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mbankment and Foundation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33초

DESIGN CONSIDERATIONS AND MONITORING RESULTS OF AN UNDERWATER EARTH DAM

  • Van Impe, W.F.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1210-1224
    • /
    • 2009
  • The present paper illustrates the outcome of the monitoring of the consolidation behavior of a soft foundation soil under a large submerged sand embankment. Measurements of settlements and excess pore water pressures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predictions evaluated using the large strain consolidation theory. Soft soil improvement by means of deep mixing has been optimized. Moreover, the principles and developments of underwater geosynthetics applications are discussed.

  • PDF

압밀기반에서 안전한 상태의 제방건축 산출 (Calculation of the safe mode of embankment erection on the consolidated basis)

  • 송영웅;알렉산더 미하일로비치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56-66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K.Terzaghi의 유효응력이론을 인용하여 압밀기반의 안전하중 산출 과정과 결과를 제시하였다. 일반적인 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이용된 J.I.Solovyov의 순간강도 이론에 기초를 두어, 제시한 방법은 포화된 연약점토지반에서 도로의 유지보수 뿐 아니라 축조 과정에 안전하중의 계산 적용이 가능하다. 실제로 편리한 표준 압밀 drain test에서 정의된 점착력, 내부 마찰각과 같은 강도정수를 가진 유효응력은 실제적 적용을 고려하기 위하여 산출된다.

  • PDF

연약지반상 기초말뚝의 거동 연구 (Study on Behavior of Pile Foundation in Soft Soils)

  • 김대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428-43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연약지반에 축조된 잔교구조물 강관말뚝기초의 변위 및 응력을 시공단계별로 계측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말뚝의 응력상태는 초기 상태에서 사석투하 등에 의한 압축응력을 받으나, 배면매립이 진행됨에 따라 지반의 측방유동에 의하여 인장응력을 받는 상태로 되었다. 배면매립 및 선행하중 단계에서 급격한 응력의 변화를 보이며, 경사말뚝은 설치방향에 따라 차별화된 응력상태를 보였다. 말뚝수평변위는 매립이전까지는 해상방향으로 약간의 변위가 안정되게 유지되었으나. 매립단계에서 급격하게 변위가 증가하고, 이어 선행하중에 의한 변위가 중첩되어 추가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 PDF

배수조건에 따른 측방유동 해상말뚝의 거동특성 (Undrained and Drained Behaviors of Laterally-loaded Offshore Piles)

  • 서동희;정상섬;김영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8호
    • /
    • pp.149-160
    • /
    • 2008
  • 1990년대 이후로 인천과 부산신항 등의 물류중심항구 및 송도 신도시와 같은 유비쿼터스 도시 개발에 발맞추어 인근해상연약지반 매립공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측방유동 해상말뚝기초의 거동특성에 폭넓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측방유동 말뚝기초 거동에 대한 연구 및 규명은 원심모형기 개발과 컴퓨터 기능의 향상으로 인하여 폭넓은 시도가 이루어져 왔으며, 특히 말뚝구조물에 작용하는 측방유동압의 특성이 가장 중요한 초점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변형 압밀연계 유한요소해석 기법(LDFE)을 바탕으로 배수조건(비배수 : 단기, 배수 : 장기)에 따른 측방유동 해상 말뚝기초의 거동특성을 분석하였으며 특히, 말뚝-지반 상호작용을 고려한 측방유동압에 중점을 두었다. 본 수치해석에서는 지층조건, 말뚝두부의 경계조건, 성토하중 크기, 평균압밀도 네 가지 중요변수에 따른 거동양상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로부터 비배수 단계와 배수 단계에서의 측방유동압의 분포형태와 크기에 대한 정량적인 차이를 확인하였다.

An analytical analysis of a single axially-loaded pile using a nonlinear softening model

  • Wu, Yue-dong;Liu, Jian;Chen, Rui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8권6호
    • /
    • pp.769-781
    • /
    • 2015
  • The skin friction of a pile foundation is important and essential for its design and analysis. Mor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softening behaviour of skin friction of a pile.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load-transfer mechanism in such a case, an analytical solution using a nonlinear softening model was derived. Subsequently, a load test on the pile was performed to verify the newly developed analytical soluti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analytical solution and test results showed a good agreement in terms of the axial force of the pile and the stress-strain relationship of the pile-soil interface. The softening behaviour of the skin friction can be simulated well when the pile is subjected to large loads; however, such behaviour is generally ignored by most existing analytical solutions. Finally, the effects of the initial shear modulus and the ratio of the residual skin friction to peak skin friction on the load-settlement curve of a pile were investigated by a parametric analysis.

