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ployment Period

검색결과 469건 처리시간 0.024초

대졸 청년층 취업준비노력의 실태와 성과 (Effects of Pre-Employment Efforts of the College Graduate Youth in Korea)

  • 박성재;반정호
    • 한국인구학
    • /
    • 제29권3호
    • /
    • pp.29-50
    • /
    • 2006
  • 이 연구는 청년들의 취업준비노력이 노동시장 이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있다. 노동시장 성과는 첫 일자리로의 이행기간, 300인 이상 사업장 취업여부, 첫 일자리의 임금수준의 3가지 범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취업준비노력이 첫 일자리로의 이행기간에 미친 효과를 보면 재학 중 일 경험과 취업준비 시기는 첫 일자리로의 탈출확률을 높이지만, 학점, 영어점수, 면접횟수는 오히려 이행기간을 장기화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취업효과는 학력에 따라 그 효과가 상이하였다. 전문대 졸업자는 교육훈련과 재학 중 일 경험이, 대졸자는 학점, 현장실습, 외국어능력 등이 좋은 일자리로의 진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임금효과에서도 전문대 졸업자와 4년제 대학 졸업자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전문대 졸업자는 재학 중 직업훈련, 재학 중 일 경험, 영어능력이 임금수준을 높이고 있다. 4년제 대학 대졸자는 졸업 후 직업훈련을 받거나 재학 중 일 경험은 오히려 임금수준을 낮추지만, 영어점수와 재학 중 취업준비는 임금보상이 높은 일자리로 진입할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연령별 중·고령 노동자의 취업 양극화 분석 (An Analysis of the Polarization of the Middle-aged and Old Worker's Employment by Age and Gender)

  • 이성용;방하남
    • 한국노년학
    • /
    • 제29권2호
    • /
    • pp.593-610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외환위기 직후 경기 침체기와 경기회복기에 따른 성·연령별 중·고령자 취업률의 변동, 그러한 변동의 원인이 무엇인지, 그리고 중·고령자의 취업에 미치는 결정요인들이 성과 연령별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연구원의 1차부터 7차까지의 노동패널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경기침체기에 비해 경기회복기에 남녀 모두 모든 연령에서 취업률이 상승하였고 또 연령이 올라감에 따라 남녀 취업률 격차가 감소하는 것을 발견했다. 가정한 바와 같이, 중·고령자의 취업에 미치는 결정요인들은 성과 연령별에 따라 차이가 났다. 예를 들어, 배우자 존재는 남성 취업률에 정적 영향을 여성 취업률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한편, 경제회복기의 취업률 증가에는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한 취업자 수의 증가보다 경제적 독립성을 중시하는 개인주의 이데올로기로 인한 취업자 수의 증가가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외환위기 이후 양극화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경기회복기에 평균 근로소득의 급상승과 경기침체기보다 경기회복기에 개인의 취업이 더 어려워졌다는 사실은 2001년 이후 중·고령 노동자 취업의 양극화가 나타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빈민 혹은 하층의 중·고령 노동자들은 취업하기가 더 어려워진 반면, 중류층 이상(특히 고소득)의 노동자들은 이전보다 더 늦은 연령까지 취업을 하는 추세가 나타났다. 이러한 중·고령 노동자 취업의 양극화는 남성보다 여성에서 더 분명하게 나타났다.

장기복무 제대군인 취업진로 결정요인 분석 (Analysis on the Factors of Re-employment of Veterans After Long-term Military Service)

  • 이성희;원종욱
    • 노동경제논집
    • /
    • 제27권2호
    • /
    • pp.139-159
    • /
    • 2004
  • 10년 이상 장기복무한 후 제대한 군인의 사회에서 재취업률은 최근 들어 연평균 30%에도 미치지 못하는 실정으로 향후 군비축소에 따른 국방인력 감축까지 고려한다면 제대군인의 실업문제는 매우 우려할 수준에 와 있다. 본 연구는 장기복무 제대군인들의 전역 후 취업진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한 후 계량분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봉급생활을 선택한 집단에 비해 자영업을 선택한 집단이 배우자의 소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활동을 포기한 계층은 군복무 기간이 더 길고 계급도 높으며, 질병이나 장애가 있는 경우로 나타났다. 그리고 군복무 기간이 길수록, 직업보도교육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일수록 제대 후 첫 직장탐색 기간이 단축되는 반면,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가장 오래 복무한 지역이 서울 지역인 사람이 여타 지역 근무자에 비해 직장탐색 기간이 길어진다는 결과를 얻었다.

  • PDF

미국 소비자들의 소비자 신용 이용 분석: 고용불안정성 요인의 효과를 중심으로 (Consumer's Use of Credit as a Financing Medium : The Impact of Employment Instability)

  • 백은영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8권1호
    • /
    • pp.79-100
    • /
    • 2004
  •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mployment instability on consumer's use of credit as a financing mediu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examine the effect of employment related factors on consumers' use of credit; 2) to compare the results between the two different economic situations. A conceptual framework was developed based on the permanent income hypothesis, family stress theory, and the previous empirical studies. Using data on working households ih the 1992 and 1998 Survey of Consumer Finances (SCF), double-hurdle analys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suggested that employment related factors that measured employment stabilit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ikelihood of having an outstanding balance on their credit account but were not the influential factors in determining the amount of the outstanding balance. Among other factors, resources factor played the most significant role in determining both the likelihood of having an outstanding balance and the amount of the balance. Although the 1992 and 1998 data represent economic downturn and economic prosperous period, the effects of the factors including employment instability factors were similar between the two periods. This imply that employment instability has increased even in the economic prosperous period. From the findings, several implications for policy makers, credit industry, and financial educators were suggested.

