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ployment Determinants

검색결과 185건 처리시간 0.023초

노인 채용 관련 필요한 지원서비스 유형과 채용계획 결정요인 (Types of Support Services needed for hiring the Elderly and the Determinants of Elderly Employment Plan)

  • 정규형;신지민;박은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287-294
    • /
    • 2021
  • 연구는 노인채용 관련 필요한 지원서비스를 유형화하고, 노인채용 관련 필요한 지원서비스 유형과 노인채용계획 간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A구 상공인과 소상공인 182명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노인채용 계획 확률을 높이는 요인이 종사자 수와 노인 인력 여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노인채용 관련 '필요 지원서비스 고수준 집단'이 타 집단보다 노인 채용 계획이 있을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민간 사업체가 노인 인력 채용 시에 필요한 정부의 지원 방향 관련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자영업 지속기간의 결정요인 (An Empirical Study on the Duration of Self-employment)

  • 안주엽;성지미
    • 노동경제논집
    • /
    • 제26권2호
    • /
    • pp.1-30
    • /
    • 2003
  • 한국의 노동시장에서 자영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함에도 불구하고, 자영업에 대한 연구는 몇몇 연구자들에 의하여 진행되었고 기업가 정신(entrepreneurship)을 가진 개인의 자영업 창업 과정, 자영업의 성장 과정, 자영업의 소멸 과정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자영업의 소멸 과정에 초점을 두고 경과기간 모형을 "한국노동패널" 1차(1998)~4차(2001) 자료에 적용하여 자영업 지속기간이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자영업 지속기간은 농림어업 및 제조업에서 길게 나타나고 숙박 및 음식점업에서는 상대적으로 진입과 퇴장이 빈번한 것으로 나타난다. 훈련경험이 있는 경우는 자영업의 지속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며, 훈련의 주관자를 기준으로 볼 때, 특히 공공직업훈련이 미치는 효과가 눈에 띄게 나타난다. 이는 자영업 창업지원에서 정보 및 자금 측면뿐 아니라 자영업을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컨설팅이 주효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 PDF

여성의 생산노동과 재생산노동의 상호연관성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경험적 연구 (A Dynamic Analysis of the Women's Labor Market Transition: With a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ve and Reproductive Labor)

  • 이재열
    • 한국인구학
    • /
    • 제19권1호
    • /
    • pp.5-44
    • /
    • 1996
  • 여성, 특히 기혼여성의 사회적 참여는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들을 좀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정책적 관심도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기혼여성 노동력의 노동시장 참여를 걸정짓는 요인에 대한 분석은 매우 부진했으며, 특히 가사분담과 생애주기에 따른 가족내 재생산노동의 수요변화 등에 동태적인 변화에 대한 경험적 분석은 매우 미미하였다. 이 연구는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에 관한 개인사적 자료를 활용하여 여성의 재생산노동과 생산노동간의 연관성, 그리고 생애주기에 따른 가족내 여성의 변화 등이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사건사분석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경험적인 분석을 행하였다. 한국여성개발원이 1991년도에 수집한 '제2차 여성취업실태 조사' 자료를 토대로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여성들만을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횡단면자료를 중심으로는 로짓분석을, 취업과 비취업간의 전환에 대해서는 전환율을 종속변수로 하는 콕스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가 전반적인 증대에도 불구하고 나이, 코호트, 가족형성의 주기 등에 따라 상당한 편차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결혼과 출산은 고용의 지속성에 강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가사노동과 육아 책임의 대부분을 여성이 부담하는 상황에서 가족내 재생산과 노동시장내 생산노동간의 상호교환관계(trade-off)가 존재함을 보여준다. 여성의 취업주기는 개인의 인적 특성과 가족형성기의 특징 이외에 전반적인 노동시장구조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내는데, 특히 하층 저학력 여성의 전환과정은 신경제학적 개념이, 고학력 여성의 비취업으로의 강한 회귀현상은 신구조주의적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할 사항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제고하고 취업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족형성주기와 연관된 여성들의 기회비용를 낮추는 방법, 예를 들면 다양한 탁아 및 보육시설의 설치, 차별적 고용관행의 폐지, 유연한 시간근무를 가능케 하는 다양한 파트타임제의 확대 등과 같은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PDF

OECD 15개국 중고령 남성의 취업률 결정요인 (The Factors Determining on the Employment Rate of Men Aged 55~64 in 15 OECD Countries)

  • 지은정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2호
    • /
    • pp.233-260
    • /
    • 2011
  • 본 연구는 1980~2005년 OECD 15개국 중고령 남성의 취업률 추이 및 취업률 결정요인을 분석하여 중고령 남성의 노동시장참여를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자료는 OECD, ILO, LIS이다. 분석은 노동시장참여의 상태의존성과 패널개체의 이질성을 반영한 동적패널모형으로서, 도구변수를 사용한 Arellano and Bonds(1981)의 차분 GMM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55~64세 남성의 취업률은 1990년대 중반까지 감소하였으나, 그 이후 증가하고 있다. 둘째, 1980~2005년 기간동안 중고령 남성의 취업률은 상태의존성이 강하게 작용하였고, 정적인 기간효과가 나타났다. 공적 연금의 유인효과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고, 노동시장의 배출요인이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1996~2005년은 노동시장위험완화요인인 임시직 비율이 중고령 남성의 취업률에 기여하였고, 빈곤이 노동의 메커니즘으로 나타났다.

