, Trifolium repens, Ailanthus altissima, Oenothera biennis, Erigeron annuus. Naturalization rate (NR) was 1.8% of all 273 taxa of vascular plants and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not f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lora that grows in the special protection zones of Songnisan National Park and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management of the special protection zone in the future.

천봉산과 그 일대의 식물상 연구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Cheonbongsan and Its Adjacent Regions)

  • 이유미;최혁재;이혜정;박수현;최형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19-538
    • /
    • 2010
  • 전라남도 보성의 북부산지를 대표하는 천봉산(608m)일대에 자생하는 관속식물들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을 파악하였다. 2005년 3월부터 2005년 10월까지 총 4차례 현지조사를 통해 밝혀진 소산식물은 104과 307속 446종 3아종 56변종 6품종의 511종류로 조사되었다. 이 중 한반도 특산식물은 총 12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산림청 지정 한국 희귀식물은 8종류가 조사되었다. 환경부 지정 특정 식물종은 V등급 2종류, IV등급 1종류, III등급 8종류, II등급 7종류, I등급에는 28종류 등 총 46종류가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귀화식물은 총 38분류군, 귀화율은 7.4%로 전남지역의 평균 귀화식물분포보다 높게 나타났다.

불명산(완주군)의 관속식물상 (Flora of Vascular Plants in Mt. Bulmyeong (Wanju-gun), Korea)

  • 신소희;김현준;강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6-70
    • /
    • 2018
  • 본 연구는 불명산(완주군)지역에 대하여 2015년 4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20차례에 걸쳐 관속식물 분포를 조사하였다. 조사지역의 관속식물은 100과 290속 382종 4아종 38변종 9품종 총 43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재종을 제외한 주요 식물로 한국특산식물 5분류군, 산림청지정 희귀식물 중 취약종이 1분류군, 약관심종이 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환경부 지정 식물구계학적 특정 중 IV 등급종 1분류군, III 등급종 10분류군, II 등급종 3분류군, I등급종 1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본 조사지역에서 확인된 외래 및 귀화식물은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등을 포함한 28분류군으로 조사지역 관속식물의 6.5%에 해당한다.

환경보호(環境保護)를 위한 국제통상규제(國際通商規制)의 합법성(合法性) (The Legitimacy of Trade Measures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 이신규
    • 무역상무연구
    • /
    • 제12권
    • /
    • pp.615-641
    • /
    • 1999
  • Trade and the environment emerged as a major and complex issue for trade negotiators in the final stages of the Uruguay Round negotiations. The agreements and other international measures employing trade measures and trade sanctions for achieving global environmental objectives are Vienna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of the Ozone Layer(1985), the Montreal Protocol on Substances that deplete the Ozone Layer(1987), The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1992),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1992), the Basel Convention on the Control of Transboundary Movement of Hazardous Waste and their Disposal(1992), the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na and Flora(1975), the Rio Declaration, the Agenda 21, etc. The texts of the World Trade Organization(WTO) incorporated certain provisions which were designed to reflect some of the environmental concerns are Trade-Related Aspects of Intellectual Properity Rights(TRIPs), Trade-Related Investment Measures (TRIMs), the General Agreement on Trade in Services(GATS), and Technical Barriers to Trade(TBT) There is the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multilateral environmental agreements and WTO agreements granting waivers against trade measures and sanctions. This remains a possibility, especially between countries which are Member of WTO and which are not Members of the relevant multilateral environment agreements, and countries which are Members of both the WTO and the relevant MEAs. Measures taken under the trade-related provisions of MEAs could potentially give rise to conflicts under obligations arising in WTO texts. If the parties in dispute are WTO members while they are not members of MEAs, the WTO provisions can be granted a certain priority in terms of international norms and vice versa. When the parties concerned are both WTO members and MEAs, it will be rational to grant the WTO provisions a priority. However, such measures should neither constitute a means of arbitrary or unjustifiable discrimination between countries where similar conditions prevail, nor create a disguised restriction on trade. Also any trade measures taken should be necessary to prevent developments in trade from endangering the effectiveness of an MEA and they should be proportional and least trade restrictive.

  • PDF

제주도 멸종위기종 솔잎란(Psilotum nudum) 자생지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Endangered Species Psilotum nudum Habitat in Jeju Island)

  • 최영은;김창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17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habitat characteristics of Psilotum nudum of Dosuncheon river and Anduck valley in Jeju Island. The total of 79 vascular plants taxa including 39 families, 58 genera, 75 species and 4 varieties were investigated in Dosuncheon river, while 59 vascular plants taxa consisting of 34 families, 50 genera, 53 species and 6 varieties were investigated in Anduck valley. When it comes to the life form, the rates of distribution of annual plants (therophytes) at the mouth of Dosuncheon river and Anduck valley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Korean peninsula and Jeju Island. However, the rates of distribution of chamaephytes and epiphytes were higher at the mouth of Dosuncheon river and Anduck valley. As for vegetation, epiphytes (such as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majus and Lemmaphyllum microphyllum) and adiantum plants (including Psilotum nudum, Cytomium fortunei and Rumohra aristata), which are typically easy to be dispersed in rocky zones, dominated these areas since they are vertical or horizontal joints containing wide rocky zones. The main threats to the habitats of Psilotum nudum are environmental pollution, lack of publicity, installation of various facilities such as recreational facilities, gathering for medical and horticulture purposes, vegetation succession and application of waterfront. The management of the rocky zones as habitats for Psilotum nudum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ir expansion.

서식처 적합모형을 적용한 고산지역 분비나무의 기후변화 영향평가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of Abies nephrolepis (Trautv.) Maxim. in Subalpine Ecosystem using Ensemble Habitat Suitability Modeling)

  • 최재용;이상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03-118
    • /
    • 2018
  • Ecosystems in subalpine regions are recognized as areas vulnerable to climatic changes because rainfall and the possibility of flora migration are very low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opography in the regions. In this context, habitat niche was formulated for representative species of arbors in subalpine regions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climatic changes on alpine arbor ecosystems. The current potential habitats were modeled as future change areas according to the climatic change scenarios. Based on the growth condition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habitats, the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direct and indirect causes affecting the habitat reduction of Abies nephrolepis. Diverse model algorithms for expla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ergence of biological species and habitat environments were reviewed to construct the environmental data suitable for the six models(GLM, GAM, RF, MaxEnt, ANN, and SVM). Weights determined through TSS were applied to the six models for ensemble in an attempt to minimize the uncertainty of the models. Based on the current climate determined by averaging the climates over the past 30years(1981~2010) and the HadGEM-RA model was applied to fabricate bioclimatic variables for scenarios RCP 4.5 and 8.5 on the near and far future. The results of models of the alpine region tree species studied were put together and evaluated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a total of eight national parks such as Mt. Seorak, Odaesan, and Hallasan would be mainly affected by climatic changes. Changes in the Baekdudaegan reserves were analyzed and in the results, A. nephrolepis was predicted to be affected the most in the RCP8.5. The results of analysis as such are expected to be finally utilizable in the survey of biological species in the Korean peninsula,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strategies considering climatic changes as the analysis identified the degrees of impacts of climatic changes on subalpine region trees in Korean peninsula with very high conservation val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