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Pre-Employment Efforts of the College Graduate Youth in Korea

대졸 청년층 취업준비노력의 실태와 성과

  • Published : 2006.12.25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pre-employment efforts of the youth on their transition to the labor market. Labor market performance is accessed by the transitory period, the employment at workplace with more than 300 employees, and the wage level. Based on the effects of employment efforts for the first transitory period, job experience during school and preparatory period for employment would raise the likelihood of employment, but the school credit, grade in English, and the frequency of interviews, on the contrary, failed to reduce the transitory period. Employment effect varied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In case of college graduates, vocational education and job experience during schoo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leading them to decent jobs.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university graduates, job experience and language skills were proven to be important factors. Lastly, for the wage effect, in case of college graduates, vocational training, job experience during school, and English ability were proven to increase the wage level. However, vocational training after graduation and job experience during school decreased the wage level, but grade in English and pre-employment efforts during school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getting a decent, highly paid job for university graduates.

이 연구는 청년들의 취업준비노력이 노동시장 이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있다. 노동시장 성과는 첫 일자리로의 이행기간, 300인 이상 사업장 취업여부, 첫 일자리의 임금수준의 3가지 범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취업준비노력이 첫 일자리로의 이행기간에 미친 효과를 보면 재학 중 일 경험과 취업준비 시기는 첫 일자리로의 탈출확률을 높이지만, 학점, 영어점수, 면접횟수는 오히려 이행기간을 장기화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취업효과는 학력에 따라 그 효과가 상이하였다. 전문대 졸업자는 교육훈련과 재학 중 일 경험이, 대졸자는 학점, 현장실습, 외국어능력 등이 좋은 일자리로의 진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임금효과에서도 전문대 졸업자와 4년제 대학 졸업자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전문대 졸업자는 재학 중 직업훈련, 재학 중 일 경험, 영어능력이 임금수준을 높이고 있다. 4년제 대학 대졸자는 졸업 후 직업훈련을 받거나 재학 중 일 경험은 오히려 임금수준을 낮추지만, 영어점수와 재학 중 취업준비는 임금보상이 높은 일자리로 진입할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순희, 박성재 (2002) '청년층의 학교교육과 직무의 일치' <제 1회 산업,직 업별 고용구조조사 및 청년패널 심포지엄> 중앙고용정보원 139-168
  2. 김미란 (2003) '청년층 졸업.중퇴자의 첫 직장 이행기간에 대한 학력과 전공 계열의 영향' <직업과 인력개발> 6(6): 66-72
  3. 김안국 (2003) '청년층 미취업의 실태 및 원인 분석' <노동경제논집> 26(1):23-52
  4. 김안국, 강순희 (2002) '자격취득의 결정요인 및 취업임금효과' <노동경제논집> 27(1):1-25
  5. 김우영 (2002) '학력, 훈련, 아르바이트, 자격증의 경제적 효과' <제 1회 산업, 직업별 고용구조조사 및 청년패널 심포지엄> 중앙고용정보원 83-107
  6. 김주섭, 박성재 (2003)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에 있어 직업교육훈련의 효과.' <제2회 산업.직업별 고용구조조사 및 청년패널 심포지엄> 중앙고용정보원 3-30
  7. 김준영, 전용석 (2004) <청년층의 노동이동과 노동시장 성과: 초기 노동시장 경험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중앙고용정보원
  8. 류장수 (2005) '지방대학 졸업생의 노동시장 성과' 이병희, 김주섭, 안주엽, 정진호, 남기곤, 류장수, 장수명, 최강식 <교육과 노동시장 연구>한국 노동연구원 141-178
  9. 박성재 (2005) '지방대 졸업생의 노동이동과 노동시장 성과' <노동정책연구> 5(4):65-99
  10. 김용현, 이규용 (2003)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 결정요인' <노동정책연구> 3(2):69-94
  11. 이동엄, 김덕기 (2001) <노동시장에서 자격의 활용도 제고방안> 한국직업능 력개발원
  12. 이병희 (2002) '청년층의 직업세계 정착과정과 경력형성' <학교로부터 노동 시장 이행실태와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34-5 1
  13. 이병희 (2003) <청년층 노동시장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14. 이뱅희, 김주섭, 박성재, 류장수 (2004) <자격과 노동시장 연구> 한국노동 연구원
  15. 이상은 (2005) '청년들에 대한 직업훈련의 취업 및 근로소득 효과' <사회복지정책> 23:5-28
  16. 이상준 (2006) '자격증이 임금, 노동이동에 미치는 효과' <노동경제논집> 29(2):145-169
  17. 장원섭, 김형만, 옥준필 (1999)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8. 채창균 (2003) '대학생의 재학중 일자리 체험과 취업준비' <직업교육연구> 22(1):169-184
  19. 통계청 (2003)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 원자료(2003. 4)
  20. 통계청 (2005)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청년층) 결과 보도자료(2005. 7)
  21. 통계청 (2006)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청년층) 결과 보도자료(2006. 7)
  22. 한국경제신문 2003. 4. 12
  23. 한국노동연구원 (2006) (월간 노동리뷰) 22
  24. Ashenfelter, Orley (1978) 'Estimating the Effect of Training Programs on Earnings'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63:47-57
  25. Baron, James. N. and William. T. Bielby (1980) 'Bring the Firms Back in: Stratification, Segmentation, and the Organization of Work'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5:737-765 https://doi.org/10.2307/2094893
  26. Bassi, Laurie. (1983) 'The Effect of CETA on the Postprogram Earnings of Participants' The Journal of Human Resources 18:539-556 https://doi.org/10.2307/145443
  27. Becker, Garry S. (1975) Human Capital: A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with Special Reference to Educa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8. Bloom, Howard S., Larry L. Orr, George Cave, Stephen H. Bell, Fred Doolittle, and Winston Lin. (1994) The National JTPA Study Overview: Impacts, Benefits, and Costs of Title II-A Abt Associates
  29. Couch, Kenneth. A. (1992) 'New Evidence on the Long-term Effects of Employment Training Programs' Journal of Labor Economics 10:380-388 https://doi.org/10.1086/298292
  30. Kerckhoff, Alan. (1976) 'The Status Attainment Process: Socialization or Allocation?' Social Forces 55(2):368-381 https://doi.org/10.2307/2576228
  31. Lalonde, Robert. (1995) 'The Promise of Public Sector-Sponsored Training Programs'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9(2): 149-168 https://doi.org/10.1257/jep.9.2.149
  32. Leigh, Duane. (1995) Assisting Workers Displaced by Structural Change: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W.E. Upjohn Institute for Employment Research
  33. Maurice, Marc and Arndt Sorge. (2000) Embedding Organizations: Societal Analysis of Actors, Organizations and Socio-Economic Context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34. GECD. (1998) Thematic Review of The Transition From Initial Education to Working Life: Background Reports and Country Notes
  35. Perry, Charles, Bernard Anderson, Richard Rowan and Herbert Northrup. (1976) The Impact of Government Manpower Programs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36. Rosenbaum, James E. (1991) 'Do School Achievement Affect the Early Jobs of High School Graduates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Sociology of Education 64:78-95 https://doi.org/10.2307/2112880
  37. Shavit, Yossi and Walter Muller. (1998) From School to Work Clarendon Press
  38. Stem, David and Daniel A. Wagner. (1999) 'Introduction: School-to-Work Policies in Industrialized Countries as Responses to Push and Pull' 1-22 in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the School-to-Work Transition Hampton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