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oactive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1초

Investigation of Photoluminescence Properties for Dibenzosiloles and Tetrabenzospirosilole

  • 장승현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107-111
    • /
    • 2010
  • Silicon-containing ${\pi}$-conjugated compounds, especially silacyclopentadienes (siloles), have emerged as a new class of electroactive materials with good electron transport properties in OLEDs. 9,9'-spiro-9-silabifluorene compound as well as its starting material 2,2'-dibromobiphenyl have been synthesized with higher yields. Spirosilabifluorene is expected to be an efficient host material for the blue-light emitting diodes. 9,9'-spiro-9-silabifluorene, 1,1-dichloro-1-silafluorene, and 1,1-dimethyl-1-silafluorene were characterized by $^1H$-NMR, UV/Vis and photoluminescence spectroscopy.

셀룰로오스 압전 종이를 이용한 진동 센서 응용 연구 (A study on the vibration sensor application of cellulose piezoelectric paper)

  • 김흥수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288-289
    • /
    • 2011
  • 압전 효과에 기초한 셀룰로오스 압전 종이의 진동센서 응용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EAPap (Electroactive paper)은 재생과정과 테입 캐스팅을 이용해 만들었으며, 얇은 적층 필름을 이용해 코팅하였다. EAPap 샘플을 알루미늄 외팔보에 부착하여 진동 실험을 수행하였다. EAPap 센서의 출력을 비교하기 위해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보의 응답 특성을 동시에 측정하였으며, 유한요소법을 이용해 보의 동특성을 구하여 비교하였다. EAPap 센서는 주위 환경 노이즈의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 접지와 절연을 통해 이러한 노이즈의 영향을 많이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실험결과로부터 EAPap의 진동센서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Voltammetric Behaviors of Chemically Modified Electrodes Based on Zirconium Phosphonate Film

  • 홍훈기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6권9호
    • /
    • pp.886-891
    • /
    • 1995
  • Electroactive monolayers based on zirconium(Ⅳ) phosphonate film were prepared on gold and tin oxide electrodes by sequential layer-by-layer depostion technique. High transfer coefficient values and surface coverages of surface bound redox molecules were obtained from the electrochemical measurements of heterogeneous electron transfer rates for monolayer modified electrodes. 1,10-Decanediylbis(phosphonic acid) (DBPA) monolayer as insulating barrier was effective in blocking electron transfer. However, these film modified oxide electrode shows voltammetric behavior of diffusion/permeation process taking place at very small exposed area of modified electrode through channels due to structural defects within film when a very fast redox couple such as Ru(NH3)63+ is hired.

복합재료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을 위한 P(VDF-TrFE) 직물센서의 가능성 평가 (Feasibility Check of Textile Sensor Made of P(VDF-TrFE)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of Composite Structures)

  • 배지훈;장승환
    • Composites Research
    • /
    • 제30권2호
    • /
    • pp.126-131
    • /
    • 2017
  • 복잡한 형상의 구조 건전성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높은 취성 등 기존 센서의 단점을 보완 할 수 있는 매우 유연하고 내구성이 확보된 센서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활성고분자의 한 종류인 Polyvinylidene fluoride trifluoroethylene (PVDF-TrFE)를 사용하여 직물센서를 제작하였다. 또한 제작된 직물센서를 복잡한 형상을 가지는 탄소섬유/에폭시 복합재료 구조물에 적용하여 구조 건전성 모니터링을 위한 도구로써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복합재료 구조물의 손상 반응과 파손 메커니즘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간헐적 압축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과정에서 복합재료 구조물에 삽입된 직물센서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 (0.05 V-0.25 V)하며 실시간으로 균열발생과 균열위치를 감지해냈다.

Synthesis and Design of Electroactive Polymers for Improving Efficiency and Thermal Stability in Organic Photovoltaics

