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ceptions toward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regarding the revised 2015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The aim i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of the revised curriculum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curriculum improvement in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using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IPA).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perceived that the areas of the revised 2015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that require particular focus are number and operations and data and probability. Secondly, they identified the specific elements within these areas that demand dedicated attention as follows: numbers up to four digits in number and operations, mixed calculations with natural numbers, shapes of solid figures, spatial sense of solid figures, comparison of quantities in measurement, etc. These findings can inform the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in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This study investigated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nstruct science curriculum and how they perceive about their experienc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d experience in restructuring science curriculum. Two distinct types of reconstruction were found; restructuring within the subject and integrating between subjects. The teachers who were restructuring science curriculum from personal needs usually substitute, delete, add some contents or activities and change the order of unit within science subject. In contrast, the teachers who were participating in research school usually integrated science with other subjects, developing a new unit or project. The latter recognized the need of teachers' reconstruction of science curriculum more strongly and the importance of teacher's voluntary learning community in implementing the reconstruction. Though they had some difficulties in identifying students' interests and level of understanding and lack of time, all teachers valued curriculum reconstruction by relating it to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identity as a teacher, and job consciousness.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강조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개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3~5세 연령별 누리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연계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연계가 미흡한 내용에 대한 연계성 확보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누리과정 내에서 '수학적 탐구하기'의 위상을 고찰하고, 수학적 내용측면에서 내용 영역의 범주 및 3~5세 누리과정의 수학적 탐구하기의 세부 내용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1~2학년군 성취기준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각 내용 영역에서 역연계 및 비연계 요소가 파악되었으며, 그에 따른 논의로부터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수학 교육과정의 내용 연계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oints of view about the organization of the science curriculum and their views on the nature of science (NOS). We surveyed 132 elementary school teachers' view points about these two kinds of views, analyzed the data by their variables, and compared the two viewpoints with their personal details.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ought the science curriculum should be emphasized through the process more than contents. They thought the contents of the science curriculum should be integrated rather than separated. As teachers' career progressed, they focused on the contents more than the process. On the other hands, becaus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the NOS views as relativism, deductivism, decontextualism, content, and instrumentalism, when we plotted sub-viewpoints of NOS in process-content dimension, we thought it would be similar distributions with point of views on the organization of science curriculum. However, there was no meaningful relation. This showed that teachers' views on the 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and the NOS are totally different. These findings sugges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find how factors influen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views on the organization of the science curriculum and what inclinations can occur in science classes with their different view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meaningful basic materials for organizing a science curriculum in future by analyzing the status and changes of contents about astronomical phenomena in textbook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scienc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A main target of analysis is science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in curriculums from 1st to 7th. For the analysis, the analytic frame based on contents in astronomy textbooks of teachers colleges and colleges of education was used.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astronomy accounted for average about 7% of all pages of textbooks in all of science curriculums. The 1st educational curriculum had the most learning quantity of 10.40%, and the 6th curriculum had the least quantity of 4.39%. These results show that astronomy was not a small part and was considered important in each scienc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considering that earth science accounted for 17-26% of all page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Second, the things that have been dealt with in common in all science curriculums from 1st to 7th of elementary school are the shape of the earth, the rotation and the revolution of the earth, the occurrence of the seasons, the apparent motion of the sun, the status and motion of the moon, the movement of a star, the brightness and distance of a star, constellations, the sun, planets and others. These contents are expected to be dealt with continuously as basic contents to organize astronomy regardless of the changes of curriculum. Third, in scienc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astronomical phenomena based on life experiences regarding the earth, the moon and the sun are mainly dealt with in the first and the second grade. Contents requiring principles-understanding and research are dealt with in the fifth and sixth grade. These results show that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dealing with astronomy reflects the developmental stages of students and considers principle of learning possibility.
