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ergency recovery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32초

이동통신망의 Emergency 대응 방법에 대한 고찰 (Study on Emergency Recovery Plan f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김종득;윤대희;권준혁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9년도 정보통신설비 학술대회
    • /
    • pp.285-288
    • /
    • 2009
  • The emergency recovery scheme in time of a disaster or accident up to now has been focused on how to build a backup for the public service or communication network in national scale, also, all the mobile operators have done as recovery scheme for the equipment failure in their network was to make a backup copy of billing data or package data, and they have usually studied only on the backup and failure recovery scheme in the circuit-switched network. However, since it has become more probable recently that a disaster or accident could occur in the switching office buildings, a recovery scheme in time of the failure of these entire switching offices became necessa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various recovery schemes, and by having checkups on many issues that could arise while carrying out these schemes, it presents the best solution for each issue. Moreover, it presents the future tasks that need to be studied as well as initial study directions.

  • PDF

지방자치단체의 홍수피해 응급복구 과정에서의 기술자원 활용방안 (Utilization of Technical Resources in the Emergency Recovery Process of Flood Damage of Local Governments)

  • 허선범;조원철;이태식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7-1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홍수발생시 재해응급복구에 관한 장비조합의 적정성을 판단하고, 장비운용의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건설실무 인력자원을 활용하여 경제적이고 신속한 재해응급복구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홍수피해복구 과정에 대한 절차와 방법을 조사하여, 현행 대처과정에 대한 이해를 정리하였고 이에 대한 법적근거를 조사 분석하였다. 지금까지는 장비자원과 전문건설실무자원에 대한 효과적인 응급복구장비 투입과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응급복구시 비용의 과다지출 및 응급복구 지체상황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장비자원과 기술자원을 효과적으로 응급복구과정에 투입하여 개선된 경험적 사례를 정리하고 이론적 근거를 조사, 분석하여 향후 효과적인 홍수피해 응급복구가 지방자치단체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복구장비의 응급복구투입에 따른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필요한 장비가 효율적으로 활용되도록 재해지역의 이동거리와 연관성을 분석하여 활용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전문 인력이 자치단체 산하의 지역자율방재단에서 적절한 기능을 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였다.

화재피해자의 긴급복구를 위한 민·관 융합형 지원시스템 방안 (Globalization Development Plans of the Convergence Systems and Policies for Domestic Fire Industry)

  • 구재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85-91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화재피해자의 긴급복구를 위한 민 관 융합형 지원시스템 방안에 대한 것으로, 화재피해자의 긴급복구활동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 분석을 통하여 정부와 민간 협력기반의 통합적 지원시스템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전체적으로 국가는 시스템 운영의 관리 감독기관의 기능을 담당하고 민간에서 실질적 긴급복구 전담기관의 기능을 담당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화재피해 긴급복구 지원을 위한 법제도 정비, 지원사업의 민간위탁 시스템 구축, 소요재원의 안정적 조달 및 민 관 긴급복구의 융합기능 강화를 위한 지원시스템 방안을 도출하였다. 특히, 긴급복구 소요재원의 안정적 조달 방안은 긴급복구를 위한 기금의 신설 및 민간 수탁법인의 자체 재원 조성의 세부방안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국가 소방안전복지와 사회안전망의 강화에 기여할 것이다.

변전소의 AC/DC 겸용 비상 및 복구 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ergency and Recovery AC/DC Combination Lamps in the Electric Substations)

  • 박준열;안윤기;김종수;신혜영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27-34
    • /
    • 2010
  • 본 연구는 변전소(사무실) 비상 및 복구등 설비환경 개선차원으로 실시하였다. 기존 비상등의 낮은 조도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AC/DC 겸용 형광등 안정기 및 스위치를 연구하였다. 또한 조도기준을 상시등의 5~10[%]가 아닌 한국산업규격 조도기준(KS A 3011)에 따른 원자력발전소 조도기준과 안전조명 조도기준을 참고로 변전소 각 실별 조도기준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내용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축전지 용량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비상 및 복구등의 조도를 높일 수 있었다.

벽체매립형 폐열회수 환기시스템의 열회수 성능 향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Performance Improvement for Exhaust Heat Recovery Ventilation System in a Lightweight Wall)

  • 정민호;오병길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61-66
    • /
    • 2014
  • Exhaust heat recovery ventilation systems conserve energy through enthalpy recovery between air intake and exhaust, and they are being increasingly used. An exhaust heat recovery ventilation system can be installed in the ceiling of a balcony or emergency evacuation space. However, in the case of fire, the emergency evacuation space has to by law remain as empty space, and therefore, a ventilation system can't be installed in an emergency evacuation space. Therefore, the need for a proper installation space for a ventilation system is emphasized. In this study, to install a heat recovery ventilation system in a lightweight wall, a heat exchanger was assembled of thickness below 140 mm. The efficiency of heat recovery was analyzed through performance experiment, in the case of the cooling and heating mode. The heat recovery efficiency increases when the surface area is increased, by using closer channel spacing in the heat exchanger, or 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heat exchanger.