  • PDF

Market Access Approach to Urban Growth

  • MOON, YOON SANG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42권3호
    • /
    • pp.1-32
    • /
    • 2020
  • This paper studies urban growth in Korean cities. First, I document that population growth patterns change over time and that the current population distribution supports random urban growth. I confirm two empirical laws-Zipf's law and Gibrat's law-both of which hold in the period of 1995-2015, but do not hold in the earlier period of 1975-1995. Second, I find a systematic employment growth pattern of Korean cities in spite of the random population growth. I examine market access effects on employment growth. Market access, a geographical advantag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urban employment growth. The market access effect is higher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an in the rest of the country. This effect is stronger on employment growth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compared to employment growth in the service industry. These results are robust with various checks (e.g., different definitions of urban areas). The results here suggest that policymakers should consider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when they make policy decisions with respect to regional development.

서비스산업에서의 지역별 고용률의 변화에 대한 분석 연구 (A Analytical Study on the Change of Regional Employment Rate in the Service Industry)

  • 박종태;김동철
    • 서비스연구
    • /
    • 제2권2호
    • /
    • pp.23-33
    • /
    • 2012
  • 서비스업에서의 고용률 및 전체 고용률에 대한 상대비율이 최근 수년 동안 매우 많이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지역적으로 매우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수도권 지역과 수도권 이외 지역과의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서 서비스업에서의 평균 고용률은 수도권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서비스업에서 고용률의 시기별 변화는, 수도권은 지속적으로 개선되는 추세를 보인 반면에 수도권 이외의 지역은 서로 다른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서비스업에서 고용률의 상대비율은 수도권과 강원권이 다른 권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시기별 변화도 이 두 권역이 다른 권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서비스업에서의 평균 고용률이나 상대비율을 시도별로 비교해 보면 광역시가 도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시기별 변화를 비교해 보면 각 권역마다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기업특성이 여성고용비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irm Characteristics on the Female Employment Ratio)

  • 권희경;안미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177-186
    • /
    • 2021
  • 본 연구는 여성 고용이 양성평등을 측정하고 실현하는 데 있어 중요한 지표라는 인식을 기반으로 제조업의 기업특성이 여성고용비율에 미치는 영향을 고용 형태별로 살펴보았다. 2011년부터 2019년까지 유가증권시장(KOSPI)에 상장된 제조업 중 재무 자료 이용이 가능한 5,729개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 규모, 상장 기간, 외국인 지분율과 정규직, 무기 계약직, 기간제, 전체 직원 수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 전체 여성고용비율 중 기간제 여성비율의 관계에 대해 세 가지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고용 형태에서 가설이 채택되었다. 기업규모와 외국인지분율이 증가할수록 정규직과 무기계약직, 기간제, 전체 직원 수에서의 여성고용비율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상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무기계약직, 기간제, 전체 직원 수에서 여성고용비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의 객관적 재무자료를 토대로 여성고용비율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등 양성 평등한 고용 정책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자영업의 지속기간과 지속의사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for Sustaining Period and Willingness of Continuing of Self-employed Business)

  • 홍성희;유가효;강세영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9권1호
    • /
    • pp.41-5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continuity and the willingness of continuing self-employment. The sample of 321 was selected from self-employed workers living in Daegu. For data analysis, t-test, multiple regression, and logistic analysis were us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1. The sustaining period of self-employment were affected by gender, age, and educational attainment of self-employed workers, as well as the amount of starting capital, couple's partnership in business or not, and the type of industry in business. 2. Willingness to continue self-employment is more likely for those who without other income source, have positive vision with future economic prospects, have more satisfied with their self-employed work.

  • PDF

정신장애인 고용경험이 있는 고용주의 정신장애인 재고용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Rehiring Intentions for Mentally Disabled of Employer with Employment Experience)

  • 전성숙;김미영;변은경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99-10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employer to rehire the mentally disabled. The participants of survey were 121 of employers' in Busan. Data were analyzed using ${\chi}^2$-test,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WIN 18.0. According to this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employer's rehiring intentions for the mentally disabled is a significantly related to gender, relationship with mental disabled person, industrial classification, experience of disabled employees, period of employment with mentally disabled people, subsidy for employment promotion, employment quota system, benevolence, community mental health ideolog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relationship with mental disabled person, industrial classification, experience of disabled employees, period of employment with mentally disabled people, subsidy for employment promotion, employment quota system and benevolence. On the basis of results, program for encouraging employer's intention of rehiring the mentally disabled should be development and establish mediate strategies.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취업실태조사 개선방안 연구 (Study on Improvement of Survey on Employment Status at the Vocational High School)

  • 이찬;전영욱;박윤희;김선근;전혜린;정하늘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 /
    • 제49권4호
    • /
    • pp.43-65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졸업자 취업실태조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과제를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특성화고·마이스터고에서 학생들의 취업업무를 총괄하는 19명의 취업부장교사와 취업 개념의 타당성, 조사시기의 적절성, 조사방법의 효과성, 조사 산출물의 유용성 등을 중심으로 면대면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현재의 취업실태조사에서 활용하고 있는 취업의 개념은 통상적인 기준으로 인정하기에 낮았으며, DB와 연계되지 않은 취업집계는 부정확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시기와 관련하여 현행 2월 조사는 현장학습과 취업을 구분하기 어렵고, 진학 및 취업이 결정되지 않은 시기이며 완전한 취업을 조사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셋째, 현재 교사가 수행하는 조사방법은 신뢰도와 업무효율에 있어서 한계가 있었다. 넷째, 조사산출물은 학교에서는 활용하기에 유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취업실태조사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