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 type

검색결과 439건 처리시간 0.027초

어머니-영아간 전통놀이, 자유놀이, 블록놀이의 언어적 상호작용 비교 (Mother-Toddler Verbal Interaction Comparative Study in Traditional, Free and Block Play)

  • 이행숙;한유진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7권1호
    • /
    • pp.181-196
    • /
    • 2009
  • This study compared mother-toddler verbal interaction by play type (traditional play, free play, block play), and child's sex and age. Subjects were 10 boys and 10 girls ranging in age from 25- to 36-months and their mothers. An observer videotaped the children and their mothers at play in their homes. Results showed that (1) Mothers attempted more positive verbal interaction in traditional than in block play. (2) Mothers expressed more positive emotion in free than in traditional and block play. (3) Mothers more answer 'reflection' in traditional than in free play (4) Toddlers attempted more positive verbal interaction in block than in traditional and free play. (5) Toddler's positive emotion express was not distinguished by play type or by child's sex or age. (6) From 31- to 36-months's boys expressed more play situation than from 25- to 30-months' girls. This study provides groundwork for mother-toddler traditional play programs with potential for improving positive expression of emo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한글 글꼴과 감성 표현어 사이의 수량적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quantitative correlation between hangul font and the emotional expressions)

  • 이정미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6-49
    • /
    • 2008
  • This study aims to suggest basic materials to develop an emotional font for future Hangeul font development plan by investigating emotional reaction displayed through the subjects and by quantifying its contribution of the stimulation elements causing such reaction. For this, a survey of 150 university students who are currently enrolled in the College of Design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30 emotional words extracted from the Hangeul font and the selected 36 sample fonts. The combined data was described with the two dimensional dispersion using the quantification theory type III. The analysis found out that the Hangeul font forms the x-axis showing "soft(dynamic).hard(static)" and the y-axis showing "modern(light).classic(heavy)”. Specifically, there exist emotional groups such as "archaic","masculine","feminine","negative", and "modern static"on each axis. In addition, to extract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of emotional reaction and its stimulation elements quantitatively, the author indicated the emotional words of each axis and the total value of equivalent five emotional word groups as the standard variance and the constituent of Hangeul font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n the quantification theory type I was used to analyze the physical elements of the Hangeul font. As a result, "the centerline of gravity(base line)" and "thickness variance of a stroke" on the two axes, and "the centerline of gravity(base line)" and "decoration" among the five groups were identified as the most influential elements that affect the emotional reaction of the subjects.

  • PDF

숙련도에 따른 양모 태와 재킷 스타일에 대한 감성의 차이 (Sensibility Differences on Jacket Style and Wool Fabrics according to Subject's experience)

  • 정상무;나영주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1-294
    • /
    • 2002
  • Fabric hand and sensibility must be studied together with the apparel sensibility. This study included 8 wool fabrics and 10 jacket styles to execute experiment their subjective sensibility and to look for the effects of subject's experiences. The wool sensibility changes not with the wool type but also with their appropriate jacket styles. Expert designers evaluated some of the wool and jacket sensibility differently from students did.

  • PDF

유발된 정서가 대학생의 부정적 어휘정보 처리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riming Emotion among College Students at the Processes of Words Negativity Information)

  • 김충명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318-324
    • /
    • 2020
  • 본 연구는 정상 및 불안 집단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정적 어휘를 포함하는 서술어의 의미추론 과정에서 정서유형 및 부정어휘 출현의 정도가 과제처리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정서 3유형, 자극 2유형 그리고 부정어휘 횟수 3유형을 피험자 내 변인으로, 벡(Beck) 불안척도로 구분된 불안수준을 피험자 간 변인으로 혼합반복측정 설계를 적용하여 피험자 반응시간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정서유형과 자극의 종류 그리고 부정어휘 횟수에 대한 주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불안수준 x 부정어 횟수에서 상호작용이 발견되었다. 긍정적 정서에 비해 부정적 정서에서, 비언어 자극보다는 언어 자극 환경에서 과제처리에 더 효율적이었지만, 부정어휘 변인에서는 그 횟수의 증가가 정상집단의 신속한 반응과 불안집단의 지연된 반응으로 분기되면서 부정어휘처리 반응시간의 지체로 나타났다. 또한 유입 정서유형 및 자극의 종류와 상관없이 불안수준은 과제처리 속도를 지연시키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추후 연구를 위한 함의와 한계를 논의하였다.

개인성을 고려한 지식-감정 반응 모델의 설계 (The Design of Knowledge-Emotional Reaction Model considering Personality)

  • 심정연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7권1호
    • /
    • pp.116-122
    • /
    • 2010
  • 급격한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 (Human Computer Interface : HCI)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보다 인간 친화적인 시스템 설계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인간 친화적인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먼저 개인성과 감성적요소가 고려되어야 한다. 지식(Knowledge), 감정(Emotion), 개인성(Personality)의 각 영역에서 이를 실현하려는 시도는 많이 되고 있으나 이 세 가지 요소를 연결하는 시도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지식이 기억될 때 감정도 함께 기억되는 경우가 많으며 사고 과정과 결정 단계에서 감정적인 상태는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좀 더 인간 친화적이며 섬세하고 효율적인 지능 시스템 구현을 위해서는 이러한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한 시스템이 모델링되고 설계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성을 고려한 지식-감정 반응 모델을 설계하고, 개인성을 구현하기위하여 5가지 타입을 정의하고 타입매칭선택 메커니즘에 의해 추출된 사고 스레드의 감정벡터를 계산하고 자극에 반응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된 시스템을 가상메모리에 적용하여 타입별 감정 반응을 시뮬레이션 하였다.