이 연구는 2006년에 고시된 교육과정과 지난 제 7차 교육과정을 비교하여 내용 항목과 관련된 개정 사유와 개정 과정에서 있었던 쟁점을 분석하고자 한 것 이다. 이를 위하여 이번 교육과정 개정과 관련된 보고서와 연구물을 수집, 분석하였다. 2006년 개정에서 초등학교 내용과 관련하여 쟁점이 있었던 개정 사항을 학년 간 이동된 내용, 분수 개념의 지도 계열, 문제해결 영역 설정 등의 세 가지로 나누어 정리하고, 각 개정 사항이 어떤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는지, 개정 과정에서 어떤 논쟁이 있었는지, 그리고 개정 사항에 대하여 어떤 사유가 제시되고 있는가를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이번 교육과정의 개정에서 다양한 이견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이견은 초등수학의 양과 수준에 대한 근본적인 신념의 차이나, 초등 수학 내용의 도입 시기나 지도 계열에 대한 수학 교육적 견해의 차이 그리고 교육 과정의 내용을 제시하는 하는 방식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 비롯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으로부터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의 선정 및 조직과 관련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gure out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ages of Concern(SoC) between senior teachers and new comers to integrated units of integrated curriculum which was revised in 2007 and applied in 2009 by using CBAM. Seventy-four home-room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took part as participants. For data collection, as Hall and Hord suggested in 2005, Questionnaire of Stages of Concern was used. Profiling of teachers' concern and one-way ANOVA were employed in data analysis. In the results, 55% of the teachers were in the stage of Awareness. In the stage of Informational, 22% of the teachers were appeared. Most of elementary teachers' concern about integrated units was closed to indifference of self-interest level. The difference of concern between senior teachers and others will be illustrated as findings.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d that factors which influenced teachers' concern about the curriculum. Physical factors such as a curriculum guideline or on-line system to access boarder-cross curriculum influenced teachers' concern. Little intervention about the boarder-cross curriculum appeared in elementary schools. The authors of the study suggested to emphasizing the roles of facilitator for the revised curriculum.
This paper is to make strides toward an enriched understanding of the difficulties and issues raised by applying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to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A general overview of the curriculum is presented in line wit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emphasized in the curriculum. Four classroom episodes are presented in brief in order to diagnose the problems in situating the curriculum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s. These episodes deal with lessons emphasizing activity rather than its associated concepts or principles, overusing multimedia data, pursuing play rather than its associated thinking, and distributing various individual worksheets in the name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al methods. In addition to the episodes, interview data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also are presented as needed. This paper discusses two aspects of activating the curriculum into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s. One deals with the issues of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themselves, and the other covers those of research trends on mathematics education and teaching practices. This paper finally emphasizes a collaborative working relation among classroom teachers, mathematics educators, and policy makers with their own places and roles.
본 연구에서는 2007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2011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첫째로, 2011 교육과정에서 취급하지 않게 된 학습 내용에 관해 비판적으로 논의했다. 둘째로, 2011 교육과정의 학습 내용에서 찾을 수 있는 두드러진 특정을 찾았다. 차기 교육과정의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이러한 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었던 다음의 세 가지를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과정 개발 절차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공청회 시안 개발 및 최종 교육과정 개발 과정은 어디에도 드러나 있지 않다. 교육과정의 개발과 연구를 위해서는 이 과정을 잘 정리하여 공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과정에서의 진술 방식을 수정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의미가 충분히 확립되지 않은 표현이나 모호한 표현은 어느 정도 규정하고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학습 내용별 성취 기준의 진술이 일관적일 필요가 있다. 성취 기준 진술의 원칙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중학교 교육과정 사이의 연계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차기 교육과정 개정을 앞둔 시점에서 지난 몇 차례 동안의 초등학교 물리 영역에서의 교육과정 변화를 분석하고 초등 과학 교육과정의 쟁점을 논의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제7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내용 요소의 변화를 분석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 이후 수행된 교육과정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물리교육 전공 교수 3인이 교육과정 분석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제7차 교육과정 이후의 초등 물리 교육과정은 전반적으로 내용이 축소되거나 어려운 개념들이 삭제하거나 상위 학교급으로 이동하는 형태로 변화가 이루어졌다. 과학 교육과정 쟁점은 현 교육과정의 내용 적정성과 난이도, 수학 교과와의 연계성, 누리과정과 초등 1,2학년 통합 교육 과정과 연계문제, 성취기준 서술어 문제를 다루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