농업용 저수지 제방에서 토목섬유 블랭킷의 길이에 따른 감압정의 성능 평가 (Evaluation on the Performance of Relief Wells Using Geosynthetics Blanket Length as a Parameter in an Agricultural Reservoir Embankment)

  • 유전용;김승욱;장용채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5-17
    • /
    • 2022
  • 저수지 제방의 침투제어를 목적으로 설치하는 감압정의 성능은 감압정의 직경, 간격, 관통율, 지반의 투수계수, 기초지반 지층의 두께 등 다양한 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침투수압 경감을 목적으로 감압정을 채택하는 경우 이러한 매개변수를 충분히 검토하여 감압정의 설치제원을 결정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 제방의 침투제어를 위한 대책공법으로 제방의 하류부에 감압정과 제방의 상·하류부에 토목섬유 블랭킷(이하 블랭킷)을 병행하여 설치하는 경우 블랭킷의 길이가 감압정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상·하류 블랭킷 길이-유량 관계에서 상류 블랭킷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감압정에서 배출되는 유량은 감소하며, 하류 블랭킷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감압정의 배출 유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하류 블랭킷 길이-간격 관계에서 상류 블랭킷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감압정의 간격은 증가하며, 하류 블랭킷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감압정의 간격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블랭킷과 감압정을 병행하여 설치함으로써 댐제방의 침투안정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경우 침투유량의 배출을 최소화하고 감압정의 간격 확대를 통한 경제성 확보를 위해서는 상류의 블랭킷 길이 증가가 하류의 블랭킷 길이 증가보다 더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약지반에 성토시 발생하는 수평변위 억지를 위한 말뚝보강 효과에 대한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about Pile Reinforcement Effect for Restraint of Lateral Displacement Occurring in the Embankment on Soft Ground)

  • 김재홍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1-10
    • /
    • 2011
  • 측방유동의 발생이 가능한 해안연약지반에 성토를 시행하면 지표면의 하부에는 수평변위가 발생한다. 이러한 수평변위는 인접지반에 변형을 발생하여 인접 지하에 매설된 각종 기반시설에 영향을 미칠수 있다. 수평변위의 억지대책으로 성토지지말뚝과 억지말뚝을 적용하였고, 억지대책의 효과분석을 위해 무보강지반과 보강지반으로 구분하여 수치해석을 시행하였다. 수치해석 결과는 억지말뚝 보강시가 무보강시보다 1.9배의 효과가 있었다. 성토지지말뚝의 보강은 무보강시보다 2.6배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억지대책중 억지말뚝 보강보다 성토지지말뚝 보강이 1.3~1.6배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실험에 의한 지오텍스타일의 압력배수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ressure Drainage for Geotextiles by Laboratory Model Tests)

  • 이상호;권무남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2권5호
    • /
    • pp.89-102
    • /
    • 1996
  • 지오텍스타일에 의한 압력배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성토하중의 증가에 따른 기초지반의 초기압밀 촉진을 유도하기 위한 수직수평 배수공의 모형을 구상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배수재로 사용된 지오텍스타일의 압축응력이 증가함에 따라 배수공의 누적배수량은 대수함수의 형태로 증가하였다. 수두상승에 따른 각 응력단계별 배수공의 배수량은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그 증가율은 압축응력이 클수록 작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며 배수공의 배수량은 포설 겹 수가 많을수록, 지반재료가 세립일수록 크게 나타났다. 지오텍스타일의 전수성과 배수공의 배수량의 관계는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그 증가율은 지반재료와 수두에 관계없이 거의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는바 배수공의 배수능력은 지오텍스타일의 전수성으로 결정됨이 입증되었다.

  • PDF

DCM 공법으로 개량된 연약지반의 측방유동을 받는 교대 말뚝기초의 거동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ehavior of Piled Abutment Subjected to Lateral Soil Movement of Soft Ground Improved by Deep Cement Mixing Method)

  • 최연호;강경호
    • 지질공학
    • /
    • 제30권2호
    • /
    • pp.131-145
    • /
    • 2020
  • 연약지반 상에 도로성토를 시공할 경우 연약지반에는 편재하중이 작용하게 되어 연약지반의 측방유동이나 활동파괴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연약지반에 설치되는 교대말둑기초의 안정성과 말뚝의 거동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지반의 측방유동으로 인하여 말뚝에 작용하는 수평하중에 대한 기존 연구자들의 연구내용을 파악하고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교대말뚝기초의 거동특성과 보강효과를 확인하여 측방유동을 받는 교대말뚝기초의 거동을 연구하였다. 압밀도 분석 결과, 압밀 단계에 따라 연약지반 강도증가율에 의해 연약지반의 강도정수인 점착력은 약 1.1~1.8배 증가하였다. 측방유동 검토 결과, 허용수평변위 기준은 3.8 cm를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으로나 시공적인 면에서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나, 구조물의 중요도 및 지반의 불확실성 등을 고려하여 시공 시 계측을 실시하고 그에 따른 측방유동에 대한 철저한 안전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자연 해성점토 위에 건설한 폐기물매립장 기호지반의 침하와 활동 가능성 (Settlement and Sliding Possibility of the Foundation of the Waste Landfill Constructed on Natural Marine Clay)

  • 김수삼;강기민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2권5호
    • /
    • pp.41-54
    • /
    • 1996
  • 본 논문은 폐기물의 하중과 침출수위의 변화를 고려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CONSOL을 이용하여 폐기물 매립이 진행되는 동안과 이후의 해안 폐기물 매립장의 압밀침하량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들 변화된 기초점토지반 강도특성하에서 매립지 기초지반을 포함한 제체사면의 안정성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현장 침하계측자료와 본 논문의 이론적 침하량을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단계별 폐기물 매립이 실시됨에도 침출수위가 함께 상승할 경우 점토지반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유효응력 증가가 거의 없어 매립높이가 증가할수록 안정성이 확보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결과 매립경사구배를 낮추거나 배수공법에 의한 침출수위를 절감시키는 등의 보완 작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압밀해석으로부터 구한 침하량은 실측침하량 자료와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