보건계열 여대생의 긍정정서, 부정정서 및 취업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분석 (Analysis of Convergent Influence of Positive Emotion, Negative Emotion and Job Seeking Stress on Depression among College Women of Health Affiliated Educations)

  • 배상윤;김승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3호
    • /
    • pp.269-278
    • /
    • 2016
  • 본 연구는 보건계열 여대생들의 긍정정서, 부정정서 및 취업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우울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호남지역의 4개 대학에서 임의로 선정된 419명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5년 3월 9일부터 4월 30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우울은 긍정정서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부정정서 및 취업스트레스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주관적행복이 낮을수록, 절망감이 높을수록, A형행동유행이 높을수록, 성격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우울수준이 높았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47.1%이었다. 공분산 구조분석 결과, 긍정정서, 부정정서 및 취업스트레스와 우울의 인과관계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보건계열 여대생들의 우울수준을 낮추기 위해서는 긍정정서를 높이고 부정정서 및 취업스트레스를 낮추는 노력이 필요하다.

성취정서의 국내외 연구동향 (Research Trends on Achievement Emotion)

  • 박서연;윤미선
    • 교육심리연구
    • /
    • 제31권1호
    • /
    • pp.35-58
    • /
    • 2017
  • 성취정서란 학생들이 학업상황에서 경험하는 정서로, 성취활동이나 성취결과와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정서이다. 교육심리 분야에서 학생들의 동기와 정서에 대한 측면으로 연구의 관심이 확대되면서 최근에는 우리나라에서도 성취정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그 동안 이루어진 성취정서 관련 연구들을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라 국내와 국외로 나누어 분석하고 구조화하여 성취정서 관련 연구의 흐름과 방향성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 학업상황에 적합한 성취정서를 연구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연구대상은 국내외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추출된 2000년부터 2016년까지의 국내외 학술지 논문으로, 국내 47편, 국외 58편, 총 105편이 선정되었다. 분석기준은 연구시기, 연구내용, 연구방법으로 나누었고, 연구시기는 기간을 통제하지 않고 분석하였으며, 연구내용에는 연구변인과 성취상황을 포함하였고, 연구방법에는 연구설계, 연구유형, 분석방법, 측정도구, 연구대상을 포함하였다. 이상의 자료를 SPSS를 사용하여 기술통계치를 산출하였으며, 국내외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취정서에 대한 연구의 흐름을 크게 성취정서에 대한 척도개발 연구와 관련 변인 간의 관계 연구로 나누어볼 수 있었다. 성취정서를 측정하는 대표적 척도인 AEQ가 국외에서 개발된 척도이기 때문에 국내 성취정서 연구에 적합한 척도개발 연구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국내의 경우 동기, 특히 자기조절 학습전략과 학업적 정서조절과 관련된 연구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국내 성취정서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디자인 분야별 EPA.PAD 감성평가모형의 신뢰도 분석 (Reliability Analysis of Emotion Evaluation EPA.PAD Model in Each Design Field)

  • 김지혜;이진숙
    • 감성과학
    • /
    • 제17권1호
    • /
    • pp.79-92
    • /
    • 2014
  • 본 연구는 감성분석기법이 디자인 평가에 적극 적용되어지면서 발생할 수 있는 감성평가모형의 사용상의 오류를 최소화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제품, 실내 공간, 가로경관 디자인 분야별로 축약형 모형의 어휘 추출을 위해 선행연구에서 발췌한 어휘로 1차적인 어휘정제작업을 수행하였다. 세 분야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어휘 19개가 나타났는데 신뢰도 분석 결과, 분야별로 신뢰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어휘들이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축약형 모형인 EPA모형과 추론형 모형인 PAD모형의 신뢰도 분석을 통한 어휘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결과, 세 분야에서 축약형 모형이 추론형 모형보다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지만, 계수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또한 신뢰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어휘들을 삭제하고 신뢰도 분석 한 결과 계수의 차이가 확연히 높은 신뢰도가 나타났다. 따라서 감성평가 시에는 평가대상에 적합한 어휘 선정 과정이 필요하고, 적합한 모형을 사용하는 것이 감성평가의 객관성을 높이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추후 환경 평가에 적합한 감성평가모형의 분석이 신뢰도 검증외에 다양한 통계기법에 의해 분석되어져야 한다.

Music Similarity Search Based on Music Emotion Classification

  • Kim, Hyoung-Gook;Kim, Jang-Heo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제26권3E호
    • /
    • pp.69-73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an efficient algorithm to retrieve similar music files from a large archive of digital music database. Users are able to navigate and discover new music files which sound similar to a given query music file by searching for the archive. Since most of the methods for finding similar music files from a large database requires on computing the distance between a given query music file and every music file in the database, they are very time-consuming procedures. By measuring the acoustic distance between the pre-classified music files with the same type of emotion, the proposed method significantly speeds up the search process and increases the precision in comparison with the brute-force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