재난상황 시 예비군 긴급대응부대 창설 및 운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 and Operating Plan of Reserve Components Emergency Response Forces)

  • Seo, SeungBae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9-16
    • /
    • 2018
  • 재난상황하에서는 신속한 지역단위 재난복구를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의 재난대응체계에서는 대민지원, 자원봉사 등 수준에서 재난복구를 시행하고 있으므로 전문성 부족으로 인한 초기대응 및 재난복구 지연, 재난 지속시 대응 미흡 등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재난상황시 지자체단위 초기 대응능력 구비와 신속히 재난복구를 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가진 부대의 창설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난상황하 긴급 재난복구를 통한 지역안정과 재해 주민구호, 재난이전으로의 신속한 전환을 위한 예비군 긴급대응부대를 창설과 운용방안 수준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현장복구사례를 이용한 긴급복구 시나리오의 적용성 검증 (Verification of Applicability of Emergency Recovery Scenario Applying Field Recovery Case)

  • 윤혁진;정재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632-638
    • /
    • 2018
  • 최근 태풍이나 홍수 등과 같은 자연재해, 구조물 설계 오류 및 부실공사 등으로 인해 수변구조물(교량, 옹벽 등) 등에 피해가 늘어가고 있다. 이러한 수변 구조물들은 피해(균열, 파손, 붕괴)가 발생할 경우 수변 구조물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추가 피해들이 크게 발생한다. 구조물 손상에 따른 추가 피해로는 시설물의 사용 중단 및 제한, 인명피해, 경제적 손실 등이 있다. 이러한 피해(인명피해, 사용 중단 및 제한 등)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손상이 발생할 경우 현장여건(온도, 강우, 수위 등)에 적합한 복구공법을 적용해야한다. 신속한 보수 보강을 시행하여 발생할 수 있는 물적 피해, 인적 피해 등과 같은 손실을 최소할 수 있다. 손상 및 재해(태풍, 홍수)에 의해 피해가 발생했을 경우 경과 시간에 따라 피해(인적, 물적)가 더욱 확산되므로 긴급복구가 더욱 중요하다. 긴급복구를 위해서는 손상에 따른 적절한 보수 보강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현장 복구사례(교량, 제방, 옹벽, 사면, 댐, 보)를 긴급복구공법 도출 시나리오에 적용하였으며 실제 사용된 복구공법과 비교하여 긴급복구공법 도출 시나리오의 적용성을 검증했다. 적용성 검증을 통해 실제 피해현장에서 보다 적절한 복구공법을 제시할 수 있어 실무 활용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Economic Evaluation of IT Investments for Emergency Management : A Cost-centric Control Model

  • Kim, Tae-Ha;Lee, Young-Jai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5권3호
    • /
    • pp.195-208
    • /
    • 2008
  • In an emergency management case, evaluating the economic value of information technology investments is a challenging problem due to the effects of decision making, uncertainty of disasters, and difficulty of measurements. Risk assessment and recovery process, one of the major functions in emergency management, consists of (1) measurement of damages or losses, (2) recovery planning, (3) reporting and approving budgets, (4) auctioning off recovery projects to constructors, and (5) construction for the recovery. Specifically and of our interest, measurement of damages or losses is often a costly and time-consuming process because the wide range of field surveys should be performed by a limited pool of trained agents. Managers, therefore, have to balance accuracy of the field survey against the total time to complete the survey. Using information technologies to support field survey and reporting has great potential to reduce errors and lowers the cost of the process. However, existing cost benefit analysis framework may be problematic to evaluate and justify the IT investment because the cost benefit analysis often include the long-run benefit of IT that is difficult to quantify and overlook the impact of managerial control upon the investment outcomes. Therefore, we present an alternative cost-centric control model that conservatively quantifies all cost savings to replace benefits in cost benefit analysis and incorporate the managerial control. The model provides a framework to examine how managerial decision making and uncertainty of disaster affect the economic value of IT investments. The current project in Emergency Agency in South Korea is introduced as a case to apply the cost-centric control model. Our work helps managers to better evaluate and justify IT-related investment alternatives in emergency management.

  • PDF

폐열회수 환기시스템에 사용된 종이 열교환기의 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Performance of Paper Heat Exchangers for Exhaust Heat Recovery Ventilation System)

  • 정민호;오병길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240-246
    • /
    • 2012
  • The supply and use of exhaust heat recovery ventilation system as effective energy saving equipment has been increasing steadily. The exhaust heat recovery ventilation system can be installed at ceiling of balcony or emergency space. However, ventilation system can not be installed at emergency space because where have to remain as empty space by law. Therefore, the proper installation space of ventilation system is needed. In this study, to install heat recovery ventilation system in the light weight wall, thickness of heat exchanger was assembled below 140 mm. One or two paper heat exchangers were installed in the ventilation system. The efficiency of heat recovery was analyzed through performance experiment on case of cooling and heating mode.

긴급복구용 자주조립식 철주 절연암 개발 (Development of Arm Insulator for Self-Build Based Emergency Tower)

  • 민병욱;위화복;박재웅;이철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107-108
    • /
    • 2007
  • Overhead transmission lines are completely exposed to the environment. This causes faults in transmission lines due to natural environmental conditions. In some cases, transmission towers are damaged by typhoons and snow, as well as sleet on the transmission lines. It takes a lot of time to repair the damaged towers. For emergency restoration purposes, steel poles are installed to temporarily supply power. Before 2003, emergency restoration steel poles were made of angled steel, which required a large number of beams, bolts, etc. In addition, the foundation of the steel pole and ground wire was constructed using excavation and burial methods, therefore it required a lot of manpower and time to construct temporary transmission lines. In September 2003, typhoon Maemi, whose maximum wind speed was 60m/s, hit Korea. 'Maemi' destroyed transmission lines in the Busan and Geojea area, causing long blackouts. To reduce the recovery time to the damaged transmission lines, self-build based emergency towers were developed. self-build based emergency towers reduced recovery time from 24 hours to 4 hours or less. However, the self-build based emergency tower had no arms, so the temporary transmission lines could only be constructed without curves in line routes. In this paper, solving these self-build based emergency tower limitations, using insulated arms(designed for use with the self-build based emergency tower), shall be explain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