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ployment Service

검색결과 832건 처리시간 0.028초

고용유연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employment flexibility on the business performance in the computer programming, system consultancy and related service industry)

  • 조재정;류성열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25-438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s what effects employment flexibility have on the business performance in the computer programming, system consultancy and related services.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employment flexibility on outcome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ealed that companies which had a higher proportion of temporary agency workers and adjusted employment more frequently had higher turnover rates. The study also showed that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non-regular workers, outsourcing and the easier it was to adjust working hours, the higher the absence rate. Meanwhile, companies that made employment adjustments more often showed higher defect rates and lower customer satisfaction. It was also found that in companies with a higher proportion of outsourcing and higher possibility of employment adjustments, workers were less interested in new technologies.

AHP를 이용한 장애인고용의 효용성평가 연구 (A Study on The Utility Estimation about Employment of The Disabled)

  • 박재현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05-419
    • /
    • 2008
  • It is expected that the change of industrial structure of Knowledge based economy, and service based economy would affect on economic life of physically-challenged person with no exceptions. There have been some former studies which have been misunderstood the employment of disabled due to the declining employment of the disabled and prejudice to the disabled based on biased perspective and public opinion. This study have analyzed the employment conditions of the ordinary workers and disabled workers out of those prejudices and biased opinions. Wage, economic activity ratio,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dustry those 5 parameters are brought for analyzing the two comparison group. Each parameter have compared based on the statistical data of ordinary workers and disabled workers for past 7 years. Weight between each parameter have been drawn by collecting the experts' opinion using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and utility of employment of two comparison groups have been estimated through progress inclination of each parameter. Through the estimated outcome, present condition and controversial issues and way of improvement of domestic employment of ordinary workers and the disabled is mentioned.

  • PDF

청년층 고용통계의 변동성에 대한 지역별 비교분석: 경제활동참가율, 고용률, 실업률을 중심으로 (A Regional Comparison Study for the Variability of Employment Statistics in Korean Young Man: Focus on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Rate, Employment Population Rate, Unemployment Rate)

  • 박종태;장희선
    • 서비스연구
    • /
    • 제5권1호
    • /
    • pp.35-43
    • /
    • 2015
  • 청년층 고용지표의 변동성에 대한 각 지역별 비교분석 결과는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실업대책이나 고용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로서 중요하다. 이러한 비교분석 결과를 통하여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는 지역별 차별정책의 사용이 가능해 지는 동시에 세부적인 정책적용의 효율성도 제고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는 국내 경제활동인구조사 자료를 기초로하여 광역시와 도 지역 전체를 대상으로 청년층의 대표적인 고용통계 지표로서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 및 실업률 등을 고려하고 이 지표들의 변동성을 변동계수를 이용하여 광역자치단체 뿐만 아니라 각 시도별로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세가지 고용지표 중 변동성이 가장 큰 고용지표를 제시하였고 각 고용지표에서 변동성이 가장 큰 광역자치단체를 제시하였다.

군(軍) 단기복무장교의 전역 후 취업지원 방안 연구 (Obligated Involuntary Officer's Employment Support Plan Research After Discharge)

  • 김지덕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8권5_2호
    • /
    • pp.11-19
    • /
    • 2018
  • 우리나라 군(軍)은 5년 이상에서 10년 미만 복무한 중기복무자와 10년 이상 복무한 장기복무자 위주의 취업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어서 상대적으로 단기복무자들에 대한 취업지원이 미약한 실정이며 특히, 국가적인 청년 실업문제와 연계하여 단기복무장교들도 전역 후 심각한 취업난에 휩싸이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초임장교의 약 80%에 해당하는 학군과 학사사관후보생 획득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들은 대부분이 단기복무 후 전역하는 실정이기에 그에 대한 대책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단기복무장교를 위한 취업지원과 연관된 제도와 법령에 대한 정비소요를 도출하고 취업지원 제도와 전역 후 기업에서 요구하는 적합한 인재에 맞는 단기복무자의 군 복무 간 경력관리 모델방안과 안정적인 일자리 확보계획을 제안함으로써 우수인력 획득을 통해 학군 학사장교 선발 경쟁비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또한 이것이 결과적으로 군(軍) 전투력 발전으로 기여할 것이다.

  • PDF

청년층 취업자의 직장 근속연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Years in Service of Youth Employee)

  • 박진아;한재룡;신동열
    • 산업진흥연구
    • /
    • 제1권1호
    • /
    • pp.27-33
    • /
    • 2016
  • 본 연구는 패널 데이터를 분석하여 청년층 취업자의 현 직장 근속연수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청년층의 직장 근속연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연령, 최종학력(고졸 이하-대졸 이상 여부), 혼인상태, 정규직 여부, 현 직장 임금, 현 직장 고용안정 만족도(p<.001), 가구 총 근로소득과 현 직장 복리후생 만족도(p<.01) 및 현 직장 인사고과 공정성 만족도(p<.05)로 나타났다. 또한 남성일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기혼일수록, 근로소득이 낮은 집단일수록, 정규직일수록, 정년제일수록, 계속근로가 가능할수록, 업무내용과 전공이 일치할수록, 현 직장 임금이 높을수록, 현 직장 만족도가 높을수록 근속연수가 길었다. 본 연구는 청년층의 직장 근속연수 결정요인을 밝힘으로써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고용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을 마련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한 것에 의의가 있다.