  • PDF

장기복무 제대군인 취업진로 결정요인 분석 (Analysis on the Factors of Re-employment of Veterans After Long-term Military Service)

  • 이성희;원종욱
    • 노동경제논집
    • /
    • 제27권2호
    • /
    • pp.139-159
    • /
    • 2004
  • 10년 이상 장기복무한 후 제대한 군인의 사회에서 재취업률은 최근 들어 연평균 30%에도 미치지 못하는 실정으로 향후 군비축소에 따른 국방인력 감축까지 고려한다면 제대군인의 실업문제는 매우 우려할 수준에 와 있다. 본 연구는 장기복무 제대군인들의 전역 후 취업진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한 후 계량분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봉급생활을 선택한 집단에 비해 자영업을 선택한 집단이 배우자의 소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활동을 포기한 계층은 군복무 기간이 더 길고 계급도 높으며, 질병이나 장애가 있는 경우로 나타났다. 그리고 군복무 기간이 길수록, 직업보도교육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일수록 제대 후 첫 직장탐색 기간이 단축되는 반면,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가장 오래 복무한 지역이 서울 지역인 사람이 여타 지역 근무자에 비해 직장탐색 기간이 길어진다는 결과를 얻었다.

  • PDF

Exploring Factors Influencing Smoking Behaviour in Malaysia

  • Cheah, Yong Kang;Naidu, Balkish Mahadi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4호
    • /
    • pp.1125-1130
    • /
    • 2012
  • Objective: The objective of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smoking behaviour among adults in Malaysia. Method: Findings of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Morbidity Survey (NHMS-3) by the Ministry of Health, Malaysia, were used. The sample consisted of 34,539 observations. A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thus applied to estimate the probability to participate in smoking. Results: Age, income, gender, marital status, ethnicity, employment status, residential area, education, lifestyle and health statu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ffecting the likelihood of smoking. Specifically, youngsters, low income earners, males, unmarried individuals, Malays, employed individuals, rural residents and primary educated individuals were more likely to smoke. Conclusion: In conclusion, socio-demographic, lifestyle and health factors have significant impacts on smoking participation in Malaysia. Based on these empirical findings, several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노인의 시간배분 유형에 따른 시간사용만족도의 차이 (Differences in Time Use Satisfaction by Time Allocation Types of the Elderly)

  • 김외숙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9권1호
    • /
    • pp.163-180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typology of time allocation, investigate determinants of time allocation types, and analyze differences in time use satisfaction by the types of time use of the elderly. The data source for this research was the 2009 Time Use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KNSO). The 4,699 time diaries (3,552 for weekday, 1,147 for Sunday) completed by the elderly over the age of 60 were analyzed using mean, standard deviation, chi-square, cluster analysis, ANOVA analysis, Duncan test,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ime allocation of the elderly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personal care oriented, work oriented, leisure oriented, and balanced type. Gender, age, education, employment status, income, and the presence of spouse were identified as determinants for each type. According to the types of time allocation, time use satisfaction was different on week days.

도시근로자 가계의 저축, 저축성보험, 계에 관한 연구 (Savings Accounts, Savings Insurance and Private Financial Clubs and Their Determinants)

  • 김순미;양정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9호
    • /
    • pp.37-51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household characteristics on savings account, savings insurance, and private financial clubs.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the 2001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consisting of a sample of 1,801 salary and wage earners' households. Tobit analysis was peformed to investigate savings accounts, savings insurance and private financial clubs. The results showed that 76% of households held savings accounts, 77% savings insurance, and 12% non-institutional assets in private financial clubs. Sender, age, education, job, spouse employment, family type, location, home ownership, number of children, and family income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investment in savings accounts, savings insurance, and private financial clubs. Family income was the most powerful variable.

Social Determinants of COVID-19 in Massachusetts, United States: An Ecological Study

  • Hawkins, Devan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3권4호
    • /
    • pp.220-227
    • /
    • 2020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how different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SDoH) may be related to variability in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rates in cities and towns in Massachusetts (MA). Methods: Data about the total number of cases, tests, and rates of COVID-19 as of June 10, 2020 were obtained for cities and towns in MA. The data on COVID-19 were matched with data on various SDoH variables at the city and town level from the American Community Survey. These variables included information about income, poverty, employment, renting, and insurance coverage. We compared COVID-19 rates according to these SDoH variables. Results: There were clear gradients in the rates of COVID-19 according to SDoH variables. Communities with more poverty, lower income, lower insurance coverage, more unemployment, and a higher percentage of the workforce employed in essential services, including healthcare, had higher rates of COVID-19. Most of these differences were not accounted for by different rates of testing in these cities and towns. Conclusions: SDoH variables may explain some of the variability in the risk of COVID-19 across cities and towns in MA. Data about SDoH should be part of the standard surveillance for COVID-19. Efforts should be made to address social factors that may be putting communities at an elevated risk.

미국 성인자녀의 노부모에 대한 자원이전행동에 관한 연구 (Resource Transfers from Adult Children to Their Elderly Parents)

  • 고선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1호
    • /
    • pp.187-19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arent-to-child financial transfers and economic resources on financial transfers, caregiving, and time donated from middle-aged adult children to their elderly parents. Analyzing data from the Wisconsin Longitudinal Study, which provides long-term observations of financial reciprocity and recent reports about elder care, the current study finds strong positive effects of prior parent-to-child financial transfers in the models of caregiving and time; which indicates the importance of reciprocity. In terms of determinants of resource transfers, the finding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suggest that the economic resources of parents and adult children are strong determinants of child-to-parent financial resource transfer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rents and respondents were observed as strong determinants of caregiving or time. In addition, caregiving responds more to the health and income levels of parents whereas donated time is responsive to the net worth of parents and parents' status. For adult children, gender is a strong determinant of both caregiving and time donation. The long-term health problem of adult children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 of caregiving, while the employment status of adult children and the number of siblings have statistically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ime donated to care for the par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