  • 김범준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1.2-11.2
    • /
    • 2011
  • Polymer based organic photovoltaics have attracted a great deal of attention due to the potential cost-effectiveness of light-weight and flexible solar cells. However, most BHJ polymer solar cells are not thermally stable as subsequent exposure to heat drives further development of the morphology towards a state of macrophase separation in the micrometer scale. Here we would like to show three different approaches for developing new electroactive polymers to improve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BHJ solar cells, which is a critical problem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these solar cells. For one of the examples, we report a new series of functionalized polythiophene (PT-x) copolymers for use in solution processed organic photovoltaics (OPVs). PT-x copolymers were synthesized from two different monomers, where the ratio of the monomers was carefully controlled to achieve a UV photo-crosslinkable layer while leaving the ${\pi}-{\pi}$ stacking feature of conjugated polymers unchanged. The crosslinking stabilizes PT-x/PCBM blend morphology preventing the macro phase separation between two components, which lead to OPVs with remarkably enhanced thermal stability. The drastic improvement in thermal stabilities is further characterized by microscopy as well as grazing incidence X-ray scattering (GIXS). In the second part of talk, we will discuss the use of block copolymers as active materials for WOLEDs in which phosphorescent emitter isolation can be achieved. We have exploited the use of triarylamine (TPA) oxadiazole (OXA) diblock copolymers (TPA-b-OXA), which have been used as host materials due to their high triplet energy and charge-transport properties enabling a balance of holes and electrons. Organization of phosphorescent domains in TPA-b-OXA block copolymers is demonstrated to yield dual emission for white electroluminescence. Our approach minimizes energy transfer between two colored species by site isolation through morphology control, allowing higher loading concentration of red emitters with improved device performance. Furthermore, by varying the molecular weight of TPA-b-OXA and the ratio of blue to red emitters, w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 of domain spacing on the electroluminescence spectrum and device performance.

  • PDF

리튬이온이 첨가된 프루시안 블루의 전기변색 특성 연구 (Electrochromic Properties of Li+-Modified Prussian Blue)

  • 유성종;임주완;박선하;원호연;성영은
    • 전기화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6-131
    • /
    • 2007
  • [ $Li_+$ ]를 기반으로 하는 비수용액 전해질에서 Prussian blue가 degradation이 없이 구동할 수 있도록 소재를 design하고 제조하여 전기화학적 변색특성을 연구하였다. Prussian blue는 ITO가 코팅되어 있는 유리판위에 일정전류-전착법으로 코팅을 했고, 이 때 사용된 코팅 용액은 $FeCl_3,\;K_3Fe(CN)_6$을 deionized water에 녹이고, HCl, KCl, LiCl을 각각 넣었다. 전기화학적 변색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continuous와 pulse potential cycle 하는 동안 transmittance 변화를 in-situ He-Ne las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electroactive layer thickness를 통해 degradation된 정도를 실험하였다.

유연 복합재료 전극 제조 및 표면조도에 따른 접착 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abrication of Flexible Composite Electrodes and Its Bond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urface Roughness)

  • 이한영;정경채;한민구;장승환
    • Composites Research
    • /
    • 제27권6호
    • /
    • pp.242-247
    • /
    • 2014
  • 전기활성고분자의 종류 중 하나인 유전성 탄성체의 거동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전극 제조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도성 고분자(PEDOT:PSS)에 가소제 역할을 하는 자이리톨(Xylitol)을 첨가하여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자이리톨을 첨가한 전극의 유연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리콘 시편에 전극을 도포하여 인장시험을 수행하였다. 자이리톨을 70 wt% 첨가한 조건에서 연신률이 크게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실리콘 거동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극과 실리콘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조도가 다른 실리콘 필름을 제작하였으며 사포 #120으로 처리한 시편에서 실리콘 필름과 전극의 접착성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전기적 활성을 갖는 폴리티오펜 유도체들의 합성과 생체계면에의 응용 (I) (Synthesis of Electroactive Polythiophene Derivatives and Its Application for Biointerface (I))

  • 정선형;배진영;김지흥;정동준
    • 폴리머
    • /
    • 제26권1호
    • /
    • pp.28-36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칩 등에 응용 가능한 전도성 고분자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 3-triophene acetic acid을 선택하여, 쉽게 전기적으로 산화되어 전기적 활성을 나타내는 고분자들을 형성하였다. 3-Thiophene acetic acid에 있는 카르복실기의 보호기들은 solid state에서 쉽게 제거되어질 수 있고, 그 결과 반응성 카르복실기가 전기적 활성을 나타내는 고분자 표면 위에 재생되어질 수 있었다. 즉, 카르복실기의 보호를 통한 전기중합과 뒤이은 보호기의 제거로 반응성인 카르복실기를 갖는 새로운 고분자 담체를 제조할 수 있었고, 기존의 방법으로 합성한 macromonomer를 필름 표면에 도입하여 전기적 활성을 나타내며 동시에 고분자 전해질이 도입된 전도성 고분자 필름을 얻었다. 합성한 전도성 단량체들과 macromonomer의 도입여부는 FT-IR과 $^1H-NMR$ 및 ESCA측정으로 확인하였고, 전극표면에 형성된 필름들의 형태는 SEM을 통해서 관찰하였다. 전기적 활성은 cyclic voltammogram(CV)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얻어진 고분자 필름들은 0.7~0.9 V의 영역에서 전형적인 poly(3-alkylthiophene)의 전기 화학적 거동을 나타내었다.