기대빈도를 활용한 새로운 상대집중지수의 제안 (A Study of Developing a Relative-Specialization Index Using Expected Frequence)

  • 남기성;오민홍;홍현균
    • 응용통계연구
    • /
    • 제21권4호
    • /
    • pp.581-588
    • /
    • 2008
  • 본 연구는 기존의 순위만 고려하는 집중도를 보완하여 기대빈도를 이용한 새로운 상대집중지수 NOHI(Nam-Oh-Hong Index)를 제안하고, 이를 지역별 직업별 종사자 수에 적용함으로써 지역별 특화 직종 분포에 활용하는데 있다. 지역 간 특화정도를 보여주기 위해 개발된 입지계수(LQ)의 경우, 해당산업의 지역 내 비중을 상대적으로 고려하지 못함에 따라 지역 내 특성화를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NOHI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산업 및 직종의 지역간 지역내 특화도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NOHI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서울은 경영 회계 사무관련직의 특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산은 기계 재료관련직의 특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서비스화에 대한 연구: Baumol 가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ertiarization in Korea: Test of Baumol's Hypothesis)

  • 서환주;이영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43-150
    • /
    • 2007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서비스화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서비스화에 대한 유력한 설명인 수요편향가설 및 Baumol 가설을 우리나라 경험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Baumol의 모형을 확장하여 패널 GMM방식으로 고용함수를 추정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Clark의 수요편향가설을 살펴보기 위하여 1인당 GDP증가와 서비스고용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서비스화에 있어 소득증가가 절대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는 Clark의 수요편향가설을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서비스화에 있어서 생산성격차를 강조하는 Baumol의 가설은 도소매, 음식 및 숙박서비스를 제외하고 모든 서비스분류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제조업과 각 서비스산업의 노동생산성격차가 확대될수록 서비스업의 고용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장기복무 제대군인 취업진로 결정요인 분석 (Analysis on the Factors of Re-employment of Veterans After Long-term Military Service)

  • 이성희;원종욱
    • 노동경제논집
    • /
    • 제27권2호
    • /
    • pp.139-159
    • /
    • 2004
  • 10년 이상 장기복무한 후 제대한 군인의 사회에서 재취업률은 최근 들어 연평균 30%에도 미치지 못하는 실정으로 향후 군비축소에 따른 국방인력 감축까지 고려한다면 제대군인의 실업문제는 매우 우려할 수준에 와 있다. 본 연구는 장기복무 제대군인들의 전역 후 취업진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한 후 계량분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봉급생활을 선택한 집단에 비해 자영업을 선택한 집단이 배우자의 소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활동을 포기한 계층은 군복무 기간이 더 길고 계급도 높으며, 질병이나 장애가 있는 경우로 나타났다. 그리고 군복무 기간이 길수록, 직업보도교육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일수록 제대 후 첫 직장탐색 기간이 단축되는 반면,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가장 오래 복무한 지역이 서울 지역인 사람이 여타 지역 근무자에 비해 직장탐색 기간이 길어진다는 결과를 얻었다.

  • PDF

ICT 활용과 서비스산업 일자리창출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CT Usage and Job Creation in Service Industries)

  • 김현수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1-5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reation and ICT usage in service industries. This research is particularly important because job creation is one of the most critical issues for the country. With technology innovation and system integration, manufacturing industries do not create enough employment, therefore, the society relies on service industries for creating job opportunities. Until now, due to limitations, analysis of job creation in service industries through ICT usage has not been investigated in depth. Thus, development of an effective ICT support policy was impossible. In this research, we used seven methods to investigate overall relationship between ICT usage level and job creation. A rule of large numbers has been applied to reach conclusion. Through this research, the government can focus its investment on service industries where job creation rate is the highest. We can expect both reinforcement in competitiveness of our service industry and continuous creation in employment, eventually leading to a virtuous cycle.

Job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An Expansion of Core Competence Theory

  • Park, Cheol Kyun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4권1호
    • /
    • pp.55-7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hat competence determines the employment of college students using data from the K-CESA (Korea Collegiate Essential Skills Assessment) of a Korean university during 2009-2014. This test comprises of 6 categories of competence: self-management, global readiness, interpersonal relationship, resource/information/technology handling, communication and comprehensive reasoning. In addition to these competences, we add the comprehensive variable, grade point average. In order to identify the qualities of employment, employment was classified into 3 types: all employment, employment in decent jobs and employment in the top 500 companies. Results are as follows: For all employment and decent jobs, GPA and comprehensive reasoning were the meaningful variables. However in case of the top 500 companies,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added.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he fundamental concepts of college students' job competence: job specific competence, job basic competence, and basic compet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